• 제목/요약/키워드: Cd, Pb, and Zn

검색결과 1,192건 처리시간 0.023초

인체 신장피질과 신장수질에서 중금속류의 분포 및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avy Metals in Human Kidney Cortex and Kidney Medulla)

  • 유영찬;이상기;양자열;김기욱;이수연;정규혁
    • 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60-467
    • /
    • 2001
  • Heavy metals, such as Al, As, Cd, Cr Cu, Fe, Hg, Mn, Mo, Ni, Pb, Se, Si, Sn, V and Zn, were analysed on kidney cortex and medulla of Korean obtained from 154 forensic medical autopsy cadavers. Heavy metals were analys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In kidney cortex, the concentrations of Al, Cd, Cu, Mn, Mo, Pb, Se, Si and Z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kidney medulla (Cd, Cu, Mn, Mo, Zn : p<0.01, AA, Pb, Se, Si : p<0.05). No significant loca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kidney cortex and kidney medulla in the concentrations of As, Cr Fe, Hg, Ni, Sn and V. In kidney cortex and kidney medulla, Cd concentrations correlated positively with age, but Mn concentrations correlated negatively with age.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d and Zn, Cd and Cu, Zn and Cu, Al and Si, Se and As was found in kidney cortex and kidney medulla.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g and Se was only observed in kidney cortex.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tribution of hazardous heavy metals is similar to that of essential elements in the tissues.

  • PDF

인천 H항 표층 퇴적물의 오염도 평가 (Estimation of Pollution Degree of Surface Sediment from Incheon H Wharf)

  • 김정호;남세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04-5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14년 03월에 인천 H항의 5개 정점(S1~S5)에서 채취된 표층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COD, AVS, IL 및 중금속(Cd, Cu, Ni, Pb, Zn, Cr, Hg)을 분석하여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입도분석, 비표면적분석, XRD 및 XRF 분석을 통하여 채취된 퇴적물 시료 모두 거의 동일한 산화물과 광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기준으로 COD, AVS 및 IL 세 항목의 총점에 대한 오염도는 S2, S3, S5 지점은 2등급으로 S1, S4 지점은 3등급으로 평가되었다. 중금속 오염의 경우 Cd, Ni, Pb은 USEPA 기준으로 중간오염에 해당하였고, Cu, Zn 및 Cr은 심한오염으로 분류되었다. 농집지수를 이용한 오염도 평가결과 Cd가 Class 3으로 평가되었고, 농축계수를 이용한 평가결과 모든 지점에서 Cd, Pb, Zn의 경우 1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농축계수는 S4지점이 3.1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아연 금속광산 주변 농경지 토양중 중금속의 수직분포와 토양특성과의 관계 (Vertical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Paddy Soil Adjacent to Lead and Zinc Mining Sites and Their Relation to Soil Characteristics)

  • 이민효;유홍일;서윤수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0-84
    • /
    • 1994
  • 토양중 중금속의 수직분포비율과 토양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금속에 의한 토양 오염이 우려되는 연· 아연 광산지역 주변농경지 27개 지점을 선정하여 토양깊이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중금속함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금속 원소의 토심별 분포는 표토(0- l5 cm)에서는 42-51%, 15 -30 cm에서는 21-29%, 30-60 cm에서는 12-17%, 60-100 cm에서는 11-14%였다. 2) 비소는 사양토와 양토간의 차이가 인정되나 Cd, Cu, Pb, Zn은 토성간에 차이가 없었다. 3) 토심별 각 원소의 함량분포비와 토양의 화학성과의 관계를 보면 각 원소 모두 pH와는 높은 유의성있는 부의 상관을 보인 반면 유의성있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 Cd, Cu, Pb 및 Zn 은 모든 토심에서 각 원소간에 대부분 높은 상관이 있었고 특히 Pb와 Zn은 0-15 cm, 30-60 cm, 60-100 cm에서 Cd와 Zn은 15 -30 cm에서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서낙동강 유역의 강물, 저토 및 토양의 중금속 분포 특성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the Water, Sediment and Soil along the West Nakdong River)

  • 박흥재;박종길;박원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409-416
    • /
    • 199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water, sediment and soil of the 7 different sampling points along the West Nakdong riv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ncentrations of Zn, p, Pb, Cd, Mn, Cu and As in the sediment were 197.48, 551.85, 67.01, 2.54, 491.39, 42.95 and 10.52ppm,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Zn, p, Pb, Cd, Mn, Cu and As in the soil was 83.32, 482.89, 17.15, 1.02, 226.02, 26.15 and 7.29ppm,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ratios of heavy metals In the water to the sediment were 593 - 12700 (Cd >> Cu > Zn > Mn > As > Pb) and that of the water to the soil were 152 - 5100 (Cu > Cd > Zn > Mn > As >Pb).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Cu and Pb weve high among the water, sediment and soil. Because the accumulation amounts of heavy metal in the sediment were high,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 was higher than in soil.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heavy metals among water, sediment and soil was high (0.79 - 0.95). Key Word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heavy metals, West Nakdong River.

  • PDF

Natural and Anthropogenic Heavy Metal Deposition to the Snow i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 Peninsula

  • Hong, Sung-Min;Lluberas, Albert;Lee, Gang-Woong;Park, Jun-Ku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279-287
    • /
    • 2002
  • Successive 24 snow samples, collected from a 1.2m snow pit at a site on the summit of Main Dome i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 Peninsula, were measured for heavy metals such as Pb, Cd, Cu, and Zn and other chemical species. The mean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are 3.48pg/g for Pb, 0.10pg/g for Cd, 16.6 pg/g for Cu and 15.8 pg/g for Zn, respectively. Pb and Cd concentrations observed in our samples are very comparable to those reported for recent snow at other Antarctic sites, while Zn and Cu levels are much higher than those at other sites. The annual fallout fluxes of all heavy metals approximately calculated are, however, much greater in King George Island than at other sites. With respect to the estimates of natural contributions, sea salt spray is found to be a major contributor to Cd and Zn inputs to the snow and minor to Cu inputs. On the other hand, the anthropogenic input can account for a large part of Pb concentrations. A tentative estimate represents that local emissions could be responsible for more than half of the excess Pb flux to the snow in King George Island.

제주도 토양 중 중금속의 화학적 형태 (Chemical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of Jeju Island, Korea)

  • 현성수;김세라;이민규;감상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47-858
    • /
    • 2017
  • For 26 soil series distributed more than 1% among 63 soil series in Jeju Island, natural uncultivate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or these soils, the chemical speciation of eight heavy metals (Cd, Cr, Cu, Mn, Ni, Pb, V, and Zn) was examined. Further, the Plant Bioavailability (PB) and Mobility Factor (MF) of these heavy metals were evaluated using Tessier's 5-step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exchangeable, carbonate, reducible (bound to Fe/Mn oxides), oxidizable (bound to organic matter), and residual fraction). The main form present was residual fraction for Cd and Zn; residual and oxidizable fractions for Cr, Cu, Ni, and Pb; reducible fraction for Mn; and carbonate fraction for V. The average plant availability and average mobility factor were found to be V (57.37%) > Zn (12.49%) > Cd (11.76%) > Cu (11.19%) > Pb (9.37%) > Cr (9.09%) > Mn (3.13%) > Ni (2.63%), and Mn (61.04%) > V (59.94%) > Zn (31.54%) > Cd (17.65%) > Cr (15.66%) > Ni (13.89%) > Pb (13.80%) > Cu (13.53%), respectively.

토양세척공정에서 광미오염토양 입자크기에 따른 중금속 추출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or Soil Washing of Mine Tailings-contaminated Soil according to Particle Size Distribution)

  • 김정대
    • 공업화학
    • /
    • 제19권1호
    • /
    • pp.98-104
    • /
    • 2008
  • 본 연구는 광미오염토양을 대상으로 입자크기에 따른 토양세척기술의 중금속 추출특성 평가와 토양세척 전과 후의 화학적 분포형태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오염토양의 입자크기 별 총 농도는 모든 중금속에서 입자가 작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Fe과 Mn은 입자크기와는 무관하였다. 0.05 M EDTA를 이용한 토양세척(Soil washing)에 의한 중금속 추출은 모든 중금속에서 추출 6 h 내에 준평형상태에 도달하였다. 추출효율은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Pb, Cu, Zn의 일부에서 추출효율이 감소하였지만, Cd에서는 추출효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Cd의 추출효율이 86~91%로 가장 높은 반면에 Fe이 5~14%로 가장 적었다. 화학적 분포형태는 토양세척 이전 모든 중금속에서 거의 대부분이 환원성, 산화성, 잔류성으로 존재하였으며 특히, Pb과 Cu는 입자가 작을수록 잔류성 형태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0.05 M EDTA에 의한 토양세척 이후에는 Cu를 제외하고 Pb, Zn, Cd에서 상당부분이 환원성(Fe/Mn산화물)과 잔류성으로 존재하였고, Cu는 주로 산화성과 잔류성으로 존재하였다. 특히, Pb과 Cu는 입자가 작을수록 잔류성 형태도 증가하였다. 또한, Pb, Zn, Cd에서 환원성형태의 화합물이 0.05 M EDTA에 의해 거의 90% 이상이 제거되었다. 본 연구결과 광미오염토양의 중금속 분포형태 및 추출효율은 많은 인자들 외에 광물학적 요인과 함께 토양입자크기에 좌우되는 주요인자임이 확인되었다.

도시 내 중금속 오염지의 관상식물로서 자생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의 적용성 평가 (Application of Liriope platyphylla, Ornamental Korean Native Plants, for Contaminated Soils in Urban Areas)

  • 주진희;윤용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81-87
    • /
    • 2014
  • 본 연구는 토양 내 중금속(카드뮴, 납, 아연) 처리 농도에 따른 자생 맥문동의 외형적인 생장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도시 내 중금속 오염지의 관상효과 증진을 위한 수종탐색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중금속은 카드뮴, 납, 아연등 3종류이고, 처리 농도는 Control, 100, 250, $500mg{\cdot}kg^{-1}$ 등 4가지로서, 총 12가지 처리구로 구성하였다. 2009년 3월에 각각의 실험구에 10개씩 3반복으로 각 처리구에 정식하여, 같은 해 9월까지 약 7개월간 온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생장이 가장 활발한 시기라 볼 수 있는 5월부터 8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엽장, 엽폭, 총엽수, 고사엽수, 신엽수, 엽록소함량, 관상가치 등을 중심으로 생장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카드뮴(Cd) 처리구의 경우, 엽장과 엽폭의 상대생장률이 식재 후 4개월이 경과된 시점에서 급속히 감소하였다. 총엽수, 신엽수, 엽록소함량, 관상가치 등의 형태적 항목에서도 Control> $Cd_{100}$ > $Cd_{250}$ > $Cd_{500}$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납(Pb) 처리구에서 엽장의 상대생장률은 $Pb_{250}$$Pb_{500}$ 처리구에서만 변화율이 감소한 반면, 엽폭은 납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률의 감소양상이 뚜렷하였다. 총엽수, 신엽수, 고사엽수등은 대조구와 $Pb_{100}$ 처리구에서 비교적 유사하였으나, 엽록소함량, 관상가치 등은 납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양상이 매우 뚜렷했다. 아연(Zn) 처리구는 카드뮴와 납 처리구와는 달리 식재 후 4개월이 경과된 시점에서도 변화율의 차이가 있을 뿐, 엽장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폭 상대성장율 또한 $Zn_{500}$ 처리구를 제외하고, 비교적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총엽수, 신엽수, 고사엽수, 관상가치는 $Zn_{50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 반면, Control, $Zn_{100}$, $Zn_{250}$ 처리구간에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맥문동의 관상가치적 관점에서 생장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현장적용의 기반 연구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하지만, 중금속에 대한 식물의 내성은 중금속 자체의 특이성과 환경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개연성을 가지므로, 실내연구와 현장적용성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유통 민물어류와 연안산 패류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조사 (A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of the Fresh Water Fish, and the Shellfish in Koran)

  • 김연천;한선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5-318
    • /
    • 1999
  •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건강상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 수산 어패류 중의 중금속 분포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민물어류 11종 166건, 패류 14종 153건 등 총 319건을 대상으로 Pb, Hg, Cd, Cr, Fe, Mn, Zn, Cu 의 8개 금속을 A.A.S. 와 Mercury Analyzer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민물어류에서의 중금속 평균함량은 Pb 0.075, Hg 0-.053, Cd 0.002, Cr 0.135, Fe 8.695, Mn 1.078, Sn 9.491, Cu 0.548 mg/kg으로 나타났다. 패류에서의 중금속 평균 함량은 Pb 0.059, Hg 0.007, Cd 0.146, Cr 0.147, Fe 40.808, Mn 7,738, Zn 13.943, Cu 2.731 mg/kg으로 조사되어, Cd , Fe, Mn, Cu 등이 민물어류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2. 중금속 함량은 산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물어류의 경우 Mn 과 Zn 함량이 지역간의 유의성을 나타냈다. (p<0.001). 패류의 경우는 Fe, Mn, Zn 함량이 지역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p<0.01). 3. 계절에 따라 중금속 함량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민물어류에서는 겨울철의 Pb, Zn, Cr, Cu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패류에서는 겨울철에 Pb, Zn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조사된 결과를 종합 고찰하면 우리나라 서식하고 있는 어패류에 함유된 중금속 함량은 유해농도이하이며 , Fe, Mn, Zn 등 미량 영양염류 함량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모악 금·은광산에 방치된 폐석이 주변 수계 및 생태계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Hydrologic and Ecologic System around the Wasted Ore Dump of the Moak Gold-Silver Mine)

  • 나춘기;전서령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3호
    • /
    • pp.221-229
    • /
    • 1995
  •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their dispersion patterns in stream water, stream sediments, land plants and aquatic larvae collected from the hydrologic system flowing via the wasted ore dump of the Moak Au-Ag mine were investigated systematically in order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abandoned metal mine. The heavy metal content increases abruptly in the vicinity of the wasted ore dump, then attenuated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the mine area. Attenuating rates were stream water > stream sediments > land plants > aquatic larvae. On the other hand, the cumulative content of heavy metals was stream sediments >aquatic larvae > land plants > stream water. Each element tends to be enriched selectively according to media; Zn > Cu > Cd > Pb in stream water, Zn > Pb > Cu > Cd in stream sediments and land plants, and Zn > Cu > Pb > Cd in aquatic larva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enrichment and dispersion of pollutant extruded from the wasted ore dump are different according to elements and media, and that the circulation system of materials of each medium is different. The heavy metals, especially Cu, Pb and Zn, of polluted downstream sediments occur in high proportions of Fe-Mn oxides and organic bounded forms, which show high potential of a secondary pollution source. The content of heavy metals and their dispersion patterns in stream sediment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en years ago; pollution levels of heavy metals were degraded in various ranges. The Zn and Cu-polluted areas were widened whereas Fe and Pb-polluted areas were reduced. In crops collected from the farm lands in downstream area, the pepper was more concentrated in all heavy metal than rice. The pepper showed some contaminated level in Cu(9.7ppm) and Zn(149ppm), and the rice in Zn(90ppm). However, both crops showed no significant level in Cd(<0.2ppm) and Pb(<0.5pp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