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II) complex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3초

Ag(Ⅰ) 이온 선택성을 갖는 거대고리 리간드: 벤질 치환기를 갖는 질소-산소 주개 거대고리 리간드의 착물 형성과 액체막 이동 현상 (Ag(Ⅰ) Ion Selective Macrocyclic Ligands: The Complexation and Liquid Membrane Transport Phenomena of Benzylated Nitrogen-Oxygen Donor Macrocyclic Ligands)

  • 김정;안태호;이명노;조문환;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67-171
    • /
    • 1999
  • 벤질 치환기를 포함하는 질소-산소 혼합 주개 거대고리 리간드와 Co(II), Ni(II), Cu(II), Zn(II), Cd(II), Pb(II) 그리고 Ag(I)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95% 메탄올 용액에서 각 착물의 안정도 상수를 전위차 적정법을 통해 결정하였으며 또한 이들 거대고리 리간드를 포함하는 액체막을 통하여 금속 이온의 이동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u(II)와 Ag(I) 이온의 경우만 사용한 두 리간드와 안정한 착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액체막 이동 실험에서는 Ag(I) 이온의 선택적 이동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 PDF

거대고리 운반체에 의한 중금속이온의 에멀죤 액체막 수송 (Emulsion Liquid Membrane Transport of Heavy Metal Sons by Macrocyclic Carriers)

  • 정오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23-232
    • /
    • 1995
  • 액체막의 운반체로 사용할 새로운 2개의 거대고리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이들 결과들은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이론의 응용성을 증명하여 준다. source phase의 공존이온으로서 $SCN^-$,$I^-$$Cl^-$이온을 그리고 receicing phases에서 $S_2O_3^{2-}$$P_2O_7^{4-}$을 이용한 액세막계로서부터 중금속 이온들에 대한 선택적 수송효율을 검토하였다. source phase의 M(II)이 $Cd(SCN)_2$$(P[SCN^-]= 0.40M)$, $Hg(SCN)_2([SCN^-]=0.40M)$, Pd(CN)$([CN^-]= 0.40M)$일때 M(II)의 수송율은 최대값을 나타낸다. 각가의 경쟁 양이온에 대한 Cd(II)이나 Pd(II)은 source phase가 00.3M-$S_2O_3^{2-}$이나 0.3M-$P_2O_7^{4-}$ 일때 가장 잘 분리된다.이 연구의 결과에서, 이 액체막계에서 효과적인 거대고리-매질수송을 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규칙이 반드시 필요하다. 첫째, tiluence중으로 $M^{n+}$이온이 효과적으로 추출되고, 즉 만일 $M^{n+}$ 거대고리화합물 상호작용에 대한 logK값과 $M^{n+}$-거대고리화합물($L_1$이나 $L_2$)의 상호작용에 대한 logK값의 비가 충분히 크다면 receiving phase와 toluene의 접촉면으로부터 쉽게 중금속이온($Cd^{2+}$,$Pb^{2+}$$Hg^{2+}$)들이 떨어져 나온다. $L_1$(3,5-benzo-10,13,18,21-tetraoxa-1,7-diazabicyclo(8,5,5)eicosnan)은 $Cd^{2+}$$Pb^{2+}$ 이온과 안정한 착물을 형성한다. 그리고 $L_1$은 수용액중에서 용해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리고 $Cd^{2+}$$L_1$$Pb^{2+}$$L_1$착물은 $Cd^{2+}-{(S_2O_3)}_2^{2-}$$Pd^{2+}-P_2O_7^{4-}$착물보다 비교적 불안정하다. 다른 한편으로 $Hg^{2+}-L_1$착물의 안정도는 $Hg^2-{2+}-(S_2O_3)_2^{2-}$이나 $Pb^{2+}-P0_2O_7^{4-}$의 그것보다 그리고 $L_2$(5,8,15,18,23,26-hexaoxa-1,12-diazabicyclo(10,8,8)octacosan)의 tuluene에 대한 분배계수는 $L_1$의 그것보다 훨씬 작다. 따라서 $Hg^{2+}$-$L_1$이나 $M^{n+}$이나 $M^{n+}-L-2(M^{2+}=Cd^{2+}, Pb^{2+}$이나 $Hg^{2+})$의 안정도수상수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이들 양이온의 수송량은 매우 적다.

  • PDF

거대고리 Chlorotetraamine Cadmium(II) 착물의 합성과 분자 구조 (Synthesis and Molecular Structure of Macrocyclic Chlorotetraamine Cadmium(II) Complex)

  • 최기영;서일환;추금홍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3-136
    • /
    • 2000
  • The molecular structure of [Cd(L)Cl]Cl·2H₂O(1)(L=3,14-dimethyl-2,6,13,17-tetraazatricyclo[14,4,0/sup 1.18/,0/sup 7.12/]docosane) has been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Crystallographic dta for 1: triclinic space group P1, a=9.671(1), b=10.784(1), c=12.679(2)Å, α=112.31(1), β=99.49(1), γ=93.95(1)°, V=1230.6(3)ų, Z=2, R=0.0779. The coordination of the cadmium atom is a distorted square-pyramid with four secondary amines of the macrocycle occupying the basal sites (Cd-N/sub av/=2.300(3)Å) and a terminal chlorine atom at the axial position with a Cd-Cl(1) distance of 2.463(2)Å.

  • PDF

수소 결합을 통한 Helix 폴리 펩타이드사이의 복합체 형성 (Intermacromolecular Complex Formation between Helix Strilctilral Polypeptides through Hydrogen Bonding)

  • 조병기;김창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9-132
    • /
    • 1992
  • 물-알코올 용액에서 염기성으로 작용하는 폴리펩타이드와 산성으로 작용하는 폴리펩타이드 사이에 수소결합을 통한 복합체 형성에 관한 연구를 점도, PH, 빛산란, 원편광이색성, 광회전도 등으로 조사했다. 얻어진 결과는 여러가지 복합체 시스템 모두가 1:2 조성으로 복합체 형성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우선성 헬릭스를 가지는 폴리펩타이드와 좌선성 헬릭스를 가지는 폴리펩타이드, 즉 반대방향성의 헬릭스 구조를 가지는 폴리펩타이드들 사이에 강한 상호작용을 나타내고, 반면, 같은 방향성의 헬릭스 구조를 가지는 폴리펩타이드의 형태가 복합체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입체선택적 복합체 형성을 보인다. 또한 구조적으로 유연한 구조를 가지는 폴리펩타이드가 강한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즉, PHPL보다 PLP(I)이, PLP(I)보다 PLP(II)가, PAA보다 PGA가 더 강한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이런 상호 복합체 형성이 일어나면 형태전이가 일어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좌선성 헬릭스 구조의 모발의 케라틴에 PLP(I, II)와 PHLP를 흡착시킨 후, 흡착량을 HPLC로 측정한 결과, PLP(II)보다 PLP(I)이, PHLP보다 PLP(II)가 더 많이 흡착되었다. 결론적으로, 모발에 폴리펩타이드를 사용시, 좌선성헬릭스 구조의 폴리펩타이드 보다 우선성헬릭스 구조의 폴리펩타이드가 더 많이 흡착되고, rigid conformation의 폴리펩타이드보다 foexible conformation의 폴리펩타이드가 더 많이 모발에 흡착되어, 효과가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ladder-type cadmium(II) citrate complex, (C3H12N2)[{Cd(H2O)(C6H5O7)}2]·6H2O

  • Kim, Chong-Hyeak;Lee, Sueg-Geun
    • 분석과학
    • /
    • 제20권4호
    • /
    • pp.355-360
    • /
    • 2007
  • The title complex, $(C_3H_{12}N_2)[\{Cd(H_2O)(C_6H_5O_7)\}_2]{\cdot}6H_2O$, I, has been prepared and its structure characterized by FT-IR, EDS, elemental analysis, ICP-AES, and X-ray single crystallography. It is triclinic system, $P{\bar{1}}$ space group with a = 10.236(2), b = 11.318(2), c = $13.198(2){\AA}$, ${\alpha}=77.95(1)^{\circ}$, ${\beta}=68.10(1)^{\circ}$, ${\gamma}=78.12(1)^{\circ}$, V = $1373.5(3){\AA}^3$, Z = 2. Complex I has constituted by protonated 1,3-diaminopropane cations, citrate coordinated cadmium(II) anions, and free water molecules. The central cadmium atoms have a capped trigonal prism geometry by seven coordination with six oxygen atoms of three different citrate ligands and one water molecule. Citrate ligands are bridged to three different cadmium atoms. Each cadmium atom is linked by carboxylate and hydroxyl groups of citrate ligand to construct an one-dimensional ladder-type assembly structure. The polymeric crystal structure is stabilized by three-dimensional networks of the intermolecular O-H${\cdots}$O and N-H${\cdots}$O hydrogen-bonding interaction.

Different Dimensional and Structural Variations in Coordination Compounds of Cadmium, Manganese and Nickel Constructed from the Ligand 2,2'-Bipyidine-3,3',6,6'-tetracarboxylic Acid (H4bptc)

  • Xiang, Jing;Yang, Tian-Tian;Fu, Lu-Lu;Luo, Ya;Wu, Jia-Sho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9호
    • /
    • pp.2597-2603
    • /
    • 2013
  • The reactions of hydrated $CdCl_2$, $MnCl_2$, and $NiCl_2$ with 2,2'-bipyidine-3,3',6,6'-tetracarboxylic acid ($H_4bptc$) afforded the mononuclear [$Cd^{II}(H_2bptc)(H_2O)_3]{\cdot}H_2O$ (1), linear $\{[Cd(H_2bptc)(H_2O)]{\cdot}3H_2O\}_n$ (2), 3-D heterobimetallic $[NaCd(Hbptc)(H_2O)]$ (3), layer $[Mn(H_2bptc)(H_2O)]_n$ (4) and a dinuclear compound $[Ni_2(H_2bptc)-(H_2O)_2]{\cdot}6H_2O$ (5). These compounds have been characterized by elemental analysis, IR, and their structures have been determined by X-ray crystallography. The thermal stabilities of 1-3 were measur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their solid state luminescence properties together with the free ligand $H_4bptc$ were investigated at room temperature.

CD4O Activation Protects Dendritic Cells from Anticancer Drug-Induced Apoptosis

  • Jun, Jae-Yeon;Joo, Hong-G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7권5호
    • /
    • pp.255-259
    • /
    • 2003
  • Dendritic cells (DCs) play a critical role in various immune responses involving $CD4^+$ T cells and have been used to generate anti-tumor immunity. Chemotherapy induces severe side effects including immunosup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Although immunosuppression has been studied, th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on DCs are not fully determined.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CD40 activation strongly protected DCs from 5-fluorouracil (5-FU) or mitomycin C-induced apoptosis. DCspecific surface markers, including CD11c and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class II, were used for identifying DCs. CD 40 activation with anti-CD40 mAb significantly enhanced the viability of DCs treated with 5-FU or mitomycin C, assayed by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Fluorescence staining and analysis clearly confirmed the enhancing effect of anti-CD40 mAb on the viability of DCs, suggesting that CD40 activation may transduce critical signals for the viability of DCs. Annexin V staining assay showed that CD40 significantly protected DCs from 5-FU or mitomycin C-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this study shows that CD40 activation with anti-CD40 mAb has strong anti-apoptosis effect on DCs, suggesting that CD40 activation may overcome the immunosuppression, especially downregulation of number and function of DCs in chemotherapy-treated cancer patients.

Ni-Monoethanolamine 착염의 폴라로그라피- (A Polarographic Study of Nickel-Monoethanolamine Complex)

  • 손병영;양재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1-123
    • /
    • 1965
  • Ni(II)-Monoethanolamine(MEA)錯鹽의 水銀電極表面에 있어서의 還元反應의 反應機構를 폴라로그라프법을 써서 解明하였다. 이 錯鹽의 電極環元의 可逆程度를 直流 및 交流 폴라로그람으로 檢討하였더니 pH가 9.0보다 낮은 範圍에서는 錯鹽의 反應電流로 推測되는 非可逆性波를 나타니고 pH $9.5{\sim}11.0$ 사이에서는 Cd(II)波에 相當하는 比較的 可逆的인 well defined wave를 얻었다. MEA의 濃度와 pH를 變함으로서 얻은 波를 檢討한 結果 還元波는 이를 ligands와 빠른 平衡에 있는 Ni錯鹽에 基因하고 이 錯鹽의 化學式은 $Ni(MEA)_3OH$이고 總安定度常數는 約 $10^{20}$임을 밝혀내었다.

  • PDF

산화아연 나노로드 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발광 셀의 제작 및 발광특성 고찰 (Fabrication of ZnO Nanorod-based Electrochemical Luminescence Cells and Fundamental Luminescence Properties)

  • 오형석;성열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1호
    • /
    • pp.76-79
    • /
    • 2014
  • We report Zinc oxide (ZnO) nanorods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luminescence (ECL) cell fabrication. The ECL cell was fabricated using the electrode of ZnO nanorods and Ru(II) complex ($Ru(bpy)_3{^{2+}}$) as a luminescence materials. The fabricated ECL cell is composed of F-doped $SnO_2$ (FTO) glass/ Ru(II)/ZnO nanorods/FTO glass. The highest intensity of the emitting light was obtained at the wavelength of ~620 nm which corresponds to dark-orange color. At a bias voltage of 3V, the measured ECL efficiencies were 5 $cd/m^2$ for cell without ZnO nanorod, 145 $cd/m^2$ for ZnO nanorods-$5{\mu}m$, 208 $cd/m^2$ for ZnO nanorods-$8{\mu}m$ and 275 $cd/m^2$ for ZnO nanorods-$10{\mu}m$, respectively. At a bias voltage of 3.5V, the use of ZnO nanorods increases ECL intensities by about 3 times compared to the typical ECL cell without the use of ZnO nanor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