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heters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31초

Aspiration-Retriever Technique for Stroke with Large Bore Intermediate Catheter : A Single Center Experience

  • Nam, Ji Won;Jung, Na Young;Park, Eun Suk;Kwon, Soon Ch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5호
    • /
    • pp.732-739
    • /
    • 2021
  • Objective : Early successful reperfusion is associated with favorable outcomes in acute ischemic stroke (A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hieve successful recanalization by a combined mechanical thrombectomy technique, the Aspiration-Retriever Technique for Stroke (ARTS), which is composed of a flexible large lumen distal access catheter and a retrievable stent as the first-line strategy of mechanical thrombectomy.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62 patients with AIS who underwent mechanical thrombectomy from 2018 to 2019 at our institute by a senior neurointerventionalist. Among them, patients who were treated using the ARTS technique with the soft torqueable catheter optimized for intracranial access (SOFIA®; MicroVention-Terumo, Tustin, CA, USA) as the first-line treatment were included. Patients who had tandem occlusions or underlying intracranial artery stenosis were excluded. The angiographic and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The angiographic outcome was analyzed by the rate of successful recanalization, defined as a Thrombolysis in Cerebral Infarction score of 2b or 3 at the end of all procedures and the rate of successfully achieving the first pass effect (FPE), defined as complete recanalization with a single pass of the device. The clinical outcomes included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score, modified Rankin Scale (mRS), and mortality. Results : A total of 27 patients (mean age, 59.3 years)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The successful recanalization rate was 96% (n=26) while the FPE rate was 41% (n=11). The mean post-procedural NIHSS change was -3.0. Thirteen patients (48%) showed good clinical outcomes after thrombectomy with the ARTS technique (mRS at 90 days ≤2).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seven of 25 patients : hemorrhagic transformation in six patients (22%) and distal embolization in one patient (4%). Mortality was 15% (n=4). Conclusion : Although the clinical outcomes using the ARTS technique with a flexible large lumen distal access catheter performed as the frontline thrombectomy in patients with AIS were not significantly superior than those of other studies, this study showed a high rate of successful endovascular recanalization which was comparable to that of other studies. Therefore, ARTS using the SOFIA® catheter can be considered as the first choice of treatment for AIS due to large vessel occlusion.

심장혈관용 약물코팅풍선카테터의 개발 동향 (The Developing Trend of Cardiovacular Drug Coated Balloon Catheter)

  • 박정훈;조원일;변대흥;강소영;남충현;서경우;박준규
    • 공업화학
    • /
    • 제33권5호
    • /
    • pp.545-550
    • /
    • 2022
  •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서구화된 식습관에 의해 협심증, 심근경색증, 고혈압 등에 의한 심장질환자의 수가 5년간 10만명 이상 증가했다. 심장질환은 지난 8년간 꾸준히 국내 사망원인 2위를 기록 중이며, 이로 인해 연간 소모되는 의료비는 6조원에 달한다. 증가한 환자와 함께 다양한 치료법이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보편화 된 관상동맥중재시술 중 스텐트 삽입술의 단점인 재협착이나 장기간 이중항혈소판제 복용으로 인한 출혈의 위험 증가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약물코팅풍선카테터가 개발되어 점차 상용화되고 있는데, 국내에선 2010년 'SeQuent Please (비브라운코리아)'라는 제품이 처음 출시되면서 약물코팅풍선카테터를 사용한 시술이 시작되었고, 이후 2012년 보험급여가 적용되면서 그 사용량이 본격적으로 늘어났다. 약물코팅풍선치료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산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 동물시험 및 임상시험에서의 성능이 입증된다면 위험성이 높은 스텐트 삽입술에 비해 효과적인 시술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Evolution of Process and Outcome Measures during an Enhanced Recovery after Thoracic Surgery Program

  • Lee, Alex;Seyednejad, Nazgol;Lawati, Yaseen Al;Mattice, Amanda;Anstee, Caitlin;Legacy, Mark;Gilbert, Sebastien;Maziak, Donna E.;Sundaresan, Ramanadhan S.;Villeneuve, Patrick J.;Thompson, Calvin;Seely, Andrew J.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2호
    • /
    • pp.118-125
    • /
    • 2022
  • Background: A time course analysis was undertaken to evaluate how perioperative process-of-care and outcome measures evolved after implementation of an enhanced recovery after thoracic surgery (ERATS) program. Methods: Outcome and process-of-care measure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undergoing major elective thoracic surgery during a 9-month pre-ERATS implementation period to those at 1-3, 4-6, and 7-9 months post-ERATS implementation. Outcome measures included length of stay, the 30-day readmission rate, 30-day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nd minor and major adverse events. Process measures included first time to activity, out-of-bed, ambulation, fluid diet, diet as tolerated, as well as removal of the first and last chest tube, epidural,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nd Foley and intravenous catheters. Results: In total, 704 patients (352 pre-ERATS, 352 post-ERATS) were included. Mobilization-related process measures, including time to first activity (16.5 vs. 6.8 hours, p<0.001), out-of-bed (17.6 vs. 8.9 hours, p<0.001), and ambulation (32.4 vs. 25.4 hours, p=0.04) saw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by 1-3 months post-ERATS implementation compared to pre-ERATS. Time to Foley removal improved by 4-6 months post-ERATS (19.5 vs. 18.2 hours, p=0.003). Outcome measures, including the 30-day readmission rate an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steadily decreased post-ERATS. By 7-9 months post-ERATS, both minor (18.2% vs. 7.9%, p=0.009) and major (13.6% vs. 4.4%, p=0.007) adverse event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Length of stay trended towards improvement from 6.2 days pre-ERATS to 4.8 days by 7-9 months post-ERATS (p=0.06). Conclusion: The adoption of ERATS led to improvements in multiple process-of-care measures, which may collectively and gradually achieve optimization of clinical outcomes.

강내 방사선치료에 있어 직장선량 감소를 위한 풍선형 카테터의 검증 (Verification of Balloon Catheter for Rectal Dose Reduction in Brachytherapy)

  • 유도솔;문영민;전완;최철원;배상일;김진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35-740
    • /
    • 2022
  • 기존 강내방사선치료 시스템은 직장 출혈 등의 부작용을 줄여주고자 직장견인기, 젖은 거즈 등을 이용하여 직장과 탄뎀과의 거리를 늘려주고자 하나 질 내 좁은 입구로 삽입이 어렵고 재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강내방사선치료 시스템에 직장 피폭 선량을 줄여줄 수 있는 다양한 풍선형 카테터를 적용하였다. 카테터의 고정을 위해서는 풍선의 시작지점과 카테터 끝부분의 거리가 적절해야 하며 풍선의 크기 또한 오보이드 어플리케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에서 큰 사이즈를 만족하는 수준으로 카테터를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카테터의 CT 영상을 토대로 풍선형 카테터 유무에 따른 탄뎀에서 직장까지 거리를 확인하고 직장에 피폭되는 선량의 감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풍선의 시작지점과 카테터 끝부분의 거리, 오보이드 어플리케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에서 최대한의 풍선 크기를 고려하여 7번 카테터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카테터의 CT 영상을 토대로 풍선형 카테터 유무에 따른 확장정도를 비교해본 결과 0.3 - 1 cm 의 거리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거리차이에 의해 약 32%의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선택된 카테터의 실제 임상적용에 있어서도 기존의 직장견인기 및 젖은 거즈 등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쇄골하정맥을 통한 매립혈액투석카테터 삽입시 상지 거상법의 유용성: 2예 보고 (Placement of a Subclavian Tunneled Hemodialysis Catheter with the Patient's Arm Raised May Reduce the Risk of Complications: Two Cases Report)

  • 유지민;심동재;김도영;백승환;박창숙;이정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477-482
    • /
    • 2023
  • 매립혈액투석카테터 삽입을 위한 접근로 선택에서 쇄골하정맥은 이후에 동정맥루 접근로 형성을 위해 가능한 사용을 피하는 경로이다. 그러나 반복적 삽관으로 접근 가능한 정맥이 소진되거나 기대여명이 길지 않고 응급 투석이 필요한 경우 쇄골하정맥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쇄골하정맥을 통한 혈액투석카테터 삽입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쇄골하정맥은 종종 상대정맥과 직각을 형성하여 굵은 혈관초삽입시 혈관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상지 거상 상태에서 혈관초를 삽입하는 방법은 각도를 완만하게 유도하여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고식적앙와위 자세로 시술 중 상대정맥 손상이 있었던 환자와 연달아 내원하여 상지 거상 후 안전하게 혈액투석카테터를 삽입한 환자의 각각의 증례를 통해 상지 거상법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고하고자 한다.

경피적 폴리 카테터 삽입을 이용하여 수술 후 장 누출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적 및 임상적 요인들 (Technical and Clinical Considerations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Postoperative Bowel Perforation by Percutaneous Foley Catheter Placement)

  • 조소영;오정석;이해규;최병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6호
    • /
    • pp.1389-1396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경피적 폴리 카테터 삽입을 이용하여 수술 후 장 누출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적 및 임상적 요인을 분석함에 있다. 대상과 방법 이번 후향적 연구에는 32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수술 후 위장 누출은 컴퓨터단층촬영(CT)을 이용하여 진단되었고, 환자는 Jackson-Pratt 튜브 또는 이미지 유도 방법을 통해 경피적 경로로 누출 위치에 폴리 카테터 삽입을 시행 받았다. 성공은 합병증 없이 폴리 카테터를 성공적으로 제거한 것으로 정의하였고, 임상적 실패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경피성 폴리 카테터 배치는 합병증 없이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 폴리 카테터 삽입은 CT에서 누출이 확인된 후 중앙값 10일(범위, 1~68)째에 시행되었다. 임상적 성공은 32명의 환자 중 26명(81%)에서 달성되었다. 통계학적 분석에서, 임상적 실패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 인자는 전신적 동반 질환(p < 0.001) 및 구강 섭취 실패(p = 0.015)였다. 결론 경피적 폴리 카테터 삽입은 수술 후 장 누출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 폴리 카테터 배치 후, 전신적 동반 질환의 유무 및 성공적인 구강식이를 빠른 시일 내로 시작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성공적인 회복에 중요한 요소이다.

소아 청소년 부정맥 환자에서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의 이용 성적 (Results of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tachyarrhythmia)

  • 장영범;이승현;강은영;이경석;주찬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085-1090
    • /
    • 2007
  • 목 적 : 소아 부정맥의 치료에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 이용의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arahisian 부전도로 기전을 포함한 빈맥을 가진 소아 청소년 부정맥 환자에 대해 전기생리 검사와 함께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와 추적 소견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8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서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 받은 48명의 소아 및 청소년 환자(연령 분포 : 2-20세, 평균 $13.1{\pm}4.8$년)를 대상으로 부정맥의 유형 및 기전, 총 시술시간, 단기 성공률, 재발율, 합병증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 과 :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은 총 48례 소아 청소년 부정맥 환자에서, 부정맥의 유형은 parahisian 부전도로 5례를 포함한 WPW 증후군 19례(평균 연령 $13.7{\pm}4.6$년), 방실회귀 빈맥 11례($12.3{\pm}5.0$년), 방실결절회귀 빈맥 13례($12.6{\pm}4.4$년), 심방 조동 4례($13.0{\pm}7.4$년)과 심실 빈맥 1례였다. 시술 전 증상으로는 심계 항진이 가장 많았고(43례), 어지러움, 흉부통증 및 답답함 등의 증상성 빈맥에 따른 환자의 선택이 많았으며 무증상이었지만 부모의 선택에 의한 시술도 3례 있었다. 대상 증례 모두에서 기저 심질환은 없었다.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시 평균 $5.8{\pm}4.1$회의 고주파 전류 전달이 필요하였고, 총 시술시간은 준비시간을 포함하여 평균 $113.8{\pm}45.0$분이었다. 30례 방실회귀 빈맥 환자에서 부전도로의 위치로는 좌측 방실륜과 우심에 같은 빈도로 위치하였는데 국소 위치로는 좌심의 측벽(13례)과 우심의 전중격과 후중격 (각각 5례)에 위치한 순서였다. 대상 48명의 환아 중 2명을 제외하고 초기 시술 성공률(95.8%)을 보였고, 평균 16.4개월(2개월-4.5년) 추적 기간 동안 3례에서 부정맥의 재발을 보였고(재발율 6.5%), 재발한 증례 중 두 증례는 재시술로 치료되어 최종 치료 성공률은 93.8%였다. 시술 합병증으로는 부정맥이 재발했던 증례에서 시술 후 우측 대퇴정맥의 폐쇄와 parahisian 부전도로 절제 시술 후 우각차단 소견을 보인 증례를 제외하고 시술과 관련된 다른 합병증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소아청소년기의 상실성 빈맥 등 부정맥 치료에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이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장기간 고염 섭취한 SHR 고혈압 쥐에서, 급성 혈장량 증가에 대한 Atrial Natriuretic Peptide, Aldosterone 및 Renin 분비 반응의 비교 (Dietary Sodium Effects on Responses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Aldosterone and Renin Release to Acute Volume Expansion in SHR)

  • 김애라;이원정;주영은;김선희;조경우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3권2호
    • /
    • pp.253-261
    • /
    • 1989
  • 장기적으로 소금량을 다르게 섭취시킴에 따라서, 체내의 Na 대사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aldosterone,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및 renin 분비와 신장의 배설 반응에 나타나는 변화를 정상 혈압쥐 Wistar와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에서 비교하고자 실험하였다. 생후 7주의 숫쥐인 Wistar와 SHR에게 저염과 고염 식이 (각각 2, 25 mmol Na/100 g diet)를 6주간 먹였다. 그 후 ether 마취하에서 대퇴 동맥과 정맥 및 방광에 관을 삽입한 후, restraining cage에 넣었다. 수술회복 후 안정시 뇨와 혈액을 채취한 후, 0.9% saline을 30분동안 체중의 3%되게 정맥주입(혈장량 증가)하고 뇨와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장의 호르몬을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하였다. Wistar와 SHR의 저염, 고염 식이군의 성장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Wistar 저염과 고염군의 평균 동맥혈압은 각각 113과 110 mmHg로 차이가 없었으며, SHR의 동맥압은 141과 149mmHg로 고염군이 높았다. 저염식이군에서 혈장 aldosterone농도는 고염군보다 월등히 높았고, ANP 농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renin은 고염군보다 낮았다. 혈장량 증가 이후 혈장 aldosterone은 모든 군에서 $30{\sim}40%$정도 감소하였고, renin은 $30{\sim}60%$정도 감소하였다. 혈장량 증가 이후 ANP는 증가하였는데 고염군에서의 증가도가 저염군에서보다 월등히 높았다. 혈장량 증가 이전의 Wistar군의 혈장 aldosterone과 renin의 대조치 값은 SHR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ANP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혈장량 증가 이후의 Wistar와 SHR의 aldosterone과 renin의 감소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ANP의 증가도는 Wistar가 SHR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호르몬들 중에서 혈장 aldosterone과 renin사이에는 양의 대수함수 관계가 있으며, 기울기는 고염군이 저염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혈장량 증가 이후에 나타나는 뇨량과 소금 배설률의 증가 정도는 고염군과 저염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HR이 Wistar보다 더 심한 이뇨와 Na 배설항진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소금 섭취량에 따라서 aldosterone, ANP 및 renin의 분비 조절이 다르며, 정상 혈압과 고혈압쥐 사이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아에 있어서 전신성 칸디다증의 임상적 특징 : 전신성 세균 감염증과 비교 (A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stemic Candidiasi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Comparison with Systemic Bacterial Infection)

  • 임정화;박경필;김진경;김행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7호
    • /
    • pp.847-854
    • /
    • 2002
  • 목 적: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장기간 입원 중인 환아는 입원중 전신성 감염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이미 항생제를 투여 받고 있는 환아에서 전신 감염 증상이 발현하면, 전신성 칸디다증은 장기간의 amphotericin B의 투여가 필요하며 세균 감염증은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의 교체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인 저출생 체중아를 대상으로 전신성 칸디다증의 임상증상과 증상 발현시의 검사 소견을 전신성 세균 감염증과 비교함으로써 이들 소견의 조기 감별 진단 상의의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1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미숙아 중 저출생 체중아 중에서 배양검사로 확인된 전신성 칸디다증 20례와 전신성 세균 감염증 23례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전신성 칸디다증 환아(이하 칸디다군)의 출생시 체중은 $1,290{\pm}290g$으로 전신성 세균 감염증 환아(이하 세균군)의 $1,530{\pm}430g$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며, 총 정맥 영양, 항생제 투여, 중심 카테테르, 기관 삽관, $H_2$ 차단제 사용의 빈도가 더 높았다. 임상 양상에 있어서는 서맥 동반 무호흡 및 호흡 곤란이 두 군의 주된 발현시 증상으로, 발현 빈도는 칸디다군(90%)에서 세균군(61%)에 비해 높았다. 증상 발현시 시행한 검사 소견에서 혈소판 감소증과 백혈구 감소증이 동반된 경우가 칸디다군 7례(35%), 세균군 2례(9%)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균은 대부분 혈액에서 배양되었으며(칸디다군 19례, 세균군 19례), 그 외에 요, 중심 카테테르, 뇌척수액 등에서 배양되었다. 감염균은 칸디다군은 Candida albicans가 15례, 세균군은 Klebsiella pneumoniae와 Enterobacter cloacae가 각각 5례로 가장 빈번하였다. 결 론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장기 입원 중 전신 감염증 증상을 보이는 환아에서 호흡기 증상과 함께 검사상 혈소판 감소 단독 또는 혈소판 감소증과 백혈구 감소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전신성 칸디다 감염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 일개 병원 암 환자에서 중심정맥관 합병증에 관한 후향적 조사 (Retrospective Analysis for Complications of the Central Venous Catheter in Patients with Cancer at a Single Center in Korea)

  • 김은정;김현정;김한조;김경하;김세형;이상철;배상병;김찬규;이남수;이규택;박성규;원종호;박희숙;홍대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1호
    • /
    • pp.24-31
    • /
    • 2010
  • 목적: 암환자에게 있어 중심 정맥관 삽입은 항암치료나 수혈, 비경구 영양공급 목적으로 흔히 시행된다. 중심정맥관 삽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합병증으로는 감염, 혈전, 물리적 합병증이 있는데, 이 연구는 합병증의 빈도와 관련 인자들을 규명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중심 정맥관을 삽입한 고형암과 혈액암 환자를 대상으로 경과기록 분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감염, 혈전, 물리적 합병증 각각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감염과 혈전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과 그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차 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삽입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기 위해 단변량 분석에는 log-rank test를 이용한 Kaplan-Meier 방법과 다변량 분석에는 Cox regression analysis 를 사용하였다. 결과: 310명의 암환자들에게 310개의 중심 정맥관 삽입이 시술되었고, 남자 157명, 여자 153명이었고, 혈액암 환자가 132명, 고형암 환자 178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2세였다(range: 15~82). 60예(19%)의 환자에서 합병증이 나타났으며, 혈전을 가진 환자에서 감염이 더 빈번하게 일어났고(P=0.003), 암이나 삽입관의 종류, 수혈 및 비경구 영양 시행 여부와 합병증 발생과는 큰 연관성이 없었다. 삽입관의 평균수명은 99일(range: 2~1,330)이었는데 삽입관의 수명은 터널식 삽입관(P=0.000)을 가진 경우에, 그리고 중심정맥관을 통해 수혈을 하지 않은 경우(P=0.030) 더 연장되었다. 결론: 중심 정맥관 삽입의 주요 합병증은 혈전과 감염이었다. 터널식 정맥관은 장기적인 사용에 효과적인 방법이며, 특히 중심정맥관을 통해 수혈을 받지 않는 경우에 그러하다. 중심 정맥관 장기 사용을 위해 혈전과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