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ch variatio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2초

동중국해에서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연간 출현 변동 파악 (Inter-annual occurrence variation of the large jellyfish Nemopilema nomurai due to the changing marine environment in the East China Sea)

  • 윤은아;차철표;황두진;윤양호;신형호;곽두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3호
    • /
    • pp.242-255
    • /
    • 2012
  • The Nemopilema nomurai a very large jellyfish that has been found in the East China Sea and is now are migrating to Korea and Japan.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N. nomurai based on the changing marine environment of the East China Sea, we conducted field survey in the early summer from 2006-2008. We observed the marine environment using CTD and the occurrence of N. nomurai using FMT and bottom trawling. We caught the most N. nomurai in 2007 and the fewest in 2008 and environment factors influencing its are more sensitive temperature than salinity. Large quantities of N. nomurai with a small bell diameter were caught in 2007 and large individuals with a significant bell diameter were caught in 2008. This appeared which between the catch and bell diameter of N. nomurai had (-) correlation (R=-0.988, p=0.098). Meanwhil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N. nomurai concentrations in lower salinity mixed seawater inflow in Changjiang Diluted Water.

강원도 주문진 해역에 출현하는 대구(Gadus macrocephal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Coastal Waters off Jumunjin, Gangwondo of Korea)

  • 윤상철;양재형;박정호;최영민;박종화;이동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79-386
    • /
    • 2012
  • The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 stomach contents of 423 specimens caught by coastal gill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Jumunjin, Gangwondo,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11. The size of Pacific cod ranged from 31.0 to 86.5cm in total length (TL). The proportion of empty stomachs was 25.1%. The main prey items were Macrura, Pisces, and Cephalopoda. In order of abundance, the most dominant species of Macrura, were Pandalus eous, Argis lar, and Neocrangon communis, and the most dominant species of Pisces, were Clupea pallasii, Actoscopus japonicus, and Glyptocephalus stelleri. Berryteuthis magister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of Cephalopoda. In terms of variation in feeding habits by growth, Macrura was the most important prey group for G. macrocephalus ranging in TL from 30- to 55 cm, but Pisces was the most important prey group for cod over 56 cm TL. Catch of G. macrocephalu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catch of the three major Pisces prey species Clupea pallasii, Actoscopus japonicus and Glyptocephalus stelleri.

동중국해와 황해에서의 참조기(Pseudosciaena polyactis Bleeker) 어장의 어황 변동 (Variation of Fisheries Conditions of Fishing Ground of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Bleeker)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 백철인;이충일;최광호;김동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13-424
    • /
    • 2005
  • The study focused on the fluctuation of the fisheries conditions in fishing ground of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Bleeker. A long-term decreasing trend was observed in the accumulated catches of the species since 1926, with increasing-decreasing fluctuation repeating 6 times. Periodicity was observed in 10-year interval in good fishing years, but not in poor fishing years which had irregular fluctuations. From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past catch per unit effort, it was presumed that a group of the species seasonally migrated but most of the groups stayed throughout year in the western area off Cheju Island,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assumptions of the 1970's. The fishing grounds were distributed along the migration route differently by season, throughout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but shifted gradually southward and narrowed down to the area of $32^{\circ}N-125^{\circ}E$ off Cheju Island, where the center of fishing grounds was given birth to throughout the year with a relatively high density from autumn to spring. It was noted that a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he area of fishing grounds and density distribution of catch.

동해 남부 연안 정치망어업의 수온에 따른 종조성 변동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with Water Temperature in Set Net Fishing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 Sea)

  • 송혜진;송영선;황강석;손동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625-637
    • /
    • 2022
  •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 Sea is an important area affected by large warm currents as it connects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the South Sea, and Dokdo. From 2017 to 2021, the average catch per unit effort (CPUE; kg/day/ship) of set net fishery at six ports in the Gyeongbuk region off the southern coast of the East Sea was the highest in Gampo, Gyeongju, and the lowest in Hupo, Uljin. Although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CPUE differed by region and year, it was generally high in autumn. In the set net fishery in Pohang from 2019 to 2021, we identified 72 species, which decreased to 56 species in 2019, 46 in 2020, and 41 in 2021. The species diversity index slightly increased over the three-year periods. We fou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catch (kg) of subtropical species in autumn and the water temperature at 50 m. Among the most abundant species, we found substantial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PUE of Scomber japonicus, Scomberomous spp. and Carangids. We also not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PUE of Todarodes pacificus, Seriola spp. and Carangids.

멸치 자망 어획량의 계절변동 및 어장형성 (The Seasonal Variation of Catch by the Anchovy Gill Net and Formation of Fishing Ground)

  • 손태준;이병기;장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2-100
    • /
    • 1984
  • 우리 나라 연근해에서 최근 14개년간($1969{\sim}1982$년)의 멸치 자망에 의한 어획통계자료와 해양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의 계절변동, 어장의 중심 및 분산, 해양환경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멸치자망에 의한 어획량은 춘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약 $3,000\frac{M}{T}$으로 최대가 되나, 하계에는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한다. 추계에는 기장-구룡포와 속초-주문진 근해에서 다소 어획량이 증가하여 10월에 약 $1,500\frac{M}{T}$으로 극대치를 나타내나, 동계에는 어획이 저조하다. 월별 어획량분포로부터 추정한 어장은 대체로 춘${\cdot}$하계에 전해역으로 확산되나, 추${\cdot}$동계에는 연안으로 접근한다. $37^{\circ}N$ 이북 해역에서는 주년 어장의 중심이 속초-주문진 근해에 위치하고, 어장의 분산은 경도방향과 위도방향이 각각 연평균 8마일과 10마일로써 거의 비슷하다. $35^{\circ}N{\sim}37^{\circ}N$ 해역에서는 중심이 기장-구룡포 연안에 인접하여 띠 모양으로 위치하여 경도방향의 이동은 거의 없고 위도방향의 이동이 크며, 분산은 경도방향과 위도방향이 각각 년평균 10마일과 20마일로써 위도방향이 크다. $35^{\circ}N$ 이남 해역에서는 중심이 춘${\cdot}$하계에는 외해쪽에 위치하고 추${\cdot}$계에는 연안으로 접근하며, 분산은 경도방향과 위도방향이 각각 35마일과 8마일로써 경도방향이 현저하게 크다. 자망에 의한 멸치의 어획적수온은 $14{\sim}20^{\circ}C$, 염분은 $33.0{\sim}34.0\%0$이며, $12^{\circ}C$이하의 저온과 $34.4\%$ 이상의 고염분 및 $20^{\circ}C$ 이상의 고온과 $32.6\%0$이하의 저염분에서는 어획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앵강만 정치망 어장의 멸치 어황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fishing condition variation of anchovy in the set net fishing ground of Anggang bay, korea)

  • 이규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1호
    • /
    • pp.59-71
    • /
    • 2012
  •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fishing condition variation of anchovy in the set net fisheries of Anggang Bay, the monthly catch of anchovy was analyzed and examined based on the data acquired from 2006 to 2010 in 13 different fishing grounds. Anchovy consistently appeared from April to December and reached the production of 840 to 1,424 t (average : 1,228 t), with a big annual variation. However, anchovy production in this area accounts for approximately 75% of the production by set net in Anggang Bay whereas it holds 6.8% of the nationwide production (=18,034 t) by set net. The school of anchovy starts to appear in April at the west mouth of the bay and move north-eastward. Afterward, having three of clockwise turns in the middle of the bay, they scatter to swim into the deep place of the bay and finally go out to turn back to their coming way. These behaviors of anchovy are likely related to thermal fronts as well as distributions of food. The production of anchovy (y, kg) relied greatly on frequencies of effective northeasterly ($x_1$) or northwesterly ($x_2$) wind (${\leq}$3.5m/s) which blow between April and June. Their relationships are as follows: $y=1086.27+21.499x_1-15.16x_2$ (r=0.901). Consequently, we concluded that the northeasterly wind, which appears in the breeding season of spring, played a role to retard the movement of anchovy school to the eastern sea, while the northwesterly wind inhibits the invasion of anchovy school into the bay.

경기도 화성 연안 안강망 어장의 어류군집 (A Fish Community Caught by a Stow Net in the Water off Hwaseong City, the West Sea, Korea)

  • 차병열;임양재;조현수;권대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9-134
    • /
    • 2013
  • 서해 아산만의 경기도 화성 연안 안강망어장에서 2011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어류군집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종은 총 71종, 개체수 608,801마리 그리고 생체량은 795,503.3 g이었다. 이중 개체수에서 멸치가 592,926마리로 전체의 97.3%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흰베도라치(0.9%), 쉬쉬망둑(0.4%), 전어(0.2%), 줄공치(0.1%), 도화망둑(0.1%) 등이었으나 소량이었다. 생체량 면에서는 역시 멸치가 622,815.8 g으로 전체의 78.2%를 차지하여 최우점하였고, 기타 쉬쉬망둑(5.1%), 꼼치(2.4%), 문치가자미(2.2%), 홍어(1.8%) 등의 순이었다. 표층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59종, 개체수 190,406마리, 생체량 241,113.4 g이었으며, 저층해역에서는 총 61종, 개체수 418,395마리, 생체량 554,389.9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어류군집은 계절에 따라 많이 달랐는데, 어종수가 많았던 2011년 3월부터 5월 그리고 2012년 1월과 2월에는 개체수와 생체량이 적었으며, 대신에 어종수가 적었던 2011년 6월부터 12월까지는 개체수와 생체량이 많이 증가하였다. 이는 우점종인 멸치의 어장가입과 주로 관련이 있었다.

분사식 행망의 개발에 관한 연구 ( 2 ) - 분사식 개량조개 시험행망의 현장실험 - (Development of Hydraulic Jet Dredge ( 2 ) - Field Experiment of Hydraulic Jet Dredge for Catching Surf Clam -)

  • 고관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7권4호
    • /
    • pp.266-277
    • /
    • 1991
  • 분사류의 해저 굴삭성능을 이용하여 해저의 모래속에 서식하고 있는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PHILIPPI)를 어획하기 위해, 전보의 분사노즐의 모래면 굴삭성능에 관한 수조실험 결과를 근거로 분사식 항망 시험어구를 제작하고, 군산 앞바다의 개량조개 어장에서 1990년 10월 5일에서 10월 30일까지 현장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어구의 굴삭깊이는 분사속도 1200cm/s일 때 10~11cm, 1350cm/s일 때 11~13cm, 1500cm/s일 때 13~14cm 이상이었다. 2) 예망장력은 예망속도 6.7cm/s에서 105$\pm$5kg으로 매우 작았다. 3) 단위소해면적당 평균어획량은 0.42kg/m 상(2)으로 재래식 형망에 비해 1.2~1.6배로 많았다. 4) 분사식 항망시험 어구는 조개를 파손시키지 않아 어획물에 파손패가 거의 없었다. 5) 분사류에 의한 어장의 탁도 변화량은 수심, 유속, 저질등에 따라 다소 다르나, 표층에서는 수심 5.2m이상이면 변화량을 볼 수 없고, 해저면상 3m의 저층에서는 어구의 후방 1m에서 9~11ppm으로 최대치를 보였으나, 점차 감소되어 9m 후방 이후에서는 변화량이 거의 없었다.

  • PDF

소형어선에 의한 가다랑어 (Euthynnus pelamis)의 어황과 수온 (Relationships between Fishing Condition and Sea Surface Temperature for Skipjack(Euthynnus pelamis) Caught by Small Fishing Boats)

  • 정동근;노홍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15-30
    • /
    • 1998
  • 일본(日本) 관동근해(關東近海)에서 끌낚시어업에 의해 어획되는 가다랑어의 어획량변동 및 어장의 형성과 수온과의 관계를 파악할 목적으로, 가다랑어를 주어획대상으로 하는 소형어선 38척의 7년간 (1982~1988년)의 일별 어획자료와 치바(千葉)현 수산시험장(水産試驗場) 발행의 어해황속보 자료를 이용하여, 가다랑어의 년별 및 어기별 어획량 변동과 어장형성과 수온과의 관계에 대해서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다랑어 년평균어획량은 151,375.1kg 였다. 어획량의 년변동은, 1984년까지는 증가하다가 1985년에는 50%이하로 감소하고, 1986년에 약간 회복된 이후 증감을 되풀이 하다가 1988년에는 1984년의 수준까지 회복하였다. 조업척수가 많은 해에는 어획량도 많아지는 경향은 있지만, 1985년에는 조업척수는 평관보다 많은데 어획량은 평균보다 낮다. 이것은 CPUE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해에 따른 가다랑어의 내유량과 어장까지의 거리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2. 가다랑어 어획량의 어기별변동은, 초어기(1, 2, 3월)의 일평균어획량은 894.6kg인 반면, 성어기(4,5월)에는 3,666.0kg으로 4배이상의 어획이 있다가, 종어기(6, 7월)에 접어들면서 767.9kg로 줄어들면서 어장이 점차 소멸한다. 초어기는 가다랑어의 북상기이기 때문에 연안해역에서의 어장의 형성은 충분하지 않고, 어장의 위치에 따라서 조업 불가능한 날이 많은 반면, 성어기에는 어장분포의 상태가 양호하기 때문에, 총조업일수, 일별조업척수, 어획량 및 CPUE는 다른 어기보다 높고, 안정되어 있었다. 3. 어장에서의 연평균수온은 $19.0{\sim}20.2^{\circ}C$의 범위이고, 1983년을 제외한 각 해의 평균수온은 $19.0{\sim}19.9^{\circ}C$이다. 소또보(外房)해역에서의 가다랑어의 적수온은 $19^{\circ}C$ 내외인데, 이 적수온대가 출현하는 시기와 장소를 추찰하는 일은 효율적인 조업을 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소또보(外房)해역에서의 수온변동은 쿠로시오의 유형에 영향을 받고, 그위에 쿠로시오는 근해가다랑어 등 외양성어류의 어장형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각 해의 조업기간중, 쿠로시오 유형이 B형(型) 또는 C형(型)으로 추이한 경우(1980년, 1984년, 1988년, 1991년)에는 비교적 어획량이 많다. 반면, 어기초의 쿠로시오 유형이 N형(型)으로 추이한 경우 (1980년, 1992년)에는, 조업첫날이 늦어져서 어기가 단축되기 때문에 흉어(凶漁)가 되는 경향이 있다. 또, 조업기간중 쿠로시오 유형이 N형(型) 주체로 추이한 경우에는(1981년, 1989년), 가다랑어의 어장이 형성되기 어렵게되어 흉어(凶漁)로될 경향이 있다. 4. 어장에서의 수온범위는, 3월이 $17.0{\sim}19.0^{\circ}C$, 4월이 $17.5{\sim}20.5^{\circ}C$ 그리고 5월이 $17.5{\sim}23.0^{\circ}C$로 점차 수온범위가 커지다가, 6월에는 $21.0{\sim}23.5^{\circ}C$$21.0^{\circ}C$ 이상의 수온대에서만 어장이 형성된다. 이것은 3월~6월에는 해면수온의 상승기인 동시에 가다랑어가 북상하는 시기에 해당되기 때문에 점차 어장까지의 거리도 가까워지고, 어장에서의 수온도 고온의 모드로 변해간다.

  • PDF

삼중자망에 채집된 동해 흥해 연안어류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Trammel Net off Heunghae, Korea)

  • 황선도;박영조;최수하;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5-113
    • /
    • 1997
  • 흥해 연안에서 1989년 5월에서 1990년 10월 사이 삼중자망으로 어류를 채집하여 채집시기에 따른 종조성을 파악하고, 우점종의 체장 분석을 통하여 망목에 따른 어종별 체장 선택성을 분석하였다. 총 28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개체수와 생물량은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겨울에서 여름 사이에는 주거종인 볼락, 노래미 및 쥐노래미가 우점하였고, 가을에는 회유종인 쥐치와 말쥐치가 우점하였으며 주거종의 수는 감소하였다. 자망 100m 당 12시간 평균 어획량은 11마리, 1,938 g이었으며, 채집된 주어종들은 3세 이상의 체장 20cm 이상의 개체가 주를 이루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