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aract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9초

음악요법이 노인백내장 수술환자의 활력징후, 불안, 코티졸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usic Therapy on Vital Signs, Anxiety, Cortisol and Pain of Cataract Surgery Patients in Elderly)

  • 박정해;박광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549-558
    • /
    • 2015
  • 본 연구는 음악요법이 노인백내장 수술환자의 활력징후, 불안, 코티졸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설계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설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I시의 G대학병원에서 백내장 수술을 받은 만 65세 이상 노인 41명으로 음악요법을 적용한 실험군 21명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20명으로 구성되었다. $x^2$ test, Fisher's exact test, 독립표본 t-test, Mann-Whitney U test 등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활력징후 변화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불안, 코티졸 농도, 통증은 실험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여, 다빈도 수술 1위인 백내장수술에 음악요법 적용하는 것이 불안 및 통증을 경감시킨 것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노인백내장 수술환자에게 음악요법이 불안, 통증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중재 분야에서 노인환자에게 음악요법의 적용이 활성화되기를 제언하는 바이다.

손마사지 프로그램이 백내장 수술환자의 불안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Hand Massage Program on Anxiety and Immune Function in Clients with Cataract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 조경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7-106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hand massage program on anxiety and immune function in patients during cataract surgery. The hand massage program, in this study, consisted of hand massage and hand-holding. The subjects were sixty-three patients, thirty for the experimental and thirty-three for the control group, who were admitted at Kang Nam St. Mary's Hospital for cataract surgery.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December 10, 1997 to February 26, 1998. The level of anxiety as measured by the Visual Analogue Scal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were measured before, after hand massage, and after hand-holding. Epinephrine, norepinephrine, cortisol, blood sugar levels, neutrophil, lymphocyte, and natural killer cell percentages also were measured before hand massage and five minutes before the end of the operation. Data were analyzed by t-tests, ANCOVA, repeated measures ANOVA, and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fter hand massage, psychological anxiety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before hand massage in the experimental group, not in the control group. After hand holding,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groups. 2)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n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s in both groups. 3) The hand massage program decreased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cortisol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creased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cortisol in the control group. 4)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lood sugar levels, neutrophil and lymphocyte percentages in white blood cells after the hand massage program. However, natural killer cells in lymphocy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hand massage program could be a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decreasing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anxiety levels and improving immune function in clients having cataract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 PDF

Radiosensitivity and the Occurrence of Radiation-related Cataract and Epilation

  • Tomita, Makoto;Otake, Masanori;Moon, Sung-H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3호
    • /
    • pp.889-904
    • /
    • 2006
  • Our purpose is to ascertain, if possible, whether atomic bomb survivors with cataracts and epilation were more radiosensitive than those survivors with cataracts but without epilation. A major ophthalmologic survey was conducted in Hiroshima and Nagasaki in 1963-64. At that time, 2125 individuals were examined. Among these individuals, estimated eye organ doses, based on the DS86 dosimetry system, and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epilation within the first 60 days following the bombings are available on 1742. In the analysis of these data we have assumed that each individual represents a sample of one from a binomial distribution, and that the occurrence of cataracts and epilation are independent biological phenomena. We got following results. The threshold for cataract induction and its 95% confidence limits have been estimated from data on the occurrence of cataract and epilation. Among the 1742 study subjects, 40 had both cataracts and severe epilation. The estimated threshold based on these cases is 0.98 sievert(Sv), with 95% lower and upper confidence bounds of 0.72, and 1.32 Sv, respectively, and is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27 cases of cataracts where severe epilation was not reported, the estimated threshold is 1.74 Sv with 95% lower and upper confidence bounds of 1.21 Sv, and "not estimable".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estimate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e effect of dose is highly significant in both instances. The potential importance of biases in the DS86 dose estimates is discus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shold estimated from cataract cases with epilation and that from cases without epila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5% or 10% level, and thus affords no support for the notion of increased radiosensitivity.

  • PDF

계획적 수정체낭외적출술과 합병증이 동반된 수정체낭외적출술후 전방렌즈의 삽입술시 안압의 변화 (Intraocular Pressure Changes in the Uneventful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and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with Vitreous Loss followed by the Anterior Chamber Lens Implantation)

  • 박영훈;이규원;한덕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1호
    • /
    • pp.81-86
    • /
    • 1989
  • 1986년 1월부터 1988년 4월까지 본대학 안과학교실에서 시행한 26례의 수정체후낭적출술 및 전방렌즈 삽입술 중 planned ACL 15례와 unplanned ACL 11례를 대상으로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를 사용하여 안압을 측정하고 각 요인에 따라 수술전과 수술후 안압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보았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술전 안압과 술후 안압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은 양군 모두 없었다. 2. planned ACL군에서는 53.4%, unplanned ACL군에서는 54.5%에서 안압상승이 있었으나 두군 모두 정상범위내로 안압차이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안압변화의 평균치는 planned ACL군에서 1.07mmHg의 상승이 있었고 unplanned ACL군에서는 0.18mmHg의 안압하강이 있었다. 4. 각 군의 나이 분포도에 대한 양군간의 안압변화에 대한 유의성은 없었다. 5. 술후 3개월이 경과한 뒤의 안압 변화는 술전 안압과 비교하여 양군 모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 PDF

백내장 수술 경향과 굴절상태 - 충북 지역의 안경원 중심으로 조사 (Trends and Refractive Status of Cataract Surgery - An Optometry Clinic-Based Survey in Chungbuk)

  • 김형수;손정식;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3-148
    • /
    • 2013
  • 목적: 백내장 수술을 받은 대상자에서 성별, 연령별 분포, 사용된 인공수정체의 종류 및 수술 후의 굴절상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부터 2012년까지 백내장 수술을 받고 충북 소재 안경원에 내원한 고객 2,217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문진 및 자동굴절력계에 의한 인공수정체 반사상과 역반사조명으로 수술 여부와 인공수정체의 종류를 확인하였고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굴절상태를 결정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71.74{\pm}10.62$세이었으며, 백내장 수술은 2010년 524명에서 2012년 888명으로 증가하였다. 백내장 수술을 받은 나이는 40대 이하 52명(2.3%), 50대 144명(6.5%), 60대 404명(18.2%), 70대 1,132명(51.1%), 80대 이상 485명(21.9%)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백내장 수술 분포는 여자가 1,338명(60.4%), 남자 879명(39.6%)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백내장 수술 시 사용된 인공수정체는 대부분 단초점 인공수정체로 2,141명(96.6%)이었으며, 다초점, 조절성, 토릭 렌즈와 같은 특수 인공수정체가 76명(3.4%)으로 조사되었다. 백내장 수술 후 잔여 굴절이상은 근시성단난시 1,588안(38.5%), 원시성 단난시 327안(7.9%), 혼합난시 601안(14.6%), 근시 1,240안(30.0%), 원시 136안(3.3%), 정시 234안(5.7%)이었다. 수술 후 나안시력 평균은 $0.55{\pm}0.25$이었으며 최대교정시력 평균은 $0.80{\pm}0.23$로 조사되었다. 결론: 백내장 수술은 70대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았으며, 특수 인공수정체의 시술 빈도는 낮았다. 백내장 수술에서 대부분 잔여 굴절이상을 보였으며, 따라서 백내장 수술 후에 원거리 또는 근거리 시력 개선을 위해 안경이 필요할 것이다.

백내장 수술건수 추이예측 분석 (Predictive analysis of the Number of Cataract Surgeries)

  • 정지윤;정재연;이해종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9-75
    • /
    • 2020
  • Purpos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cataract surgeries and predict future trends using 13-year data. Methodology: Trends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of prediction methods was conducted to determine better prediction model using Major Surgery Statistics fro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 2006-2018. ARIMA(Auto 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was selected and prediction was conducted using R program. Findings: As a results, the number of surgeries will continue to increase. The trends was predicted to increase during January-April, and it declined over time and was the lowest in August. Pratical Impli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management will be needed by continuously investigating and predicting the demand and trend for surgery to prepare an alternative to the increase.

노인의 가구 소득과 눈 건강과의 관계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ye Health and Household Income of the Elderly)

  • 박지현;김효진;예기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9-217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가구 소득과 눈 건강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노인의 눈 건강 불평등 정도를 알아보고, 향후 저소득층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안보건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2009) 데이터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의 노인 1,668명을 대상으로 가구 소득에 따른 눈 건강 관련요인(시력, 백내장 유무, 군날개 유무, 안압, 망막이상소견, 나이관련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근시, 원시, 난시, 부동시 유병률)을 t-test 및 ${\chi}^2$ 검정하였다. 결과: 자동굴절계검사의 굴절이상도와 안압은 저소득군이 낮았고, 나안시력과 교정시력은 0.1~0.5 미만에서 저소득군이 높았고, 원시는 고소득군에서 높았다. 백내장과 최대교정시력 0.8미만인 사람의 백내장 유병여부는 저소득군에서 더 높게 발생하였고, 흡연, 음주, 직업, 교육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노인의 가구 소득에 따른 눈 건강 불평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백내장은 삶의 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안질환으로 저소득층 노인의 눈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안보건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90세 이상 초고령 환자들의 백내장 수술전.후 안수치와 시력에 관한 임상연구 (A Clinical Study of Ocular Dimention and Visual Acuity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Over Ninety Years Old)

  • 이정미;김인숙;신진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5-280
    • /
    • 2010
  • 목적: 의료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90세 이상의 초고령 환자들의 백내장 수술 전 후 안 수치와 시력에 관한 임상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경기도 안성소재에 위치한 안과의원에서 백내장 시행 수술을 받은 90세 이상의 환자 48명, 82안을 대상으로 수술 전 후의 최대교정시력, 안축장, 전방깊이 및 동반된 안질환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안축장 길이는 변하지 않았으나 전방의 깊이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수정체 두께의 증가로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남성이 여성보다 큰 경향을 보였다. 82안 중 71안 (86.6%)에서 수술 전에 비하여 교정시력의 향상을 보였으며, 43안(52.4%)은 0.5이상의 시력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전신질환 및 동반된 안질환을 가진 사람은 건강한 동 연령대의 정상인에 비하여 백내장 수술 후 0.5이하의 저 시력을 나타내었으나 그 외는 0.5이상의 교정시력을 나타내어 90대의 연령에서도 백내장 수술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백내장 수술은 안질환 유 무가 교정시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백내장적출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and Posterior Chamber Lens Implantation on Intraocular Pressure)

  • 차순철;이규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77-283
    • /
    • 1994
  • 저자들은 1993년 2월부터 1993년 4월까지 대구 제일안과의원에서 백내장낭외적출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을 받은 환자 중 백내장이외의 다른 안질환이나 전신질환이 없고 술전 양안 안압이 24mmHg이하인 환자중 편안만을 수술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안압의 변화를 비접촉성 안압계 및 Goldmann 압평안압계를 사용하여 3개월 이상 추적 관찰하였다. 위수정체안의 안압이 술전 안압보다 평균 $3.4{\pm}2.9mmHg$(p<0.001)의 안압하강을 나타내었으며 반대측 수정체안과의 안압차이는 평균 $2.4{\pm}3.8mmHg$(p<0.05)으로 위수정체안에서 낮은 안압을 나타내었다. 또한 Kowa 비접촉성 안압계(TM-2000, Japan)와 Goldmann 압평안압계의 안압측정치의 상관계수는 0.8876(p=0.001)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녹내장이 합병되어 있지 않은 백내장환자에서 백내장낭외적출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을 시행하여 술후 안압 변화를 관찰하여 유의한 안압감소 효과를 얻었으므로 고안압증이나 녹내장이 병발한 백내장 환자에서 백내장적출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 단독으로도 유용한 수술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 종합병원의 포괄수가제 시범사업실시 전.후 수정체수술환자의 의료서비스와 진료비 비교 분석 (The Change of Medical Care Pattern and Cost of Cataract Surgery by the DRG Payment System in a General Hospital The Change of Medical Care Pattern and Cost of Cataract Surgery by the DRG Payment System in a General Hospital)

  • 이미림;고광욱;이용환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예방의학회 2001년도 제53차 추계 학술대회 연제집
    • /
    • pp.195-196
    • /
    • 2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