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tor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7초

사료에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한 닭다리 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Quality of Chicken Thigh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5-112
    • /
    • 2011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잎 분말을 급여량(0, 0.5, 1.0 및 2.0%)에 따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계육의 pH, 총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TBARS, WHC, 전단력, 육색, 관능평가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잎 분말 0.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잎 분말 2.0%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엄나무 잎 분말을 급여한 계육의 pH, TBARS는 엄나무 잎의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아지는 결과(P<0.05)를 보이므로 엄나무 잎 분말의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엄나무 잎 급여구에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엄나무 잎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T3에서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P<0.05). 보수성과 전단력은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다. 계육의 육색 중 CIE $L^*$값과 CIE $a^*$값은 대조구보다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높아졌으며(P<0.05), CIE $b^*$값은 엄나무 잎 급여량에 의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결과이었다.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엄나무 잎 급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TU/TS는 증가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잎 분말을 육계에 급여하면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 함량이 높아지고 전자공여능이 향상됨으로 계육의 저장성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유박비료 시비가 수수류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Organic Mixed Expeller Cake Fertilizer in Sorghum-Sudangrass Hybrids)

  • 박만호;김기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4호
    • /
    • pp.23-29
    • /
    • 2017
  • 본 연구는 조사료 생산 분야에서 화학비료를 사용하는 관행농법에서 벗어나 유기재배 기술개발을 위하여 관행재배와 유기재배의 수량성, 사료가치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시험은 전남 강진군 작천면 소재 축산연구소의 논에서 수행하였다. 유기질 비료로는 질소성분이 4.0% 함유된 유박비료를 이용하였으며, 시험구 편성은 대조구(Con)와 대조구 질소 함량 기준으로 환산하여 유박비료 100% 처리구(T1), 유박비료 150% 처리구(T2), 유박비료200% 처리구(T3)로 구성 하였다. 시험품종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SX17)을 5월 25일에 ha당 40kg을 휴립세조파(조간 50cm)로 파종하였다. 수확기 처리구별 초장은 대조구 317cm, T1 252cm, T2 269cm, T3 293cm으로 대조구가 가장 우수하였고, 시비 처리구에 따른 시험구에서는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건초량은 대조구 11.386kg/ha, T1 6,015kg/ha, T2 6,799kg/ha, T3 7,627kg/ha으로 초장의 생육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조단백질은 대조구 7.0%, T1 5.7%, T2 6.3%, T3 5.1%로 시험 처리구에서는 T2에서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유박비료를 대조구 시비량 질소 함량 대비 150% 시비에서 사료가치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초장과 건초량이 증가가 이루어졌으므로 150% 기준으로 시비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프로스타글란딘 $E_1$ 요도좌제의 제조 및 평가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GE_1$ Transurethral Suppositories)

  • 김종오;권기철;이종달;최한곤;용철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0권3호
    • /
    • pp.173-17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develop a transurethral suppository containing prostaglandin $E_1\;(PGE_1)$, which stabilizes the drug, gives no irritation to physiological body and enhances the erectile response of $PGE_1.\;PGE_1$ transurethral suppositories were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compositions such as saturated polyglycolysed glyceride $(Suppocire^{\circledR}\;AP,\;SAP)$, 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 (HCO-50) and ethanol. The melting points, viscosities and $PGE_1$ release of the suppositories were investigated. Ocular irritation test was carried out after application of $PGE_1$ suppository to rabbit's eye. The intracavernous pressure (ICP), penile length and duration of erectile response were determined after transurethral administration of $PGE_1$ suppository and compared with those after intracavernosal injection of $PGE_1$ solution to cats. HCO-50 hardly affected the melting points and viscosities of $PGE_1$ suppositories. Additionally, $PGE_1$ transurethral suppositories, whose melting point ranges was $34-35^{\circ}C$, was speedily melted in physiological body. HCO-50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issolution rates of $PGE_1$ from the suppositories. Dissolution mechanism analysis showed the release of $PGE_1$ was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ime, indicating that $PGE_1$ might be released from the suppositories by Fickian diffusion. The release rate of $PGE_1$ from $PGE_1$ suppository [PGE1/SAP/HCO-50/ethanol (1/94.5/2.5/2%)] was about 80% within 2 h. This $PGE_1$ suppository gave no significant irritation to the ocular tissue, expecting that it gave no irritation to the urethral tissue less sensive than ocular tissue. Furthermore, $PGE_1$ in this suppository was stable at $4^{\circ}C$ for 2 years. This suppository increased the ICP and penile erection similar to those of injectable $PGE_1$ solution. However, it gave 2.5-fold increased duration of erectile response than injectable $PGE_1$ solut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it gave more effective erectile response than injectable $PGE_1$ solution in cats. It is concluded that this $PGE_1$ suppository with good safety, excellent stability and enhanced erectile response, could be a more effective and convenient transurethal delivery system of $PGE_1$.

  • PDF

사료 내 엄나무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계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on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Meat)

  • 이상무;황주환;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5-312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가지와 잎을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를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가지 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2%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가지와 잎을 중탕하여 그 추출물을 급여한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사료요구율은 T1과 T3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계육의 일반성분은 엄나무 급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일반성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pH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T3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총 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엄나무 가지와 잎의 급여구에서 높았고, 엄나무 가지와 잎의 혼합 중탕구인 T3에서 그 함량이 가장 높았다(p<0.05). 계육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은 엄나무 급여구에서 높았고, 특히 T3에서 가장 높았으며 LDL-cholesterol은 낮아지는 결과이었다(p<0.05). 지방산 조성은 엄나무를 급여함에 따라 지방산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포화지방산은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T3에서 이러한 경향은 뚜렷하였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가지와 잎의 중 탕 처리구는(T3) 총콜레스테롤, HDL-cholesterol 및 불포화지방산을 증가시키고, LDL-cholesterol과 포화지방산을 감소시킴으로 cholesterol 및 지방산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피마자유기반 바이오폴리머와 골재를 혼합한 어도의 어류이동효율 실험연구 (A Study on Fish Movement Efficiency in Biopolymer and Aggregate Mixed Fishway)

  • 이동진;장민호;강준구;안홍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1권1호
    • /
    • pp.11-22
    • /
    • 2024
  • 어도는 하천에 어류의 이동이 곤란할 경우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수로 또는 장치이다. 기존 어도의 경우 대부분 콘크리트 제품으로 독성물질을 용출하여 하천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친환경적이고 이동효율을 높일 수 있는 어도 조성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술은 골재와 골재사이를 무독성 소재인 피마자유에서 추출한 바이오폴리머 소재와 결합한 일체형 다공성 구조물로써 표면에 식생을 활착시킬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어도 조성 기술이다. 이에 바이오폴리머와 골재를 혼합한 친환경어도의 어류이동효율에 대하여 실규모로 조성하여 실험,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Tag를 삽입하고 방류된 어류는 총 14종 201개체였으며, 방류된 개체의 감지율은 평균 82.6%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도를 통과하여 상류로 소상한 어류는 총 6종 40개체로 평균 통과율은 21.7%로 확인되었다. 일주기 이동패턴을 확인한 결과 모든 어류가 주간에 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어도와 콘크리트 어도의 기능적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바이오폴리머를 활용한 어도는 기존 콘크리트 어도를 대체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남지역 갈색날개매미충 발생현황과 친환경 방제 (Survey the Occurrences and Establishment of Environment-friendly Control System of Ricania shanthungensis in Jeonnam Province)

  • 최덕수;마경철;김효정;이진희;오상아;김선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39-452
    • /
    • 2018
  • 본 시험은 전남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hanthungensis) 발생현황을 조사하고 친환경 방제체계 확립을 위하여 2016년부터 2017년까지 2년간 수행하였다. 광주, 전남 도내 갈색날개매미충은 15시군 61읍면의 1,344 ha에 발생하였다. 정점지역 4개소 조사 결과 난괴나 약충밀도는 2016년에 비해 2017년에 낮아지고 부화율은 감소하고 첫 부화시기나 성충 출현, 산란 시작시기는 더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알기생봉인 검정알벌류(Telenomus sp.)는 대부분의 지역에 발생하고 있으며, 기생률은 순천이 46.1%로 가장 높았고, 무안 40.6, 곡성 29.2, 구례 25.8, 광주 17 순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알 방제를 위한 살포적기는 3월 상순이었다. 살포자재와 희석배수는 친환경재배는 기계유유제 10배액, 일반재배는 클로르피리포스수화제 500배액을 살포하면 95%가 부화하지 못했다. 기계유유제, 고삼+미생물추출물제, 피마자유제의 유기농업자재가 약충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고, 성충에는 고삼+미생물추출물제, 님추출물제, 기계유유제가 좋았다. 디노테퓨란수화제 등 4종의 화학농약은 모두 약충과 성충방제에 효과적이었다. 갈색날개매미충이 가장 선호하는 주광색 등과 행동습성을 이용하여 성충 유인포획장치를 개발하였다. 포획장치 구성은 주광색 컴팩트램프 2개(30W, 20W), 황색판, 포집수반으로 구성되었으며 하루에 700마리정도 포획되었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이용해 전남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 생활환과 친환경 방제체계를 확립하였다.

혼합발효 유기질비료의 제조과정 중 비료 특성 변화 및 상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Change in Fertilizer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ing Process of Organic Fertilizer and Effect on Lettuce Growth)

  • 안난희;이상민;오은미;이초롱;공민재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3호
    • /
    • pp.27-36
    • /
    • 2020
  • 본 연구는 수입유박 대체 자재 개발을 위해 국내 유기자원을 배합하여 발효하는 과정에서 무기성분과 미생물수의 변화를 조사하여 혼합발효 유기질비료의 특성을 구명하고, 제조된 혼합발효 유기질비료의 기존 혼합유박 대체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상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국내 부산물 자원 미강, 주정박, 참깨박, 어분, 버섯폐배지 등 5종을 혼합비율별로 혼합하고 수분함량 30%, 밀봉조건에서 90일간 발효과정 중의 성분을 분석하여 기존 혼합유박 성분함량 기준에 적합한 혼합발효 유기질비료를 제조하였다. 발효 90일 동안 비료의 pH 변화는 적으며, 수분함량은 발효 60일까지는 34~35%로 유지되다가 90일차에 30~31%로 감소하였다. 총질소 함량은 발효기간 동안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으나 총탄소 함량은 발효 21일차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제조된 혼합발효 유기질비료의 비료성분 (질소, 인산, 칼륨) 함량이 8.7% 이상으로 유기질비료에 함유된 주성분의 최소량 기준에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유기질비료 발효과정 중 세균과 방선균의 밀도는 각각 60일, 30일차까지 증가하다 이후 변화가 적었으며 사상균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제조된 혼합발효 유기질비료를 시용하여 온실에서 상추를 재배한 시험 결과, 표준 질소시비량 기준 100% 시용시 혼합유박 대비 생육 및 수량이 대등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지역 내 발생되는 부산물자원으로 제조된 혼합발효 유기질비료는 수입유박을 대체하여 양분관리 자재로 농가 활용이 가능하며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 생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