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ssia obtusifolia 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Effects of Cassia obtusifolia L. Extract o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 Jang, Seung-hee;Kim, Min-jeong;Wee, Ji-hyang;Kim, Eun-jeong;Kim, Gye-yeop;Hwang, Su-jin;Choi, Won-hee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40-646
    • /
    • 2018
  • Cassia obtusifolia L. is commonly used as medicinal foods to treat gastrointestinal disease in many countries.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constipation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Cassia obtusifolia L. in rats with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Diffferent concentrations of ethanolic extract of Cassia obtusifolia L. (0, 10, 250, and 500 mg/kg) was administered to rat orally once daily for 3 weeks following loperamide treatment. Six-week-old Sprague-Dawley rats (N=25)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nd injected loperamide intraperitoneally to induce constipation in the latter four experimental groups. Following the induction of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a marked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fecal weight and water content discharged for over 1 week and intestinal transit time while an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fecal pellets remaining in the colonic lumen as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These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alleviated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the two doses (250 and 500 mg/kg) of ethanolic extract of Cassia obtusifolia L. when compared to the loperamide-treated (constipation control) group. More specifically, the number of fecal pellets in the colon was 3, 5, 4, 2.8, and 1.2 in the five groups, resp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GIT ratio was 70.77, 56.59, 58.67, 66.81, and 72.10%, respectively. The fecal water content, transit distance, and GIT ratio in the high-dos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medium-dose treatment group, but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fecal pellets in the colon. In conclusion, the Cassia obtusifolia L. extract is suggested to have beneficial effects as a therapeutic and preventive strategy to alleviate constipation and to relieve the symptoms of constipation such as pain, flatulence, distention, bloating, and unpleasant taste.

Antifungal Property of Dihydroxyanthraquinone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 LEE CHI HOON;LEE HOI 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442-446
    • /
    • 2005
  • Fungicidal activities of Cassia obtusifolia extracts and their active principles were tested against Botrytis cinerea, Erysiphe graminis, Phytophthora infestans, Puccinia recondita, Pyricularia grisea, and Rhizoctonia solani, and compared with synthetic fungicides and two dihydroxyanthraquinones. At 1 g/l, the chloroform fraction of C. obtusifolia extracts showed fungicidal activity against B. cinerea, E. graminis, P. infestans, and Py. grisea,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fungicidal activity against E. graminis and P. infestans. Danthrone was chromatographically isolated from the chloroform fraction and showed fungicidal activity against B. cinerea, E. graminis, P. infestans, and Py. grisea with 68, 100, 78, and $91\%$ control values at 0.5 g/l, respectively. Specifically, alizarin and quinizarin inhibited E. graminis, P. infestans, and Py. Grisea, but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P. recondita and R. solani. These results indicate at least one of the fungicidal actions of danthrone.

결명자의 타크린으로 유발한 간 세포독성 보호 성분 (Hepatoprotective compounds of Cassiae Semen on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 G2 cells)

  • 변에리사;정길생;안인파;리빈;이동성;고은경;윤권하;김윤철
    • 생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00-402
    • /
    • 2007
  • Tacrine is an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that is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However, tacrine treatment for Alzheimer's disease results in reversible hepatotoxicity in 30-50% of patients, which seriously limits its clinical use.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of constituents in natural products that have protective effects on tacrine-induced hepatotoxicity would be valuable. In the present study, an immortalized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was employed to screen for agents that protect against tacrine-induced hepatotoxicity. The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water extract of Cassiae Semen furnished two anthraquinones, aurantio-obtusin (1) and obtusifolin (2). Compounds 1 and 2 showed hepatoprotective effects with the protection ratio values of 55.3 +/- 0.5% and 41.2 +/- 0.8% at $160{\mu}M$, respectively.

결명자(決明子)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in Cassia obtusifolia. L.)

  • 김영국;방진기;유홍섭;이승택;박종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5-101
    • /
    • 1997
  • 결명자(決明子) 재배기술(栽培技術) 개발(開發)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해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와 손파종(播種)을 비교(比較)하여 성력효과(省力效果)를 보고 조(條), 주간(株間)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자 시험(試驗)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량(播種量)은 손파종구(播種區)에 비해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의 주간거리(株間距離) 20 및 25cm 처리(處理)에서 적었다. 2. 파종(播種) 소요시간(所要時間)은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 $60{\times}20cm$ 처리(處理)에서 손파종(播種)보다 ha당(當) 121시간(時間) 절약(節約) 되어 효율적(效率的)이었다. 3. 립모수(粒毛數)는 조간(條間) 및 주간(株間) 차이(差異)에 따라 그 밀도(密度)가 넓어질수록 적었고, 경장(莖長)은 년도(年度)에 따라 다르며, 주간(條間)이 넓어짐에 따라 다소(多少) 길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주당(株當) 협수(夾數) 및 립중(粒重)은 조간(條間), 주간(株間)이 넓은 소식(疎植)에서 증가(增加)되었다. 4. 수량(收量)은 조간(條間) 60cm 주간(株間) 20cm 처리(處理)에서 가장 높았다. 5. 적산온도(積算溫度)는 경장(莖長), 주당(株當) 협수(夾數) 및 수량(收量)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反面) 강수량(降水量)은 그들 형질(形質)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여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6. $m^2$당(當) 립모수(粒毛數)는 분기수(分技數), 주당(株當) 협수(夾數), 립중(粒重)및 수량(收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고, 수량(收量)은 분기수(分技數), 주당(株當) 협수(夾數), 립중(粒重)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남방노랑나비(Eurema hecabe)의 생태환경 및 실내사육 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cological Environments and Indoor-rearing Conditions of the Common Grass Yellow Butterfly, Eurema hecabe)

  • 이상현;김세권;남경필;손재덕;이진구;박영규;최영철;이영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3-139
    • /
    • 2012
  • 본 연구는 남방노랑나비의 인공사육을 위한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와 실내에서의 인공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식지의 생태환경조사를 위해 남방노랑나비의 주 서식지인 경남 사천시 곤양면 대진리(A지역, 하천변의 개활지)와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B지역, 구릉성 산자락) 두 곳을 조사지로 선정하여, 2010년 6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6개월간 월 2회 정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산자락인 B지역의 남방노랑나비의 개체수가 개활지인 A지역보다 성충의 경우 6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 애벌레, 번데기도 더 많은 수가 조사되었다. B지역의 경우 먹이식물이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먹이식물의 선호도는 비수리에서 170개체가 관찰되어 자연에서는 비수리가 가장 선호하는 기주식물임이 확인되었다. 실내 사육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남방노랑나비의 실내 사육을 실험하였다. 기주식물에 따른 산란선호도를 조사하기위해 암 수 100개체를 산란장에 넣고 짝짓기를 유도한 후 비수리와 결명자를 넣고 10분간 산란한 알의 수를 세어 산란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비수리에 산란한 알의 수가 $104.9{\pm}19.6$개로 결명자의 $12.7{\pm}4.5$개 보다 많아 비수리의 산란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산란된 알을 고온 장일 조건($25^{\circ}C$, 16L : 8D)의 인공적인 환경에서 사육한 결과, 산란된 알의 부화율은 53.7%이었으며, 산란에서 부화까지 평균 소요일수는 $5.1{\pm}0.9$일이었다. 유충기간은 $12.1{\pm}0.9$일이었으며, 각 령별 두폭측정 결과 1령 $0.36{\pm}0.02$, 1령 $0.61{\pm}0.02$, 3령 $0.93{\pm}0.05$, 4령 $1.46{\pm}0.08$, 5령 $2.25{\pm}0.11$로 나타났다. 사육된 애벌레의 용화율은 81.0%으로 나타났으며, 번데기기간은 평균 $6.9{\pm}0.7$일로 조사되었다. 나비의 우화율은 79.6%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남방노랑나비의 자연상태에서의 서식환경과 실내 인공사육을 위한 사육조건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