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ved Tur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알파인 스킹 시 카빙 턴과 베이직 패러렐 턴 간의 신체중심 및 하지관절의 운동학적 패턴 비교 (Comparisons of Center of Mass and Lower Extremity Kinematic Patterns between Carved and Basic Parallel Turn during Alpine Skiing)

  • 김주년;전현민;류시현;하성희;김진해;류지선;박상균;윤석훈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1-207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enter of mass and lower extremity kinematic patterns between carved and basic paralell turn during alpine skiing. Six experienced skiers (age: $20.67{\pm}4.72yrs$, body mass: $72.67{\pm}7.15kg$, height: $171.00{\pm}5.51cm$)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kier were asked to perform carved and basic paralell turn on a $22.95^{\circ}$ groomed slope. Each turn was divided into the initiation phase, steering phase 1 and 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arved turn spent significantly less running time than basic paralell turn at all three phases (p<.05). Also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center of mas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carved turn at all three phases, whereas inward leaning angle of the center of mas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carved turn at the steering phase 1 and 2 (p<.05). Bilateral knee and hip joint angle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basic paralell turn at the initiation phase and the steering phase 2 (p<.05). On the other hand, left knee and hip joint angle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basic paralell turn at the steering phase 1 (p<.05). In order to perform successful carved turn, we suggest that skiers should coordinate bilateral knee and hip joint angles to adjust the center of mass, depending on three ski turn phases.

알파인 스킹 시 상급 스키어와 중급 스키어 간의 족저압력 패턴 비교 (Comparisons of Foot Pressure Patterns between Experienced Skiers and Intermediate Skiers during Alpine Skiing)

  • 김주년;류시현;하성희;김진해;류지선;박상균;윤석훈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26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foot pressure patterns between experienced skiers and intermediate skiers during alpine skiing. Five experienced skiers and five intermediate ski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ot pressure measurement system was used to measur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vGRF) and contact area under the six plantar regions.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perform basic parallel turns and carved turns on a $18^{\circ}$ groomed slope. Each right turn was divided into the initiation phase, the steering phase 1 and 2. For the initiation phase of the basic parallel turns, significantly greater contact area was found on the LRF and RRF of the intermediate skiers (p<.05) and significantly greater vGRF was found on the LRF of the intermediate skiers (p<.05). Also significantly greater vGRF and contact area were found on the LRF and RRF of the intermediate skiers at the steering phase 1 (p<.05) and on the LRF of the intermediate skiers at the steering phase 2 (p<.05). For the carved turns, significantly greater vGRF and contact area were found on the LRF and RRF of the intermediate skiers at all three phase (p<.05).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ly greater vGRF was found on the RFF of the experienced skiers at the steering phase 1 (p<.05). Also significantly greater vGRF and contact area were found on the RMF of the experienced skiers at the steering phase 2 (p<.05). In order to increase performance, we suggest that the intermediate skiers should be unweighted at the initiation phase and shift the body weight to the forefoot of the outer foot at the steering phase 1. Also, the outer ski should be loaded more than the both skis at the steering phase 1 and 2.

컴퓨터 디자인 기반 모노스키 버킷 사용에 따른 장애인 알파인 스키 선수의 운동학적 특성 변화 연구: 사례 연구 (Disabled Alpine Ski Athlete's Kinematic Characteristic Changes by Computer Aided Design Based Mono Ski Bucket: A Case Study)

  • 구도훈;은선덕;현보람;권효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25-433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D (Computer Aided Design) based alpine mono-ski bucket design on disabled ski athletes' kinematic characteristics. Two national team ski athletes with LW11 disabilities (Locomotion Winter Classification) category for sit ski participated in both pre and post experiment. Both of the subjects performed 3 trials of carved turn on a ski slope under two conditions. Where, subject "A" performed pre experiment with personal bucket and post experiment with the newly developed CAD based bucket whereas, Subject "B" as control subject performed both pre and post experiment with his personal bucket. For the experiment, 24 Infrared cameras were positioned on the ski slope which covered the path of the ski turn. Also, motion capture suit with reflective markers were worn by both subjects. In the result, decrement in medial/lateral displacement of COM, anterior/posterior displacement of COM, flexion/extension angle of trunk as well as velocity losing rate of COM was observed in subject "A" when using the newly developed CAD based bucket. In contrast, no larger effect on performance was observed when using personal buckets. In conclusion,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 study indicated effectiveness of newly developed CAD based bucket by reducing excessive movement of hip and trunk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to perform an effective turn.

Ne-Ne 레이저의 간섭을 이용한 고정밀 리니어 스케일의 제작에 관한 연구

  • 전병욱;박두원;이명호;한응교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6-194
    • /
    • 1991
  • A study on the Manufactiring of High-Precision Linear Scale by the Use of He-Ne Laser Interference Of late,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procision machining technology, the reauirement of super-precision measurement increases as time goes on, and the precision and accuracy of standard scale which is a basis of procision measurement has been cognized as a oriterion of industrial development in a nation. Up to now, mechanical and chemical methods have been widely employed to carve scale lines on linear scale, and it is impossible for the linear scale manufactured by means of those methods to guarantee the measurement with sub-micron level owing to errors attended with various problems. And the measuring length also bears errors subjected to the influence of surroundings condition, and shows inefficient circumstances in measurement on the ground of the complexity of measuring procedure as well as massive measuring apparatus. Hence in this paper, we described on technology by which we can carve scale lines thru optical method under the condition of laboratory by using rhcoherence of He-Ne two-mode stabilized laser and in turn, put it to practical use as linear scale for the measurment of lengrh. In this researchin the case of setting scale interval to 20 .mu. m, we employed super-precision scale-carving device associated by Ar larser and acoustic optical modulator in lieu of flsahing lamp scale-carving device, and we consequently obtained superior linear scales carved with precision and accuracy of .+-. 0.3 .mu. m.

He-Ne 레이저의 간섭을 이용한 고정밀 리니어 스케일의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High Precision Linear Scale Using He-Ne Laser Interference)

  • 한응교;전병욱;이명호;박두원;노병옥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82-92
    • /
    • 1991
  •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High Precision Linear Scalr using He-Ne Laser interference Of late,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precision machining technology, the requirement of super precision measurement increases as time goes on, and the accuracy of standard scale which is a basis of precision measurement has been cognized as a criterion of industrial development in a nationl. In this paper, we described on technology by which we could carve scale lines thru optical method under the condition of laboratory by using the coherence of He-Ne two-mode stabilized laser and in turn, put it to practical use as linear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length. Hence in this research in the case of setting scale interval to 20 ${\mu}m$, we employed super precision scale-carving device associated with Ar laser and acousto optic modulator in lieu of flashing lamp scale-carving device, and we obtained as experimental result superior linear scales carved within the accuracy of ${\pm}$0.3${\mu}m$.

  • PDF

창녕 문암정(聞巖亭)의 조영 및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Munam Pavilion in Changnyeong(聞巖亭))

  • 이원호;김동현;김재웅;안계복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41
    • /
    • 2014
  • 본 연구는 창녕 문암정(聞巖亭)의 역사문화적 가치 및 원형을 구명하기 위하여 문집, 기문 등의 문헌분석과, Arc-GIS를 바탕으로 조영실제 및 입지와 공간구성, 경관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암정의 조영자는 문암 신초(辛礎, 1549~1618)로 자연에 귀의하고자하는 조영자의 자연관을 알 수 있었으며, 문암정의 조영시기는 벼슬에서 물러나 문암정을 조성하고 소영하였다는 내용이 나타나는 1608~1618년도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둘째, 문암정은 주변 산지에 위요되어 있고, 급경사지에 형성된 성곽과 같은 고립지형 정상부에 문암정을 조성하였다. 문암정은 별서로서 그 지역의 명승으로 인식되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문암정 주변의 마을진입로의 교량과 계성천의 석축, 보, 주변 농경지의 시설 및 주택 등으로 인하여 과거의 조망경관이 훼손된 상태이다. 셋째, 문암정은 문암정이 위치한 중심공간과 문암정 동 서측에 위치한 진입공간, 영정각을 중심으로 하는 배향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문암정의 원형은 문암정과 문암바위로 구성된 단순한 구조로, 현재의 진입동선과는 달리 조성 당시에는 직접적인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문암정의 공간구성요소는 배롱나무 수림, 점경물로서의 각자바위, 그리고 정자 건조물로 구분되어진다. 문암정 일원의 식생은 경내와 경외로 나뉘어, 경내는 매우 제한적인 식재가 이루어졌으며, 경외는 전면의 배롱나무 수림과 후면의 송림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대규모의 배롱나무 군락은 조영자와 결부된 희귀한 역사기록 종 자원으로의 자연유산에 해당한다. 각자바위는 문암정 건조물과 인접하여 공간의 영역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조영자와 관련된 경물로 작용하고 있고, 한 가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기록행위의 하나로 문암정 전면의 각자바위군(群)은 일정한 방향성과 규범을 가지고 시기별로 조성된 보기 드문 사례이다. 다섯째, '문암팔경'은 방위에 따라 방위와 관계없는 경관요소가 4개소, 방위에 따른 경관요소가 4개소로 나타났다. 방위와 관계없는 경관요소로는 창녕 사리 배롱나무 수림, 문암정 후면 송림, 옥천계곡, 관룡사 대흥사이다. 방위와 관계한 요소 중 절대방위에 해당하는 요소로는 대흥사, 화왕산, 계성천, 영취산으로 판단되며, 상대방위로는 관룡사, 영취산, 옥천계곡, 공지기고개로 판단된다. 이 중 현존하는 대상은 창녕 사리 배롱나무 수림과 문암정 후면 송림, 계성천 옥천계곡 등이 있으며, 이외의 경관요소는 명확한 장소와 대상의 추정이 불가능한 일반적 팔경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현재 확인이 어려운 상태이다. 문암정은 문암 신초가 말년에 난세를 피하여 자연에 은거하기 위해 조성된 정자로, 정자와 관련된 문암집과 문암충의록 등 조영관련 기록이 남아 있으며, 독특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자의 입지와 각자바위를 통한 기록문화, 대규모의 배롱나무 노거수 군락, 팔경의 경영을 통한 문화경관적 요소가 남아있는 곳으로 판단된다.

발해 묘지(墓誌) 양식의 형성배경과 영향 (The study on the formation and influence about the epigraph form the Bal-Hae Dynasty)

  • 박재복
    • 동양고전연구
    • /
    • 제34호
    • /
    • pp.225-255
    • /
    • 2009
  • 본고에서는 정혜(貞惠) 정효(貞孝)공주의 묘지(墓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발해 묘지 양식의 형성 배경과 특징 그리고 후대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발해의 묘지 양식은 다음과 같은 고고학적인 특징과 역사적인 의의를 지니고 있다. 첫째, 발해의 묘지는 규형(圭形)의 비갈(碑碣) 형태를 띠고 있는데, 규형으로 된 비(碑)는 동한(東漢) 시대에 처음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위진(魏晉) 시대에 이르러 무덤 앞에 묘비 세우는 것을 엄격하게 규제함에 따라 무덤 안에 규모가 작은 비갈 형태의 묘지가 출현하였다. 그러나 출토된 발해의 묘지 2점은 동시대의 당나라나 통일 신라의 그것과는 달리 규형의 비갈 양식을 띠고 있다. 이는 위진 남북조 시기의 비갈 양식이 고구려에 영향을 끼쳤고 다시 고구려의 비갈 양식이 고분벽화와 함께 발해의 묘지 제작 방식에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인근 왕조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발해는 스스로의 독특한 묘지 양식을 발전시켜왔다. 발해의 묘지 형태는 전형적인 규형(5각형)에서 뾰족한 윗부분을 다시 반으로 나누고 가로로 윗부분을 잘라 내어 사다리꼴의 변형된 규형(6각형)으로 변화 되었는데, 이는 이전과 동시대의 주변국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고유한 양식이다. 셋째, 정혜공주묘지 정면의 테두리선과 문양도 새롭게 등장하는 양식으로, 발해의 묘지에서는 미학적인 기준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던 듯하다. 정혜공주의 묘지는 우선 비 몸돌의 정면에 실선을 새겨 넣어 장방형의 몸체와 사다리꼴의 이수(?首) 부분으로 구분하고, 다시 사면의 가장자리에서 두 선을 긋고 그 사이에 식물의 덩굴문양을 새겼으며, 윗부분의 사다리꼴 안에는 꽃문양을 새겨 넣음으로써 한층 화려한 모습을 보인다. 넷째, 발해의 묘지 양식은 인근 지역에 성립된 후대 왕조의 묘지 양식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발해의 영향을 받은 고려는 물론 요, 송, 금, 원 등의 묘지에서도 발해묘지 양식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