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otid atherosclerosi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2초

Detection of Enterovirus, Cytomegalovirus, and Chlamydia pneumoniae in Atheromas

  • Kwon Tae Won;Kim Do Kyun;Ye Jeong Sook;Lee Won Joo;Moon Mi Sun;Joo Chul Hyun;Lee Heuiran;Kim Yoo Kyum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299-304
    • /
    • 2004
  •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infectious agents in human atherosclerotic arterial tissues. Atherosclerotic plaques were removed from 128 patients undergoing carotid endarterectomy or other bypass proce­dures for occlusive disease, and from twenty normal arterial wall samples, obtained from transplant donors with no history of diabetes, hypertension, smoking, or hyperlipidemia.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r reverse transcription-PCR, these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Chlamydia pneumoniae, cytomegalovirus, enterovirus, adenovirus, herpes simplex viruses types 1 and 2, and Epstein-Barr virus. The amplicons were then sequenced, and phylogenetic analyses were per­formed. Enteroviral RNA was found in 22 of 128 atherosclerotic vascular lesions $(17.2\%),$ and C. pneu­moniae and cytomegalovirus were each found in 2 samples $(1.6\%).$ In contrast, adenovirus, herpes simplex viruses, and Epstein-Barr virus were not identified in any of the atherosclerotic samples. Enterovirus was detected in 6/24 $(25.0\%)$ aortas, 7/33 $(21.2\%)$ carotid arteries, 6/40 $(15.0\%)$ femoral arteries, and 3/31 $(9.7\%)$ radial arteries of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There were no infectious agents detected in any of the control specimens. Using phylogenetic analysis, the enterovirus isolates were clustered into 3 groups, arranged as echovirus 9 and coxsackieviruses Bl and B3. Enteroviral RNA was detected in $17.2\%$ of atherosclerotic plaques, but was not observed in any of the control spec­imens. This suggests a connection between enteroviral infection and atherosclerosis. These findings dif­fer from those of other studies, which found more frequent incidence of C. pneumoniae and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atherosclerotic plaques.

Coincidence of calcified carotid atheromatous plaque, osteoporosis, and periodontal bone loss in dental panoramic radiographs

  • Ramesh, Aruna;Soroushian, Sheila;Ganguly, Rumpa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3권4호
    • /
    • pp.235-243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orrelation of calcified carotid atheromatous plaque (CCAP), the mandibular cortical index, and periodontal bone loss in panoramic radiograph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eighty-five panoramic radiographs with CCAP and 234 without this finding were evaluated by 3 observers for the presence of osseous changes related to osteoporosis and periodontal bone loss. Chi-squared and Mann-Whitney U 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two groups for an association of CCAP with the mandibular cortical index and periodontal bone loss, respectively.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incidence of CCAP and osseous changes related to osteopenia/osteoporosis, with a p-value <0.00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incidence of CCAP and periodontal bone loss. When comparing the 2 groups, "With CCAP" and "Without CCA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mean body mass index (BMI), number of remaining teeth, positive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and vascular accid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gender or a history of smoking.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a possible concurrence of CCAP and mandibular cortical changes secondary to osteopenia/osteoporosis in panoramic radiographs. This could demonstrate the important role of dental professionals in screening for these systemic conditions, leading to timely and appropriate referrals resulting in early interventions and thus improving overall health.

More frequent detection of calcified carotid atherosclerotic plaques and mineralized laryngeal cartilages on digital than on film-based panoramic radiographs

  • de-Azevedo-Vaz, Sergio Lins;Machado, Joao Victor Pereira;Pereira, Teresa Cristina Rangel;Freitas, Deborah Queiroz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1호
    • /
    • pp.65-70
    • /
    • 2019
  • Purpose: To determine whether calcified carotid atherosclerotic plaques(CCAPs) and mineralized laryngeal cartilages (MLCs) were more frequently detected on digital or film-based panoramic radiographs. The clinical relevance of this question is that some radiopacities seen on digital radiographs may correspond to medium-density tissues that are not necessarily mineralized. Materials an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panoramic radiographs and the respective reports issued by 2 private oral radiology centers. A total of 388 radiographs and reports were divided into film-based (group A) and digital (group D) radiographs. The frequencies of CCAPs and MLCs were analyzed using the Fisher exact test, and odds ratios were also calculated (${\alpha}=1%$).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hose reports and radiographs showed CCAPs and/or MLCs ranged from 50.1 to 54.1 years. There was a predominance of females. A higher frequency of CCAPs and MLCs was observed in group D than in group A at both centers(P<0.01). CCAPs and MLCs were detected 4 times more frequently in group D than in group A at one of the centers. Conclusion: CCAPs and MLCs were more frequently detected on digital than on film-based panoramic radiograph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such radiopacities do indeed correspond to mineralized, rather than medium-density, tissues.

대학생들의 흡연 및 음주에 따른 목동맥 두께의 상관성 (Relationship of Thickness of Carotid Artery according to Smoking and Drinking in University Students)

  • 김대식;성현호;조은경;이종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45-35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CIMT (목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흡연 습관, 음주 습관 및 두 가지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CAGE (음주 관련: 절주, 비판에 대한 반감, 죄책감, 해장) 설문지, FTND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설문지, 대학생들의 CIMT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세 군으로 분류 된 각 음주 수준에 따른 CIMT 결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FTND 흡연 분류에 따른 CIMT의 결과는 흡연 군이 비 흡연 군보다 높았다(P<0.01). 흡연과 음주는 좌우 CIMT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음주의 위험만 있는 군에서 왼쪽 CIMT (19.84 순위)는 낮은 순위를 보였다. 왼쪽(42.38 순위)과 오른쪽(42.81 순위)의 CIMT는 흡연 위험만 있는 집단에서 높은 순서를 보였다(P<0.01). 이 연구 결과 흡연자와 음주자 사이의 평균 CIMT, 특히 흡연 상태가 높은 사람들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 점이 있다. 첫째, 작은 연구 대상 두번째, 대상자가 어리고, 셋째, 흡연, 음주 및 CIMT에만 중점을 두었다. 결론적으로, 흡연은 젊은 성인에서 무증상 아테롬성 동맥 경화 위험인자에 대한 부작용과 CIMT를 현저하게 악화 시키며 젊은 성인에서 금연의 중요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비만 소아들에서의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 측정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Measurement in Obese Children)

  • 박경옥;최석주;염희현;정소정;유정진;박영신;이동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9호
    • /
    • pp.935-938
    • /
    • 2005
  • 목 적 : 소아 비만은 동맥 경화에 따른 성인 심혈관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이다. 저자들은 비만 소아들을 대상으로, 동맥경화증의 조기 병변인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정상아들에 비해 증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총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체질량지수가 연령, 성별 표준치의 85 백분위수 이상인 21명의 비만아/과체중아들을 비만군으로 하였고, 85 백분위수 미만이었던 11명을 정상 대조군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 소아들에서 만성 질환력과 약물 투여력이 없었다. 연령, 성별, 신장, 체중, 수축기/이완기 혈압 등이 조사되었고, 초음파를 통해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측정되었다. 19명의 비만아군 환아들에서 혈청 포도당, 간 transaminase 수치, 콜레스테롤 수치 등이 검사되었다. 결 과 : 비만아군의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0.42 vs. 0.40, P=0.0592). 단순선형회귀분석 결과 체질량지수를 포함하여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변화를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설명해 주는 변수는 없었으나, 체질량지수가 유의성에 근접하였다(P=0.0585). 결 론 : 소아들을 대상으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 측정이 연구된 것은 저자들이 조사한 바로는 국내에서 본 연구가 시초의 것으로 생각된다. 통계적 유의성에 근접하였으나 조사 대상수의 부족으로 비만아에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상승이나 체질량지수와의 의미있는 연관성을 증명해 내지는 못하였다. 향후 보다 많은 비만 소아들을 포함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ntithrombotic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Aromatic Herb Elsholtzia splendens

  • Kim, Won Shik;Lim, Y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7-280
    • /
    • 2017
  • Elsholtzia splendens, which grows on moist soil of mountainous regions, is widely distributed at all regions of Korea, especially at Mountain Ji ri. It is categorized as a Labiatae plant which is dried aerial part. It has the following medicinal properties; removal of fever, alleviation of pain, a good antiphlogistic agent as well as antibacterial effects. However, the effects of E. splendens on thrombosis and platelet activation are not precisely understood. We performed this study to develop antithrombotic agents from oriental medicine herb extracts. E. splendens inhibited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arachidonic acid and U46619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E. splendens did not show an effect on anticoagulation as determined by prothrombin time (PT) or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We also tested the effects of E. splendens using a carotid artery thrombosis rat model induced by 35% $FeCl_3$ treatment. E. splendens significantly inhibited thrombus weigh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E. splendens may be developed as a potential antiplatelet activity agent for treatment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nd atherosclerosis.

腦硬塞 患者에서 銀杏葉椎出物의 治療效果 (Effect of Ginkgo biloba extract in treatment of cerebral infarction)

  • 박양춘;임석린;김병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0-250
    • /
    • 1998
  • Background: Ginkgo biloba extract is used in disorser of cerebral and peripheral blood circulation, dysfunction of brain, atherosclerosis etc., but there are little study about GbE in oriental medicine. We wished to assessthe efficacy of GbE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infarction Method : The study group comprised 40 patients who arrived at hospital during 48 hours after attack. All patient were devided into two group.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Uhuangcheongsimhuan, Seonghyangjeonggisan, acupuncture therapy only, while the GbE group was treated with above therapy plus 5 days of administration of GbE(40mg three times per day). Result: 1. Symptom improve scores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GbE group. 2. Vasoreactivity of carotid siph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GbE group after treatment (in the left only : p<0.05). 3. Vasorcactivity of radial artery increased significantly in GbE group after treatment(in the right only ; p<0.05). 4. PT, a-PTT, Fibrinogen did not showed significant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both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asoreactivity increasing effect of GbE may be useful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erebral infarction. But the vasoreactivity increasing effect of GbE may be different from symptom imroving.

  • PDF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정상 C-반응성 단백질 농도를 가진 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가지는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Value of Intima-media Thickness in Patients with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and C-reactive Protein within Normal Limits)

  • 권종범;박건;최시영;박찬범;김용환;허성호;박만원;이종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482-489
    • /
    • 2010
  • 배경: 본 연구에서는 정상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hs-CRP) 농도를 가진 안정형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관상동맥 질환의 중증도를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서 신뢰도가 높고, 용이한 방법인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88명의 안정형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서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인($\geq$0.5 mg/dL) 121명의 환자를 제외한 5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미 알려진 관상동맥 유발 위험 인자들과 좌측 경동맥 내중막 두께 그리고 관상동맥 질환 중증도의 연관성을 알아 보았다. 환자들은 중간값(median-value)을 기준으로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높은 군과 낮은 군으로 나누었고 관상동맥 조영술 상 3개의 주 관상동맥 중 적어도 1개 이상의 관상동맥에서 원래 직경의 50% 이상 좁아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567명의 환자들 중, 중간값인 0.76 mm을 기준으로 300명(52.9%)은 경동맥 두께가 낮은 군에, 267명(47.1%)은 높은 군에 속하였다.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하면 높은 연령(49세 이하 vs. 70세 이상; 상대적위험률=6.552), 높은 공복 혈당(99 mg/dL 이하 vs. 120 mg/dL 이상; 상대적위험률=1.713),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1 혈관질환 vs. 2 혈관질환; 상대적위험률=1.711, 1 혈관질환 vs. 3 혈관질환; 상대적위험률=1.714)에서 유의하게 의미가 있었다. 결론: 우리는 안정형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의의있게 큰 경우 C-반응성 단백질의 농도가 정상이라도 관상동맥 질환이 더 다혈관질환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다해상도 스네이크를 통한 경동맥 내막-중막 경계선 자동추출 (Automatic Boundary Detection of Carotid Intima-Media based on Multiresolution Snake)

  • 이유부;최유주;김명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2호
    • /
    • pp.77-84
    • /
    • 2007
  • 경동맥 B 모드 초음파영상에서 내막 중막 두께(IMT: Intima-Media Thickness)는 죽상경화증의 조기 표식자로 뇌졸중과 심혈관 질환의 예측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수동측정에 의존한다. 그러나 잡음의 제약성을 가진 초음파영상에서 내막 중막 경계선의 수동추적을 통한 측정은 관찰자 간, 동일 관찰자 내 그 결과가 달라지는 변이성과 비효율성의 문제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영상이 갖는 잡음의 제약성을 극복하고 전형적인 스네이크의 초기 윤곽선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결합한 다해상도 스네이크 자동추출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우선 잡음을 제거하면서 영상의 전역적인 형태정보 유지가 가능한 가우시안 피라미드를 이용하여 영상 피라미드를 구축한다. 다음으로 가장 낮은 해상도 영역에서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경계선의 다중영상특징 및 연속성을 고려한 평가항을 포함하는 평가함수 최소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경계선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자동으로 추출된 경계선은 다음 레벨 영상에서 수행되는 스네이크의 초기 윤곽선으로 지정됨으로써 초기 윤곽선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스네이크 수행 시 잡음에 민감하여 실제 경계가 아닌 지역적 최소점(local minima)에 수렴할 수 있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다중 영상특성을 고려한 외부에너지를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분할기법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자동 추출된 경계선 두께측정과 임상 전문가에 의한 수동측정 결과의 상관관계(correlation)를 계산한다. 제안된 자동추출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에지 추출알고리즘보다 더욱 정확하고 재생산 가능한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자동측정이 가능하게 한다.

당귀작약산이 정상인의 총경동맥 탄력도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대조군 교차시험 (Effects of Dangui-jakyak-san on Common Carotid Artery Elasticity in Healthy Subjects ;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study)

  • 김수현;서유나;배인후;조기호;문상관;정우상;권승원;진철
    •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32
    • /
    • 2020
  • ■ Objectives 당귀작약산 단회 복용으로 정상인의 총경동맥 탄력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Methods 본 연구는 정상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무작위 대조군 교차시험연구다. 모든 대상자들은 임의로 당귀작약산 복용군과 비복용군인 대조군으로 나누어졌다. 1주일 간격으로 총 2회 방문하며, 첫 번째 방문 시에 당귀작약산 복용군은 당귀작약산 1포(2.5g)과 물을 제공받고, 대조군은 물만 제공받아 복용하였다. 두 번째 방문 시 첫 번째 방문과 반대로 당귀작약산을 복용했던 복용군은 물만 제공받고, 물만 복용했던 피험자들은 당귀작약산 1포와 물을 제공받았다. 물은 100 cc로 매번 동일하게 제공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복용 직전과 복용 2시간, 4시간 후에 총경동맥 탄력도, 혈압, 총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맥박수를 측정하였다. ■ Results 총 20명의 정상인 남성이 모집되었으며, 시간에 따라 당귀작약산 복용 후의 총경동맥 탄력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상승한 것이 확인되었다. 내막-중막 두께, 혈압 및 맥압, 맥박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 Conclusion 당귀작약산의 단회 복용으로 총경동맥 탄력도가 즉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써 당귀작약산이 동맥 경직도 완화 및 탄성의 개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