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x humili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42초

Inhibitory Effects of Herbal Extracts on Cyclooxygenase Activity of Prostaglandin $H_2$ Synthase from Sheep Seminal Vesicle

  • Min, Kyung-Rak;Kim, Young-Ki;Kang, Seh-Hoon;Mar, Woong-Chon;Lee, Kyong-Soon;Ro, Jae-Seup;Lee, Seung-Ho;Kim, Young-So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권1호
    • /
    • pp.56-74
    • /
    • 1996
  • Prostaglandin $H_2$ synthase is the pharmacological target site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hibitory effects on cyclooxygenase activity of the synthase by extracts prepared from herbal medicines and wild plants in Korea have been estimated. Sixteen species out of 612 species exhibited more than 50% of inhibition on the enzyme activity. The active extracts prepared from Carex humilis, Celastrus orbiculatus, Eugenia caryophyllata,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Glycyrrhiza grabra, Glycyrrhiza uralensis, Gyrophora exculenta, Lespedeza maximowiczii, Morus alba, Persicaria conspicua, Prunus salicina, pterocarya stenoptera, Rheum undulatum, Vitis amurensis, and Vitis coignetiae have been sequentially washed with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n-butanol. Among the solvent fractions of the active herbal extracts, ethyl acetate fraction of Carex humilis exhibit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the cyclooxygenase activity of prostaglandin $H_2$ synthase.

  • PDF

산거울 추출물의 Elastase 활성 저해 및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arex humilis Extract on Elastase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 박선희;이강혁;한창성;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산거울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항산화,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mRNA 발현 및 단백질의 생성 억제 관련 실험을 진행하였다. 산거울의 뿌리부분을 95 % 에탄올로 추출하고 유기 용매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엘라스타제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 EtOAc 분획이 각각 SC50=4.89 ${\mu}g/mL$, IC50=23.5 ${\mu}g/mL$ 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활성이 가장 좋은 EtOAc 분획물로 부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물질이 ${\alpha}$-viniferin임을 분광학적 분석결과로 확인하였다. RT-PCR을 이용한 MMP-1 mRNA 발현능 평가에서 EtOAc 분획물과 ${\alpha}$-viniferin은 각각 50 ~ 60 % (10 ~ 100 ${\mu}g/mL$), 약 60 ~ 75 % (0.5 ~ 2 ${\mu}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Western-blot을 이용한 MMP-1 단백질 생성을 평가한 결과에서 역시 EtOAc 분획물과 ${\alpha}$-viniferin은 같은 농도에서 각각 50 ~ 65 %와 55 ~ 65 %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alpha}$-viniferin을 함유한 산거울의 EtOAc 분획층의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APD에 의한 지리산 내 산거울 집단의 공간적 상관관계 분석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of Carex humilis on Mt. Giri by RAPD)

  • 이복규;이병룡;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287-1293
    • /
    • 2010
  • RAPD에 의한 지리산 내 산거울 집단의 유전자 빈도와 지리적 거리에 따른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 102 DNA 분절(밴드)이 107 개체에서 탐지되었다. 102 밴드 중 48(47.1%)개 밴드는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분집단간 다형성의 비교에서 거리 구간 I와 V가 가장 낮은 변이(16.7%)를 나타내었고, 거리 구간 VIII이 가장 높은 변이를 나타내었다(22.6%). 전체 다양도는 0.076이었다. 구간 VIII이 가장 높은 다양도(0.093)를 나타내었고, 구간 I가 가장 낮았다(0.063). 구간 사이의 유전적 유사도는 60 m 거리까지는 유사하였다. 지리산 집단에서 산거울은 강한 공간구조를 나타내고 있음이 RAPD 마커로 알 수 있었다. 이는 지리산 집단에서 낮은 이주자수와 개체들이 덩어리 모양의 분포를 나타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RAPD 마커로 산거울의 공간구조와 유전적 구조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고등식물로부터 피부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물질의 탐색 (The Screening of the Inhibitory Compounds on Tyrosinase Activity from the Natural Product)

  • 이승호;박지수;김소영;김진준;정시련
    • 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56-461
    • /
    • 1997
  • Tyrosinase is known to accelerate the melanin polymer biosynthesis in melanocyte, so tyrosinase inhibitors hinder the melanin polymer biosynthesis and are useful not only for th e material used in cosmetics as skin-whitening agents but also as the remedy for disturbances in pigmentation. During our search for new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natural sources, 130 higher plants were tested for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tyrosinase activity by the mushroom tyrosinase assay. Among them, Carex humilis ($IC_{50}$, 10vg/ml), Sophora flavescence ($IC_{50},\;20{\sim}50{mu}g/ml$) and Styrax japonica ($IC_{50},\;10{\mu}g/ml$) inhibited the tyrosinase activity strongly.

  • PDF

송이 발생지(發生地)의 식생(植生)과 주요(主要) 야생(野生) 버섯 분포(分布) 조사(調査) (Survey on the Flora and Main Wild Mushroom in Tricholoma matsutake Producing Sites)

  • 나종성;류정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4-148
    • /
    • 1992
  • 야생(野生) 버섯 중(中) 송이의 대표적 발생지(發生地)인 전북(全北) 남원(南原) 지역(地域)에서 식생(植生) 및 주요(主要) 야생(野生)버섯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송이 발생지(發生地)에서 식생(植生)의 출현종수(出現種數)는 $11{\sim}29$종(種)이었으며 교목층(喬木層)(Tl, T2)에서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 관목층(灌木層)(S)에서는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m TURCZ), 졸참나무(Quercus serrata THUNB.), 초목층(草木層)(H)에서는 산거울(Carex humilis LEYss.)이 우고(優古)하고 있었다. 송이 발생지(發生地)의 주요(主要) 야생(野生) 버섯 분포(分布)는 그물버섯과(科)(Boletaceae)에 속하는 평원비단그물버섯(Suilus Placidus Bon. Sing.)과 싸리버섯과(科)(Ramariaceae)에 속하는 싸리버섯(Ramaria botrytis Fr. Ricken) 등(等)이 주종(主從)을 이루었다.

  • PDF

오대산(五臺山)의 산림식생(山林植生)과 입지특성(立地特性)에 관한 연구(硏究)(I) - 동대산지역(東臺山地域)의 식물군락분류(植物群落分類) -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Forest Vegetation and Site in Mt. Odae(I)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y in Tongdaesan-)

  • 이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173-184
    • /
    • 2000
  • 본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 동대산지역의 산림식생구조와 입지환경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산림관리방안 등을 검토하고자 조사되었다. 동대산의 산림식생은 방위, 지형 등의 입지환경에 따라 식생구성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총 242개의 식생자료를 수집하여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조사된 군락은 2개의 군락군과 7개의 군락으로 구분되었고 그 하위에 수개의 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당단풍군락군은 주로 광량이 풍부하고 건조한 남사면에 분포하였다. 이 군락군은 털진달래군락, 털조록싸리군락, 산거울-다릅나무군락, 신갈나무-당단풍전형군락, 참나물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그 중 산거울-다릅나무군락은 민둥갈퀴아군락과 전형아군락으로, 참나물군락은 광릉갈퀴아군락과 전형아군락으로 세분되었다. 광량이 부족하고 습한 북사면에는 관중-층층나무군락군이 분포하였으며 시닥나무-산겨릅군락과 물참대-난티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물참대-난티나무군락은 다시 산겨릅나무아군락, 톱바위취아군락, 전행군아군락으로 세분되었다.

  • PDF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Carex L. subgen. Eucarex Cross & Germ.) 피사초절과 그늘사초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ect. Rhomboidales Kük. and sect. Digitatae Fr. of genus Carex L. subgen. Eucarex Cross & Germ. (Cyperaceae) in Korea)

  • 오용자;김지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1-338
    • /
    • 2002
  •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Eucarex Cross & Germ.) 피사초절(section Rhomboidales Nees) 4종과 그늘사초절(section Digitatae Fr.) 7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과 수과의 길이와 너비, 포의 수)과 정성적 형질(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의 모양, 엽설의 유무, 줄기단면과 비늘조각 윗부분의 모양) 및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기본표피세포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수와 모양,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부세포의 모양)이 종을 동정,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잎, 줄기, 암꽃 비늘조각과 과낭의 길이, 과낭부리 모양과 부리 표피형이 피사초절과 그늘사초절을 나누는 유용한 형질이 되었다. 그리고 외부형태학적 특징이 유사하여 동정에 어려움이 있어온 가는잎그늘사초(C. humilis Leyss.)와 그늘사초(C. lanceolata Boott.)는 줄기의 길이, 엽설의 유무, 줄기 단면모양과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에서 차이를 보여 두 종을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넓은잎그늘사초(C. pediformis C. A. Meyer)를 그늘사초(C. lanceolata Boott)의 아종이나 변종으로 취급하는 등 학명사용에 혼란이 있어 왔으나 과낭과 수과의 모양, 줄기 단면의 모양과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에서 뚜렷히 구분되어 각각 다른 종으로 취급하였고 학명과 국명을 정리할 수 있었다.

靑玉山과 頭陀山의 山林植生 (Forest Vegetation in Mt. Chongok and Mt. Tuta)

  • Pail, Weon-ki;Lee, Woo-Tchu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4호
    • /
    • pp.443-452
    • /
    • 1994
  •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in Mt. Chongok and Mt. Tuta from June, 1992 to August, 1993.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2 alliances, 1 suballiance and 4 communities; Vaccinium hirtum v. koreanum-Quercus monogolica community, Carex humilis v. nana-Pinus densiflora community, Sasa borealis-Carapinus laxiflora community, Plectranthus inflexus-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25,000 scale.

  • PDF

Differential inhibitory effects of alpha-viniferin, resveratrol trimer on inflammatory mediators

  • Chung, Eun-Yong;Min, Kyung-Rak;Kim, Young-Soo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213.1-213.1
    • /
    • 2003
  • Alpha-viniferin was isolated from Carex humilis (Cyperaceae), and showe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carrageenin or histamine-induced paw edema in mice. To understand mode of the anti-inflammatory action. effects of alpha-viniferin on cyclooxygenase (COX)-2, iNOS, oxygen radical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have been analyzed. Alpha-viniferin showed selective inhibitory effect with an IC50 value of 5 $\mu\textrm{m}$ on COX-2 activity but showed weak inhibitory effect on the synthesis of COX-2 transcript which was identified by RT-PCR. (omitted)

  • PDF

The Use of Herbage N-alkanes as Markers to Estimate the Diet Composition of Yaks on the Qinghai-Tibetan Plateau

  • Ding, L.M.;Long, Ruij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61-67
    • /
    • 2010
  • The chemical components in plant cuticular wax can be used as markers to estimate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diet of grazing animals. In this experiment, composition of the diet of yak on the Qinghai-Tibetan plateau was estimated using n-alkane analysis. During the grazing period, samples of whole plants of the species present, plus fecal samples voided by the yak, were collected, air-dried and ground prior to the extraction of cuticular wax n-alkanes.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yak diets was estimated by relating fecal alkane contents to those of the plant species, using the 'ATWHAT'software pack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alkane technique can detect the main dietary components selected by yak. The diet consumed by yak contained 33% Kobresia humilis, 67% Stipa aliena in summer pasture; 26% Potentilla anserine, 74% Carex qinghaiensis in autumn pasture; 52% Carex qinghaiensis, 32% Heteropappus bowerii and 16% Saussurea semifasciata in winter pasture and 5% Carex qinghaiensis, 95% Achnatherum splendens in spring pasture. The apparent selection for forbs is likely to be a reason for nutritional constraint of yak inhabiting alpine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