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attitude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4초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관련요인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Nursing Professionalism Related Factors of Nursing Students)

  • 박희숙;최동숙;김효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93-10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관련요인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경북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1, 2, 3, 4학년 265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5월 7일부터 5월 2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정체감과 진로태도성숙은 간호전문직관과의 영향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태도성숙(${\beta}=.38$), 진로정체감(${\beta}=.17$), 진로준비행동(${\beta}=.14$)이었으며,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19%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이기 위해서는 매개효과인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와 더불어 진로와 관련된 구체적이고 실천적 행동인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관련 다른 변인들에 대해서 어떠한 영향을 받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구조적 관계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대학생의 진로상담프로그램 실시전후의 진로성숙도 차이검증 (Career counseling of University Students before and after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verification)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75-8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진로 성숙도차이 검증을 통하여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의 진로 지도의 방향 설정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검증결과 우선 대학생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적용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 수준이 향상되었다. 진로태도성숙 변화량의 집단간 T-test 결과는 진로태도성숙 전체에 대하여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요인으로서는 확신성과 독립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비교 (Comparative Study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Common Students i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 이정화;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63-8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영재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을 비교분석 함으로써 초등수학영재의 특성을 이해하며,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교육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 소재의 대학영재교육원, 교육청 영재교육원, 초등학교 영재학급의 초등수학영재 237명(5학년 98명, 6학년 139명)과 D광역시 소재의 영재교육 대상학생, 특수아를 제외한 일반학생 221명(5학년 92명, 6학년 129명)이다. 연구 결과 초등수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초등수학영재가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이 크고, 스스로에 대한 신념이 강하며, 그로 인해 자기 관리 및 과제의 난이도를 적절히 배려하여 비교적 높은 수준의 과제를 선호하는 등의 습관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등수학영재의 전체적인 진로태도성숙이 일반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하위요인 중 결정성, 준비성에서는 p< .01 수준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확신성에서는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태도성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수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은 물론 일반교육과정에서도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노인의 연령 정체감, 노인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연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ge-identity,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 이신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7-7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age-identity is associated with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self-esteem of the aged. The subjects were 366 adults aged 60 and over. The statistic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reliability test,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elderly acknowledged psychological ages as their actual ages. Secondly, The degrees of elderlys' age-identity was 2.12, and the levels of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60.62. Also, The degrees of elderlys' self-esteem was 24.16. The surveyed data showed higher means than medians. Third, The age-identity of elderly was significant with respect to spouse, religion, career, living state, sex, age, gap of actual age, health state, economic state, education, monthly living expenses. And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stastically significant with respect age-identity, career, spouse, religion, living state, health state, education, monthly living expenses, economic state, gap of actual age, and age. Moreover, The elderlys' self-esteem level was significant with respect to spouse, age-identity, living state, religion, career, economic state, monthly living expenses,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health state, education, and age. Finally,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ge-identity of elderly were health state, economic state, religion, age that explained about 34% of the total variance. And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ere age-identity, health state, gap of actual age that explained about 19% of the total variance. Also, The variables that affect elderlys' self-esteem were economic state, age-identity,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sex, monthly living expenses that explained about 33% of the total variance.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Dispositi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leading Learning Trait of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박경빈;권혁민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와 일반 초등학교 학생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 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을 비교해보고 그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을 비교하였을 때,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독서흥미, 독서경험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독서수준이 높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영재아와 일반아의 진로태도성숙을 비교한 결과 진로태도성숙 하위 요인 중에서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은 영재아가 일반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영재아와 일반아의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독서 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또 독서성향과 자기 주도적 학습 특성 사이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코칭리더십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매개효과와 리더신뢰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Employability: Medi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eader Trust)

  • 방인식;신제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29-754
    • /
    • 2022
  •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매개효과와 리더신뢰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국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389명의 유효 설문을 토대로 AMOS 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칭리더십과 구성원의 고용가능성 간 직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둘째, 코칭리더십은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고용가능성이 향상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칭리더십과 프로티언 경력태도 간의 관계에서 리더신뢰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코칭리더십이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경유하여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효과가 리더신뢰에 의해 강화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코칭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고용가능성 간 메커니즘을 실증함으로써 리더십 연구의 확장에 기여한다. 또한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1개 한의대 학생의 진로선택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Korean Medical Students toward Career Choice as a Korean Medicine Doctor)

  • 김지영;이재혁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Korean medical students toward career choice as a Korean medicine doctor. Method : The subject were 89 Korean medical students. Question investigation was applied.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contained 20 question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toward career choice as a Korean medicine doctor. Results : Korean medical students showed higher interest in clinical practice, most of students(80.9%) answered they have planning for life's work as practicing Korean medicine doctor. First ranking as career they want is the pay doctor(36.2%), second is the intern(27.0%) as Korean medicine doctor within one year. The average age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ope to be intern is lower than who did not. Female students who hope to be intern preferred internal medicine, gynecology and pediatrics. But male students who hope to be intern preferred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and rehabilitation. Conclusion : The result suggests that Korean medical students have an affirmative perception toward clinical doctor, but they are not interested in the other career.

약대생의 약료에 대한 인식과 실무실습-진로선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Pharmacy Students' Attitudes Toward Pharmaceutical Care and Career Choices Following Interdisciplinary Inpatient Clerkships)

  • 신수영;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0-89
    • /
    • 2014
  • The study objectives were to investigate the attitude of Ajou University pharmacy students toward pharmaceutical care and to identify their perceived barriers to its provision. Secondarily, their career choices and influential factors for career decision were assessed. Method: A cross-sectional survey of Ajou University pharmacy students in all professional years was conducted in May 2014. Results: Over 2 weeks, a total of 12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100% response rate). All respondents agreed that pharmaceutical care is the right direction for the provision to be headed and that pharmaceutical care will improve patient health. However, professional year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positive attitude toward pharmaceutical care. Highly perceived barriers to pharmaceutical care included poor image of pharmacist's role in society (67%) and lack of access to the patient medical record in the pharmacy (65%). Work environment, benefits, and salary were top three influential factors for career plans, and $6^{th}$ year students considered salary most important. Patient-oriented practices (hospital and community pharmacy) were the most preferred career choices among $6^{th}$ year students. Conclusion: Pharmacy clerkships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choices of those students. Efforts should be exerted to improve pharmacy clerkships and to promote pharmaceutical care.

진로지도 자기효능감과 합리적 행동에 대한 실증 사례연구 (An Empirical Case Study on Self-Efficacy of Career Guidance and Theory of Reasoned)

  • 엄명용;최연숙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3-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학교 교육과정 운영 주체인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별 특성과, 특성화 공업계 고등학교가 가지고 있는 학교별 특성이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조사대상은 유층 표집한 82개 특성화 공업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변인별 특성과 학교별 특성이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교사 변인별 특성은 교육과정 편성에서는 '교육계획수립'과 '교육활동 편성의 적절성'에,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기자재 적절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 변인별 특성 중에서 '교사직위'는 이들 변인들에 공통적으로 의미있는 영향력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학교별 특성은 교육과정 편성에서는 '학년 교과목간 연계성', '교육활동 편성의 적절성' 및 '교과교육과정의 충실성'에,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특성화 추진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별 특성 중에서 '숙영시설'이 '학년 교과목간 연계성', '교육활동 편성의 적절성'에 공통적으로 의미있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활동 편성의 적절성'에서는 '특성형태'와 '성별'이 미미하지만 의미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특성화 공업계 고등학교의 편성 운영 발전방안에서 '직업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 전환'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외식전공 대학생의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 차이 (The Difference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Biological Sex and Sex-role Identity Typ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oodservice)

  • 나태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0-6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전공 대학생들의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대전,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2년제 전문대학 4개교에서 외식관련 분야를 전공하는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고 34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66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태도성숙 수준은 외식관련 여성전공자 보다 남성 전공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태도성숙 수준은 양성성 유형의 외식관련 전공자의 성숙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남성성, 여성성, 미분화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식관련 남성 전공자 중 양성성, 남성성, 미분화로 분류된 전공자의 진로에 대한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이 여성 전공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전공자 중 여성성으로 분류된 전공자의 진로에 대한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이 남성 전공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외식관련 전공자의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 정체감을 고려한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양성성 유형의 전공자가 진로발달에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외식관련 전공자의 생물학적 성별에 따른 양성성을 강화할 진로상담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