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 Industry

검색결과 1,036건 처리시간 0.03초

AHP기법을 이용한 중국 동부지역의 요양원 경쟁력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Nursing Homes Competitiveness in China's Eastern Areas Based on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 초정;심재연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83-93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 동부지역 11개 성의 요양원 경쟁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산업 경쟁력 이론에 근거한 평가지표체계를 설정하고,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하였다. 자료는 "중국민정통계연감 2020"의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그 결과 장쑤성은 중국 동부의 11개 성 중 요양원의 경쟁력이 가장 높고 하이난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력은 중국 동부의 11개 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요양원 산업 전반에 걸쳐 '의료인력 대비 병상 비율', '요양원 비율', '요양시설 1인당 고정자산', '와상 노인의 수'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4대 요인으로, 요양원의 경쟁력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원 산업이 합리적으로 발전하고 요양원의 효율성 그리고 서비스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역마다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야 한다.

20대 여성의 미용형태별 건강위해 실태조사 (A Research on the Health Hazards by the Patterns of Beauty Care)

  • 신명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9-149
    • /
    • 2001
  •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women involved in social activities, beauty industry has flourished. More women than ever before are concerned about make-up, hair care, skin care, and weight control, etc. With the success and commercialization of beauty industry, unconfirmed beauty care services have been introduced in the market. However, the health hazard from diverse beauty care services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ddresse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wo purposes: 1) to examine the utilization pattern of diverse beauty care services; and 2) to examine the health hazard from beauty care services. For this study, two majo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rea were selected. While 450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one women's university, the other 450 were from mixed university. Using survey questionnaire, we interviewed with 900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beauty care patterns, makeup accounted for 78.6%, Skin care 49.5%, weight/body control 32.0%, hair care 81.5%, and cosmetic operation 14.9%, indicating significant high rates of makeup(x2=9.215, p=0.002) and hair care(x2=4.435, p=0.035) at both mixed and women's universities. The health hazard was measured using four questions. The past studies have not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methodological issue of how to ask health hazard. Depending on how to ask health hazar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porting health problems varied. When the respondents were asked whether or not they had suffered health problems for a short period, over 60% of respondents reported health problems; when they were asked in other ways-1) whether or not they had suffered health problems for a long period, 2) whether or not they had suffered whole body problems, 3) whether or not they had permanent traces on skin due to beauty care activities-,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porting health problems dropped substantially to less than 10%, This finding indicates the importance of ‘words’ used in questi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blems and utilization of beauty care services were examined, using χ2 test or t test.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blem and beauty care.

  • PDF

원격의료 확대가 의료산업 구조변화 및 경쟁 확대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 - 미국 아마존의 헬스케어 분야 진출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lemedicine Expansion on the Structural Change and the Competition Increase in the Health Care Industry and its Policy Impli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Amazon's foray on the health care industry)

  • 이재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405-413
    • /
    • 2022
  • COVID-19 이후 원격진료, 스마트 병원, AI 진단 등 ICT 기술과 데이터사이언스를 활용한 새로운 의료서비스모형의 활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미국에서 원격진료와 대면진료의 혼합 모형 운영, 소비자 중심의 온라인의약품 배송, 가정용 진단기기 개발, 그리고 진료 및 처방, 의약품 배송, 진단기기의 활용이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새로운 모형 제시 등 미국 헬스케어산업에서 파괴적 혁신을 선도하는 아마존의 헬스케어 사업 모형을 살펴보았다. 특히 아마존 기존 사업분야와의 시너지 효과 등으로 인해 적극적 시장 확대 및 소비자 가치 증대가 발생함을 다품목시장에서의 시장확대 모형을 통해 보였고, 또한 소비자 선택 유도 확대 시 의료서비스 시장에서의 경쟁이 활성화됨을 호텔링의 공간경쟁모형을 통해 보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 가치 증대의 장점과 함께 공급기반 감소에 따른 경쟁 약화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공정경쟁 관리 차원의 정책적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피부미용샵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 연구 - 위생요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ortance, Satisfaction of Skin Care Shops Selection Attributes for Life Care Promotion - Focusing on the Sanitation -)

  • 박채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45-158
    • /
    • 2021
  • 본 연구는 피부미용샵의 양적 확대와 병행하여 고객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하는 질적 수준을 함께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절실한 현 시점에서 고객이 어떤 요인에 근거하여 피부미용샵을 선택하고, 어떤 속성을 고려하는지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고객이 요구하는 중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피부미용샵 서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광주·전남지역의 20대 이상인 2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부미용샵 선택 요인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차이를 토대로 피부미용샵 선택 요인의 항목별로 각 하위요인에 대한 중요도가 어느 정도이고, 이에 부응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 되는지 그 현상을 파악하고자 IPA 격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유지강화의 1사분면에 해당하는 항목은 '도구 및 제품의 위생관리'로 분석되었으며, 지속유지의 2사분면에 해당하는 항목은 '기본현황(법적 준수사항)'으로 분석되었고, 점진개선의 3사분면에 해당하는 항목은 '종사자의 위생관리'와 '피부미용샵 내부 위생관리', '종사자의 전문성과 기술)', '서비스의 질'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피부미용샵의 효율적 운영에 근거를 삼고자 하며 더 나아가서는 피부미용 산업의 양적·질적 저변 확대를 기대해본다.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Baby Care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Baby Care System Using Smart Sensor)

  • 정재필;이태봉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48-652
    • /
    • 2014
  • 기존의 IT 산업 환경은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트 기반이었으나, 최근 센서와 통신 기술을 접목한 유비쿼터스 기술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라 한다. 건강관리 분야는 USN 적용에 매우 적합한 문야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SN을 기반으로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관리하기 위해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baby care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낙상 감지 센서, 울음 감지 센서, 발열 감지 센서와 정보 전달을 위한 블루투스 네트워크로 구성되었다. 구현된 시스템은 시현을 통해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네일 미용 서비스개념 체계와 네일 미용 서비스의 소비자 유형 (Nail-care service conceptual framework and consumer type)

  • 서경자;김미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6호
    • /
    • pp.966-981
    • /
    • 2018
  • Consumers' desire for beauty has become a driving force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which was further developed through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Nail-care service, which is one of the beauty services, is showing rapid growth, and intense competition among salons has become apparent. Thus,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marketing strategy are required for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classify the nail-care services on the basis of systematization and realization of its characteristics which are fundamental when developing manage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omen in their 20s and above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As a result, the nail-care service factors are classified as "external environment" (interior, celebrity, newness), "internal environment" (equipment and products, cleanliness, and environment), "location" (location and transportation convenience), "reputation" (good reputation), "technician skill," "kindness," "relationship" (relationship, empathy, and affinity), and "price and discount." The consumer types of nail-care servi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these concept system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marketing basics and will be the basis for studying marketing strategies. However, the consideration of setting up a marketing strategy for each consumer type will be presented in a follow-up study.

IoT(Internet of Things)와 IoB(Internet of Body) 기반 적정 의료를 위한 의료 최적화 모델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Model for IoT and IoB based Optimal Medical Care)

  • 박순호;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51-554
    • /
    • 2017
  • 세계적으로 최대 산업은 의료 산업이며 노령화와 웰빙 수요 확대로 인해 미래 먹거리인 의료 산업의 경쟁 전략 검토가 필요하다. 급속한 ICT 융합 보급에 따른 의료 기관 간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의료 산업을 통해 발생하는 데이터의 빅데이터화 및 인공지능의 결합으로 지능의료의 역량 증대에 따른 디지털 헬스케어의 지능화 수준을 연구하여 미래 의료 분야의 의료 최적화 모델 구축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정보의 발전과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Issues of Digital Health Care Medical Information)

  • 문용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3호
    • /
    • pp.17-26
    • /
    • 2022
  •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무엇보다 우리들의 정신과 육체를 자유롭게 건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웰빙에 대한 기대가 확산되면서 헬스케어(health care)라는 의미가 빅데이터, IoT, AI, 블록체인 등의 4차 산업혁명의 핵심적인 융합기술 등을 활용하여 고도화된 의료정보 서비스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와 같은 정보기술에 힘입어 전통 의료·헬스케어 산업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으로 추진되어, 보건, 의료, 복지 등에서 그 필요성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경향이다. 그러나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정보의 효율적 운용을 통하여 인간의 자유로운 삶의 행복 추구와 스마트 의료산업으로의 발전을 추구하고자 하는 데는 인적, 물리적 요인의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나아가 디지털 헬스케어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헬스케어 의료정보 관련 첨단기술력과 양질의 데이터 확보, 관련 콘텐츠 개발과 이에 적합한 비지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데 적극적인 투자와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정보의 일반적인 의미와 현황 등을 살펴보고, 이어,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정보를 활성시키기 위한 발전적 과제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앞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정보의 활용성을 제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병원 간접비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동인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n Overhead Cost Drivers in the South Korea Hospitals)

  • 설동진;이경태;이해종;정종암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6-143
    • /
    • 2000
  • Considerable attention has been devoted in the accounting literature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ause or drive the costs of overhead activities. This paper extends recent cost driver research to the health care provider. In various case studi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overhead costs are driven by volume and complexity variabl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these variables in determining hospital overhead costs, how they are structurally related and how the cost impacts of these variables can be estimated in practice. This paper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hospital costs using the sample of South Korea hospitals for seven year during the period 1952-1997. The paper focuses on the extent to which hospital overhead costs depend on complexity, efficiency in addition to depending on more conventional volume based measures of hospital activit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volume and complexity factor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 overhead costs in the hospital industry. The results show that the complexity-related cost drivers strongly affected on the overhead costs in tile health care provider industry more than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is mainly affected by volume-related cost drivers. That means each Industry may have different cost structur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their proper cost structures and cost drivers and use them. Futhermore identification of overhead or indirect cost drivers is likely to be particularly useful in heath care. The identification of cost drivers can be of benefit to all health care stakeholders because these facilitates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national resources devoted to health care. While this study has documented that the level of service complexity i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hospital overhead costs, caution should be exercised in interpreting this as supportive of the cost accounting procedures associated with ABC. It is an open question whether even a well-designed ABC system will provide suitable proxies for marginal costs for decision making purposes.

  • PDF

노년 여성의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Older Women)

  • 류현혜;유태순
    • 복식
    • /
    • 제57권9호
    • /
    • pp.97-109
    • /
    • 2007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o grasp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epending on self-consciousness which older women feel personally; to understand their needs more deeply; and to give support in planning and conducting marketing strategies effectively in the beauty and fashion marke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ged women ranging 55 to 69 in age, living in Daegu and Geongsangbukdo.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97 questionnaires out of 440 returned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through statistic analyses are following: 1. Among older women, the higher social self-consciousness group appeared to pursue six typ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i.e., weight body-shape care, skin care, cosmetic behavior, hair care, cosmetic surgery, and clothing behavior) much more than the lower social self-consciousness group. 2. Compared with the lower private self-consciousness group, the higher private self-consciousness group appeared to care for not only weight body-shape care but also skin care, cosmetic care, and cosmetic surgery, clothing behavior with more interest in ordinary times. In terms of hair care,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private self-consciousness group and the lower private self-consciousness group.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social anxiety group and the lower social anxiety group in weight body-shape care, skin care, cosmetic behavior, hair care, cosmetic surgery, and cloth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