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ortance, Satisfaction of Skin Care Shops Selection Attributes for Life Care Promotion - Focusing on the Sanitation -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피부미용샵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 연구 - 위생요인을 중심으로 -

  • 박채영 (전남도립대학교 뷰티아트과)
  • Received : 2021.07.19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important factors required by customers through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how they choose skin care shops on the basis of certain factors and attributes at this time when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 level of quality that meets their expectations and demands in combination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skin care shop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217 people over the age of 20 in Gwangju and Jeonnam area with experience in using skin care shop services. The SPSS v. 21.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PA grid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importance-satisfaction of sub-factors for skin care shop choice showed that the items corresponding to the upper-left side of maintenance and strengthening, the upper-right side of stainability, and the lower-left side of gradual improvement were the 'sanitary control of tools and products', 'basic situation(legal compliance)', and 'workers' sanitary control', 'internal control of skin care shops', 'professionalism and skills of workers'and 'quality of services',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based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skin care shops, and further more the utilization of them is expected to expa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base of the skin care industry.

본 연구는 피부미용샵의 양적 확대와 병행하여 고객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하는 질적 수준을 함께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절실한 현 시점에서 고객이 어떤 요인에 근거하여 피부미용샵을 선택하고, 어떤 속성을 고려하는지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해 고객이 요구하는 중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피부미용샵 서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광주·전남지역의 20대 이상인 2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부미용샵 선택 요인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차이를 토대로 피부미용샵 선택 요인의 항목별로 각 하위요인에 대한 중요도가 어느 정도이고, 이에 부응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 되는지 그 현상을 파악하고자 IPA 격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유지강화의 1사분면에 해당하는 항목은 '도구 및 제품의 위생관리'로 분석되었으며, 지속유지의 2사분면에 해당하는 항목은 '기본현황(법적 준수사항)'으로 분석되었고, 점진개선의 3사분면에 해당하는 항목은 '종사자의 위생관리'와 '피부미용샵 내부 위생관리', '종사자의 전문성과 기술)', '서비스의 질'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피부미용샵의 효율적 운영에 근거를 삼고자 하며 더 나아가서는 피부미용 산업의 양적·질적 저변 확대를 기대해본다.

Keywords

References

  1. 조판래(2003). 점포속성과 소비자속성이 미용 서비스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이지숙(2014). 피부미용실 평가인증제 도입에 관한 종사자들의 인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남궁경은(2021). 피부미용사의 전문가적 역량 개발 및 고객 재방문 의도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채영, 박정연(2018). AHP 기법을 적용한 피부미용 분야 NCS 기반 자격 L2수준의 교육 중요도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6): 207-215.
  5. 정인순, 황미서, 박정연(2020). 피부미용 서비스품질이 호혜성지각.장기적 관계지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3): 411-419.
  6. 이은경(2008). 점포속성이 피부미용실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2021.06.29.
  8. 한국피부미용사회중앙회. www.Kocea.org/2021.06.29.
  9. 김성숙(2013). 피부미용실의 점포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지원(2015). 피부관리샵 이용 고객의 선택 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조효순(2018).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피부 관리실 선택속성과 소비행동 연구. 영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세련(2021). 피부미용종사자의 직무특성이 직무몰입 및 성장욕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영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미정(2013). 피부미용 종사자들의 위생교육 유.무에 따른 위생관리 실천 정도.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창은(2006). 피부미용업소의 위생광리 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미현(2015). 피부관리실 피부미용 도구의 미생물 오염도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Martilla, J.A., James, J.C.(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17. 유영준, 이지훈, 정윤조(2019). IPA분석을 통한 울산의 체류형 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1-12.
  18. 김경미(2013). 피부미용실 인증 평가도구 개발.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도희(2013). 피부미용업 인증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채서일(2006). 사회과학 조사 방법론, 학현사.
  21. 박정연, 박채영(2021). 라이프케어를 위한 피부미용샵 선택 요인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2. 이정은(2014). 피부관리샵 이용 행태와 고객 서비스 만족도 및 선호도.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차의진, 인홍석(2011). 한국과 독일 및 영국의 피부미용사 국가자격증 제도의 비교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9(3): 141-151.
  24. 박채영(2018). 피부미용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NCS기반 L2와 L3 수준의 수업지도안 개발. 광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박미라(2003). 피부미용 관리업소에서 재사용되는 해면의 세균 오염도.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현정(2010). 피부관리실의 이용실태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진욱,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1). 공중위생분야 위해물질 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 보고서, 한국건강 증진 개발원.
  28. 남현주(2001). 미용사의 공중보건지식수준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권혜영(2008). 피부관리실의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선호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