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검색결과 1,550건 처리시간 0.026초

Thrombotic Complications during Interventional Lung Assist: Case Series

  • Kim, Eun Jung;Cho, Woo Hyun;Ahn, Eun Young;Ryu, Dae Gon;Lee, Seung Eun;Jeon, Doo Soo;Kim, Yun Seong;Son, Bong Soo;Kim, Do Hy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1호
    • /
    • pp.18-22
    • /
    • 2015
  • Interventional lung assist (iLA) effectively reduces $CO_2$ retention and allows protective ventilation in cases of life-threatening hypercapnia. Despite the clinical efficacy of iLA, there are a few major limitations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is approach, such as bleeding, thrombosis, and catheter-related limb ischemia. We presented two cases in which thrombotic complications developed during iLA. We demonstrated the two possible causes of thrombotic complications during iLA; stasis due to low blood flow and inadequate anticoagulation.

Neurologic Outcomes of Preoperative Acute Silent Cerebral Infarction in Patients with Cardiac Surgery

  • Sim, Hyung Tae;Kim, Sung Ryong;Beom, Min Sun;Chang, Ji Wook;Kim, Na Rae;Jang, Mi Hee;Ryu, Sang W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6호
    • /
    • pp.510-516
    • /
    • 2014
  • Background: Acute cerebral infarction is a major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neurologic complications in cardiac surgery. However, the outcomes associated with acute silent cerebral infarction (ASCI) have not been not well established. Few studies have reported the postoperative outcomes of these patients in light of preoperative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WI). We studied the postoperative neurologic outcomes of patients with preoperative ASCI detected by DWI.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32 patients with preoperative ASCI detected by DWI. None of the patients had preoperative neurologic symptoms. The mean age at operation was $68.8{\pm}9.5$ years. Five patients had previous histories of stroke. Four patients had been diagnosed with infective endocarditis. Single cerebral infarct lesions were detected in 16 patients, double lesions in 13, and multiple lesions (>5) in three. The median size of the infarct lesions was 4 mm (range, 2 to 25 mm). The operations of three of the 32 patients were delayed pending follow-up DWI studies. Results: There were two in-hospital mortalities. Neurologic complications also occurred in two patients. One patient developed extensive cerebral infarction unrelated to preoperative infarct lesions. One patient showed sustained delirium over one week but recovered completely without any neurologic deficits. In two patients, postoperative DWI confirmed that no significant changes had occurred in the lesions. Conclusion: Patients with preoperative ASCI showed excellent postoperative neurologic outcomes. Preoperative ASCI was not a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neurologic deterioration.

Single and Multiple Valve Surgery in Native Valve Infective Endocarditis

  • Kim, Tae Sik;Na, Chan-Young;Oh, Sam Sae;Kim, Jae Hyun;Yie, Gil Soo;Han, Jung Wook;Chae, Min Cheol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4호
    • /
    • pp.256-264
    • /
    • 2013
  • Background: Surgical treatment of infective endocarditis (IE) remains a challenge, especially in cases of multiple valve surgery. We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native valve IE and compared the outcomes of single valve surgery with those of multiple valve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97 to 2011, 90 patients underwent surgery for native valve IE; 67 patients with single valve surgery (single valve group) and 23 patients with multiple valve surgery (multiple valve group).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73.1{\pm}47.4$ months. Results: The surgical mortality in the total cohort was 4.4%. The overall survival (p=0.913) and valve-related event-free survival (p=0.204)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dependent predictor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as 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 (p=0.001). Multiple valve surgery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surgical mortality (p=0.225) or late mortality (p=0.936). Uncontrolled infection, urgent or emergency surger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valve-related morbidity, excluding multiple valve surgery (p=0.072). Conclusion: In native valve IE, multiple valve surgery as a factor was not an independent predictor of mortality and morbidity. The number of surgically corrected valves in native IE seems to be unrelated to perioperative and long-term outcomes.

Aortic Valve Replacement Using Continuous Suture Technique in Patients with Aortic Valve Disease

  • Choi, Jong Bum;Kim, Jong Hun;Park, Hyun Kyu;Kim, Kyung Hwa;Kim, Min Ho;Kuh, Ja Hong;Jo, Jung Ku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4호
    • /
    • pp.249-255
    • /
    • 2013
  • Background: The continuous suture (CS) technique has several advantages as a method for simple, fast, and secure aortic valve replacement (AVR). We used a simple CS technique without the use of a pledget for AVR and evaluated the surgic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2007 and 2012, 123 patients with aortic valve disease underwent AVR alone (n=28) or with other concomitant cardiac procedures (n=95), such as mitral, tricuspid, or aortic surger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interrupted suture (IS) group (n=47), in which the conventional IS technique was used, and the CS group (n=76), in which the simple CS technique was used. Results: There were two hospital deaths (1.6%), which were not related to the suture techniqu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diopulmonary bypass time or aortic cross-clamp time between the two groups for AVR alone or AVR with concomitant cardiac procedures. In the IS group, two patients had prosthetic endocarditis and one patient experienced significant perivalvular leak. These patients underwent reoperations. In the CS group, there were no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surgery. Postoperatively, the two groups had similar aortic valve gradients. Conclusion: The simple CS method is useful and secure for AVR in patients with aortic valve disease, and it may minimize surgical complications, as neither pledgets nor braided sutures are used.

흉관 삽입술 없이 시행한 전폐절제술 후 발생한 합병증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ostpneumonectomy Complication without Balanced Chest Bottle)

  • 김태균;정원상;강정호;김영학;김혁;지행옥;이철범;함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290-295
    • /
    • 2002
  • 배경: 전폐절제술은 수술 그 자체가 환자의 심폐기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또한 합병증이 치명적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아, 합병증과 그 연관 인자 간의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수술적 수기로 대부분 흉관을 삽입 후 수술을 종료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합병증 중 농흉의 높은 비율로 인해 그 위험 인자 중 융관 삽입술 없이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여 발생한 술후 합병증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0년 12월 까지 약 5년간 한양대학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 치험한 100례를 대상으로 환자기록지를 참조하여 나이와 성, 수술적응, 관련질환, 수술 환측으로 분류하고 술후 발생한 합병증과 사망률 등을 $\chi$$^2$-test 사용하여 통계학적으로 처리하였다. 수술은 전폐절제술 후 흉막강 내 압력을 유치도뇨관(nelaton catheter)을 사용하여 -15~-20 cm$H_2O$로 한 후 개흉창을 닫고 4~5일 이상 단순 흥부 촬영으로 액체 저류 및 출혈, 종격동의 위치를 감시 하였다. 결과: 총 100례 중 폐결핵 16례(16%), 폐종양 81례(81%), 기관지 확장증 2례(2%), 폐국균종을 동반한 기관지 확장증 1례(1%)였다. 수술 후 사망은 총 100례 중 8례로 8%열으며 합병증은 34명(34%)에서 44례로 조사되었다. 합병증은 나이, 성별, 수술 측과는 통계적 상관 관계가 없었으며, 결핵환자 16명 중 7명(44%), 폐종양 81명 중 27명(33%)로 결핵 환자에서 폐종양에 비해 3.86배로 합병률이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술후 발생한 출혈 6례에서 결핵 16례 중 3례, 폐종양 및 기타 84례 중 3례로 결핵에서 술후 출혈률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p=0.019) 사망률은 총 100례 중 8례(8%)로 폐종양 81례 중 5례(6.1%), 폐결핵 16례 중 3례(18.7%)로 결핵 환자에서 폐종양에 비해 3.93배로 사망률이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확인 할 수 없었다.

폐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수술 전후 관리 (Perioperative Management of Lung Resection Patients)

  • 이장훈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9-13
    • /
    • 2012
  • Lung resection has various and commonly occurr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Pulmonary complication is well know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mong them, exerting a negative influence on the postoperative course and resulting in mortality. Thus, the prevention of pulmonary complication after lung resection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 the perioperative management must be optimal. Perioperative management begins long before the surgery and does not end until the patient leaves the hospital. The goal of perioperative management is to identify the high-risk patients, to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 to preve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o obtain the best outcomes.

  • PDF

주요 폐절제술시 이환율과 사망률을 예견하는 위험인자의 평가 (Evaluation of the Risk Factors Predicting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Major Pulmonary Resection)

  • 최호;이철주;소동문;김정태;홍준화;류한영;박재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49-555
    • /
    • 1999
  • 배경: 폐암을 비롯한 각종 폐질환에 있어서 중요한 외과적 치료방법인 폐절제술시 일반적으로 수술전에 폐기능 검사 및 기타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여 수술후에 이환율과 사망율에 영향을 주는 위험 인자를 확인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가장 확실하고 정확한 단일 검사방법과 검사치에 대한 기준 설정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4년 6월부터 1998년 2월까지 3년 8개월 동안 아주대학교 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 폐암, 기관지 확장증, 그리고 폐결핵 등으로 주요 폐 절제술을 시행받은 1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5개의 수술전 또는 수술중 위험인자와 19개의 수술후 합병증을 분석하여 그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19개의 수술후 합병증은 사망율 및 호흡기, 순환기, 그리고 기타 합병증 네 가지로 분류하였고 수술전 또는 수술중 위험 인자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chi$2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합병증을 예견하는 인자로 술후 예측 폐확산능백분율(ppoDLCO%)이 호흡기(p<0.009), 순환기(p<0.003), 전체 이환율(p<0.004)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폐기능 검사중 폐확산능(Diffusing Capacity for Carbon Monoxide, DLCO)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활량측정법(Spirometry) 보다 술후 합병증을 예견하는데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인자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주요 폐절제술의 적응증이 되는 환자들은 폐확산능 검사를 통상적으로 시행하여 술전 정확한 평가에 의하여 유용한 치료의 지침으로 삼아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Impact of an Attending Intensivist on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Admitted to the Cardiac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Kim, Dong Jung;Sohn, Bongyeon;Kim, Hakju;Chang, Hyoung Woo;Lee, Jae Hang;Kim, Jun Sung;Lim, Cheong;Park, Kay-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1호
    • /
    • pp.8-15
    • /
    • 2020
  • Background: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critical care provided in a cardiac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CSICU) staffed by an attending intensivist with improvements in intensive care unit (ICU) quality and reductions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elective isolated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12 (the control group) were propensity-matched (1:1) to CABG patients between January 2013 and June 2018 (the intensivist group). Result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302 patients were extracted from each group.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t least 1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ntensivis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17.2% vs. 28.5%, p=0.001). In the intensivist group, th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6.4±13.7 hours vs. 13.7±49.3 hours, p=0.013) and length of ICU stay (28.7±33.9 hours vs. 41.7±90.4 hours, p=0.018)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proportions of patients with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2.3% vs. 7.6%, p=0.006), delirium (1.3% vs. 6.3%, p=0.003) and acute kidney injury (1.3% vs. 5.3%, p=0.012)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intensivis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 transition from an open ICU model with trainee coverage to a closed ICU model with attending intensivist coverage can be expected to yield improvements in CSICU quality and reductions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수술적 기법의 보완을 통한 성공적인 너스 술식의 적용(단일 기관 135명의 경험)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Nuss Procedures with Modified Operative Technique)

  • 김도훈;심영목;김관민;최용수;김진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0호
    • /
    • pp.765-769
    • /
    • 2006
  • 배경: 너스 시술은 누두흉 환자들의 전흉부 함몰을 교정하는 효과적인 수술방법으로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비침습적이다. 하지만 환자의 나이와 기형 형태에 따라 전흉부 함몰은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데, 이에 대하여 고전적인 너스 시술만을 고집할 때 기형 재발, 불충분 교정 등 다수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저자들은 고전적인 너스 술식을 몇 가지 관점에서 보완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135명의 환자와 216건의 수술경험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 수술 당시 환자의 연령, 수술방법, 재발을 포함한 합병증 여부를 분석하고, 이를 시술의 개선 전후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5년 2개월 동안 135명에서 너스 술식을 시행하였으며, 너스막대 제거술 64건, 재발 또는 합병증을 이유로 2번 이상의 너스 술식을 시행한 17건을 포함하여 너스 관련 216건의 수술을 시행하였다. 막대의 삽입위치를 절개부위에서 함몰부의 양족 경계부(늑연골의 최대 돌출부위)로 내측으로 이동시켜 흉곽 지지구조의 손상을 최소화하였고, 막대 성형 시 늑골과 접합하는 부분을 늑골모양에 맞게 성형하여 막대의 미끄러짐 현상을 줄였다. 그리고 막대와 늑골의 고정사를 바이크릴에서 강선으로 전환하고, 성인 환자의 경우, 수술 중 흉골을 견인하는 방법을 추가하였다. 1999년에서 2002년까지 17건에 달하던 재교정과 23건의 합병증이 개선 이후인 2003-2004년에는 재교정 0건, 합병증 3건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본원에서 시행한 너스개선 술식은 효과적이었으며, 재발과 합병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폐 이식 수술의 10년 치험 (The 10 Years Experience of Lung Transplantation)

  • 백효채;황정주;김도형;정은규;김해균;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22-827
    • /
    • 2006
  • 배경: 폐 이식 수술은 호흡부전을 동반한 말기 폐질환 환자에서 유용한 치료방법 중의 하나로 본원에서는 1996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일측 폐 이식 수술을 성공한 이래로 현재까지 재 이식 2예를 포함한 총 13예의 폐 이식 수술을 시행하였다. 저자 등은 그동안 환자들의 수술성적 및 합병증, 생존율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7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에서 폐 이식을 시행받은 13예, 11명의 환자(2명은 재 이식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기록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남녀비는 9:4, 평균연령은 $45.2{\pm}10.7$세(범위 $25{\sim}59$세)였으며, 폐기종 및 만성폐쇄성 폐질환이 5예로 가장 많았고, 동맥관 개존증으로 인한 아이젠맹거 증후군 2예, 폐섬유증, 폐고혈압, 림프관 평활근종증, 기관지확장증이 각 1예였다. 조기 합병증으로는 출혈, 이식 폐 부전, 감염이며 후기 합병증으로는 감염 및 이식 후 림프증식증이었다. 조기사망 3예를 제외한 평균생존기간은 16.5개월($2{\sim}60$개월)이었다. 재 이식 2예는 이식 폐의 기능 부전에 의하여 각각 첫 이식 후에 2주, 13개월째 시행 받았다. 결론: 폐 이식 수술 후 장기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술술기의 향상뿐만 아니라 수술 후 집중적인 환자관리를 통하여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필요한 내과적, 외과적 처치를 즉시 시행하는 것이 예후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