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ogenic shock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8초

Results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Support before Coronary Reperfusion in Cardiogenic Shock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Chung, Eui-Suk;Lim, Cheong;Lee, Hae-Young;Choi, Jin-Ho;Lee, Jeong-Sang;Park, Kay-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4호
    • /
    • pp.273-278
    • /
    • 2011
  • Despite aggressive treatment, the mortality rate of cardiogenic shock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s high. We performe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prior to coronary reperfusion, and evaluated the early clinical results and risk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6 to November 2009,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0 patients in cardiogenic shock with AMI (mean age $67.7{\pm}11.7$ yrs, M : F 14 : 6). After initially performing ECMO using the CAPIOX emergency bypass system ($EBS^{(R)}$Terumo, Tokyo, Japan), patients underwent coronary reperfusio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13;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7). Results: All patients were in a cardiogenic shock stat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s (CPR) were performed for fourteen patients (mean CPR time $20.8{\pm}26.0$ min). The mean time from vascular access to the initiation of ECMO was $17.2{\pm}9.4$ min and mean support time was $3.8{\pm}4.0$ days. Fourteen patients were able to be weaned from ECMO and ten patients were discharged (mean admission duration $50.1{\pm}31.6$ days). Patients survived on average $476.6{\pm}374.6$ days of follow-up. Longer CPR and support time, increased cardiac enzyme, lower ejection fraction, lower albumin, and major complications were the risk factors of mortality (p<0.05). Conclusion: The early application of ECMO prior to coronary reperfusion and control of risk factors allowed for good clinical results in cardiogenic shock with AMI.

갈색세포종이 유발한 심인성 쇼크의 체외순환 보조 요법에 의한 성공적 치료 (Pheochromocytoma-induced cardiogenic shock successfully treated by extracorporeal circulation)

  • 이민영;이상배;차현서;유지홍;최의영;박종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85-289
    • /
    • 2017
  • Pheochromocytoma can present with various symptoms including cardiogenic shock and cardiac arrest. Particularly, in cases of cardiogenic shock of unknown origin, pheochromocytoma should be considered. A 20-year-old woman without any medical history visited our emergency department due to nausea, vomiting, headache, and chest pain. Echocardiography revealed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Mechanical ventilation and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were implemented owing to her unstable vital signs. For unstable vital sign and cardiogenic shock in a young woman without any previous medical history, pheochromocytoma was considered and diagnosed based on elevated levels of catecholamine derivatives in a 24-hour urine sample. Cardiac function recovered and ECMO was discontinued on the 5th day of hospitalization. She later underwent an elective adrenalectomy and no recurrence was found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 reported a case of pheochromocytoma which was presented with cardiogenic shock in a young woman with no concomitant disease, and successfully treated with ECMO followed by an elective adrenalectomy.

A Neonate Diagnosed with Wolff-Parkinson-White Syndrome Presenting with Cardiogenic Shock

  • Ha, Ji Eun;Lee, Sun Hyang;Park, Ga Young;Shin, Young-Lim;Kim, Sung Shin;Jang, Mi-Ae
    • Neonatal Medicine
    • /
    • 제28권2호
    • /
    • pp.77-82
    • /
    • 2021
  • We present the case of a healthy 28-day-old female full-term neonate who wa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or severe metabolic acidosis, hypoglycemia, and an initial sinus rhythm. The first diagnostic hypothesis was hypovolemic shock, and fluid resuscitation was started immediately. During fluid therapy, cardiovascular collapse occurred with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The latter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denosine and beta-blockers. After 8 days, electrocardiography showed ventricular pre-excitation, and Wolff-Parkinson-White syndrome was diagnosed. A novel variant of the MYL2 gene that is related to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conduction defect was found after discharge. Cardiogenic shock should be considered, despite being a rare cause of shock in neonates.

Post MI Cardiogenic Shock 환자에서 조기 IABP 및 Reperfusion Therapy의 효과 (The Effect of Early IASP and Reperfusion Therapy in Patient of Post MI Cardiogenic Shock)

  • 이종석;김민경;김웅;김형준;배준호;박종선;신동구;김영조;심봉섭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31-38
    • /
    • 2000
  • 저자들은 심인성 쇽을 동반한 급성 심근 경색 환자에서 조기 IABP와 재관류 치료가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심인성 쇽 환자에서 IABP는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심인성 쇽 환자에서 재관류 치료와 병용하여 IABP를 사용한 경우에 대한 국내의 정보는 부족하다. 심인성 쇽을 동반한 심근 경색 환자 28명을 조기 IABP군(심근 경색 시작부터 12시간이내에 IABP를 시술)과 만기 IABP군(심근 경색 시작부터 12시간 이후 IABP시술)으로 구분하여 임상 양상, 관상 동맥조영 소견, 병원 내 사망률을 비교, 조사하였다. 양군 사이에 임상 양상 및 관상 동맥 조영 소견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28명의 환자 중 7명은 혈전 용해제를 시행하였고, 21명은 관상 동맥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조기 IABP군의 사망률은 4명(25%)이었고, 만기 IABP군의 사망률은 8명(66%)이었다(p<0.05). 또한 양 군간에 심근 경색 발생후 관상 동맥 성형술 시술까지의 시간은 전자는 평균 6시간, 후자는 평균 13시간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약물치료에 반응이 없는 심인성 쇽을 동반한 심근 경색환자에서 조기에 재관류 치료와 IABP를 시행하는 것이 병원내 생존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심정지 혹은 심인성 쇼크에서 원심성 펌프를 이용한 단기목표의 기계적 순환 보조 (Short-term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with Centrifugal Pump in Cardiac Arrest or Cardiogenic Shock - Report of 5 cases-)

  • 양희철;성기익;뱍계현;전태국;박표원;양지혁;이영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03-1009
    • /
    • 2004
  • 기계적 순환 보조는 만성 심부전 상태의 환자들에게 이용될 뿐만 아니라, 심정지 혹은 심인성 쇼크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기도 한다. 상용화된 다양한 박동형의 순환보조 장치들이 장기간의 좌심실 보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비용이나 제조사로부터의 기술적 지원이라는 측면에서 그 사용에 제약이 되고있다. 최근에는 심장이식의 가교로서, 또는 심장회복을 위해 원심성 펌프를 단기간 사용한 예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원심형 펌프를 이용한 체외 생명구조 장치나 좌심실 보조장치로 심정지 혹은 심인성 쇼크의 5명의 환자에게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이들중 2명이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심정지로 응급 상황에서 시행되었고, 술 후 심인성 쇽을 보인 허혈성 질환 1예와 급성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한 저심박출량 증후군을 보인 2명은 예정 하에 수술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기계적 순환보조 이탈이 가능하였으며, 기계적 순환 보조와 관련된 합병증에는 출혈 및 급성 신부전등이 있었고 대퇴동, 정맥 캐눌라 삽관과 연관된 합병증은 없었다. 원심형 펌프를 이용한 기계적 순환보조는 심정지 혹은 심인성 쇼크에서 생명보존이나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항시 고려해야할 요소로 판단되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Surgical Repair of Aortocaval Fistula Presenting with Cardiogenic Shock

  • Kim, In Ha;Min, Ho-Ki;Kim, Ji Yong;Kim, Dong-Kie;Kang, Do Kyun;Jun, Hee Jae;Hwang, Youn-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1권6호
    • /
    • pp.406-409
    • /
    • 2018
  • Aortocaval fistula (ACF) occurs in <1% of all abdominal aortic aneurysms (AAAs), and in 3% to 7% of all ruptured AAAs. The triad of clinical findings of AAA with ACF are abdominal pain, abdominal machinery bruit, and a pulsating abdominal mass. Other findings include pelvic venous hypertension (hematuria, oliguria, scrotal edema), lower-limb edema with or without arterial insufficiency or venous thrombus, shock,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cardiac arrest. Surgery is the main treatment modality. We report 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in a patient with a ruptured AAA with ACF who presented with cardiogenic shock.

급성 심근경색에 합병된 심실중격 결손증의 수술적 치료: 1례 보고 (Surgical Management of Post-AMI VSD - A Case Report -)

  • 황석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4호
    • /
    • pp.424-428
    • /
    • 1992
  • Post-AMI VSD is an infrequent but often catastrophic complication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general, the mortality is associated with end organ failure due to low output syndrome. Therefore, a stable hemodynamic is necessary to prevent the end organ failure. If a supportive therapy does not accomplish it, surgical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Recently, we have experinced a case of post-AMI VSD with cardiogenic shock. Early recognition and surgical repair of post-AMI VSD gave us a good result. Postoperative result was satisfactory and recovery was uneventful. We believe that early surgical repair can be lifesaving in the case of post-AMI VSD with cardiogenic shock.

  • PDF

개심술 후 인공 심폐기 이탈 시 동맥내 풍선 펌프 사용의 유용성 (Efficacy of Intra-Aortic Balloon Pump in Postcardiotomy Cardiogenic Shock)

  • 장지원;민선경;원태희;안재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449-453
    • /
    • 2002
  • 대동맥내 풍선 펌프는 그 혈류역학적 효용성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자체의 합병증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적응증에 의거한 적절한 사용만이 환자에게 최대한의 도움을 주고 합병증을 줄이는 방법이다. 대상 및 방법: 총 100명의 성인 개심술 환자 중 인공 심폐기 이탈을 위해 IABP를 사용한 21명(남 10 여 11)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18명(85.7%)은 허혈성 심장질환 환자였다. 대상 환자들의 수술 전 조건, 혈류역학적 변수, 수술 후 상태, IABP 합병증 등을 분석 하였다. 결과: 21명 중 19명(90.5%)의 환자가 성공적으로 IABP에서 이탈하였다.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환자는 2명(9.5%)이었다. IABP 사용 시간은 40.7$\pm$24.3시간이었으며, 수술을 요하는 IABP관련 혈관 합병증은 2예(9.5%)였다. 결론: IABP는 개심술 후 심인성쇽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며 그 합병증 빈도가 낮으므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Successful Left-Heart Decompression dur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in an Adult Patient by Percutaneous Transaortic Catheter Venting

  • Hong, Tae Hee;Byun, Joung Hun;Yoo, Byung Ha;Hwang, Sang Won;Kim, Han Yong;Park, Jae H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3호
    • /
    • pp.210-213
    • /
    • 2015
  •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VA ECMO) is widely used in patients with cardiogenic shock. Insufficient decompression of the left ventricle (LV) is considered a major factor preventing adequate LV recovery. A 40-year-old male was diagnosed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revascularization was performed using percutaneous stenting. However, cardiogenic shock occurred, and VA ECMO was initiated. Severe LV failure developed, and percutaneous transaortic catheter venting (TACV) was incorporated into the venous circuit of VA ECMO under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guidance.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weaned from VA ECMO. Percutaneous TACV is an effective, relatively noninvasive, and rapid method of LV decompression in patients undergoing VA ECMO.

돼지의 급성 심인성 쇼크 모델에서 DKUH-75 좌심실보조키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The Feasibility of the DKUH-75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for Acute Cardiogenic Shock in Pigs)

  • 박성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168-179
    • /
    • 2007
  • 배경: 최근 관상동맥 질환의 증가로 심근경색으로 인하여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급성 심인성 쇼크 및 만성 울혈성 심부전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개심술 후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공심폐기로부터의 이탈이 불가능한 경우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어서 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한국인의 체형에 맞고 경제적인 심실보조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돼지에서 허혈성 전처치의 개념을 이용하여 관상동맥 결찰을 통한 급성 심인성 쇼크 상태를 유발시키고, 여기에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과 흉부외과학교실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DKUH-75 공압식 박동형 심실보조기를 구동시켜, 실제 생명을 위협하는 심한 심근경색 상태와 유사한 환경에서 심실보조기 구동이 실험동물의 혈역학적 수치 및, 심초음파도 상 심기능 수치 등 급성 심인성 쇼크 상태에서 악화되는 지표들을 호전 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DKUH-75 좌심실보조기의 유용성에 대하여 평가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0마리의 몸무게 50 kg 전후의 잡종돼지를 사용하여 허혈성 전처치의 개념을 이용한 관상동맥 좌전하행지 결찰을 통해 급성 심인성 쇼크 상태를 유발하고, 이들 중 5마리의 실험동물에 DKUH-75 좌심실 보조기를 장착하였다. 10마리의 실험동물 모두에서 관상동맥 결찰 전, 결찰 후 1시간에 혈역학적 수치와 심초음파도상 심기능 수치를 측정하였고 심실보조기를 장착한 5마리의 실험동물에서는 심실보조기 구동 후 1시간에 동일한 수치들을 추가 측정하였다. 결과: 관상동맥 결찰을 통하여 급성 심인성 쇼크를 유발한 10마리의 실험동물에서 관상동맥 결찰 전, 결찰 후 1시간의 혈역학적 측정결과 체동맥압(수축기, 이완기, 평균)은 결찰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하강하였다. 페동맥압도 수축기, 이완기, 평균 모두 상승하였고 좌심실 이완기 말기압도 결찰 후 상승하였으며, 심박출 지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심외막 심초음파도로 측정한 좌심실 수축기말 내경도 결찰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분획단축 및 좌심실구혈률은 감소하였다. 심실보조기를 장착한 5마리의 실험동물에서 관상동맥 결찰 1시간 후와 심실보조기 작동 1시간 후의 혈역학적 측정치를 비교하였을 때 수축기 체동맥압과 평균 체동맥압이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폐동맥압은 수축기, 이완기, 평균 모두에서 하강하였고 좌심실 이완기 말기압도 심실보조기 구동 후 유의하게 하강하였다. 심박출 지수는 심실보조기 구동 후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심외막 심초음파도로 측정한 좌심실 수축기말 내경은 심실보조기 구동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분획단축 및 좌심실구혈률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결론: DKUH-75 심실보조기는 관상동맥 결찰을 통한 심근경색으로 유발시킨 급성 심인성 쇼크 상태의 실험동물에 장착하여 단기간 구동한 결과 각종 혈역학 수치 및 심초음파도 상 심기능 수치를 개선시키고 이를 통하여 심근 기능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는 광범위한 심근경색으로 인한 급성 심인성 쇼크 상태에서 DKUH-75 심실보조기의 단기적 유용성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