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cass Fat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33초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Liquid Methionine Hydroxy Analogue Compared to DL-methionine in Broilers

  • Yao, J.H.;Li, S.Q.;Zhong, L.L.;Huang, S.X.;Zhang, W.J.;Xi, H.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7호
    • /
    • pp.1026-1032
    • /
    • 2006
  •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icacy of liquid methionine hydroxy analogue-free acid (MHA-FA) in comparison to DL-methionine (DL-Met) in broilers. 567 day-old Avian chicks were divided into 7 treatments with 5 replicates of 16 birds each. During the 35d (7-42 d) experimental periods chicks were given two basal diets. From 7 to 21d of age, a starting basal diet containing 19.5% protein and 0.33% methionine was supplemented with two graded levels of DL-Met (0.070 and 0.160%) or four levels of MHA-FA (0.118, 0.143, 0.221 and 0.268%). From 22 to 42d of age DL-Met (0.050 and 0.080%) or MHA-FA (0.071, 0.074, 0.112 and 0.140%) were added to a finishing basal diet with 18.0% protein and 0.28% methionine. Chicks fed on supplemental DL-Met or MHA-FA had significantly higher (p<0.05)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than the control group from 7-21d of age. During the finishing phase (22-42 d), body weight and weight gain of chicks in DL-Met or MHA-FA treatments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control, but FCR was improved (p<0.05) with supplementation of DL-Met or MHA-FA. Breast yield was higher (p<0.05) on DL-Met or MHA-FA supplemented than un-supplemented diets. The thigh meat yields emanating from diets with DL-Met or MHA-FA were lower (p<0.05) than that in control. Abdominal fat was also higher in broilers fed the control diet than in DL-Met or MHA-FA supplemented treatments. Methionine requirement of broilers was calculated to be 0.44 and 0.35% and cystine requirement was 0.35 and 0.31% for the starting (7-21 d) and finishing phase (22-42 d), respectively. The efficacy of MHA-FA in comparison to DL-Met for weight gain was 64 and 85% and for FCR was 55 and 60% at 7-21 and 22-42 d of age, respectively, while it was 74, 72, 52 and 48% for breast yield, thigh meat production, body energy content and energy deposition ratio at 42 d of age, respectively. In conclusion, in practical diet formulation for broiler chicks the average bioavailability of MHA-FA relative to DL-Met could be considered as 60 and 73% for 7 to 21d and 22 to 42 d of age, respectively.

Screening for candidate genes related with histological microstructure, meat quality and carcass characteristic in pig based on RNA-seq data

  • Ropka-Molik, Katarzyna;Bereta, Anna;Zukowski, Kacper;Tyra, Miroslaw;Piorkowska, Katarzyna;Zak, Grzegorz;Oczkowicz, Mari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0호
    • /
    • pp.1565-1574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genetic variants based on RNA-seq data, obtained via transcriptome sequencing of muscle tissue of pigs differing in muscle histological structure, and to verify the variants' effect on histological microstructure and production traits in a larger pig population. Methods: RNA-seq data was used to identify the panel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significantly related with percentage and diameter of each fiber type (I, IIA, IIB). Detected polymorphisms were mapped to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regions. Next, the association study was performed on 944 animals representing five breeds (Landrace, Large White, Pietrain, Duroc, and native Puławska breed)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selected SNPs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and carcasses traits. Results: Mapping of detected genetic variants to QTL regions showed that chromosome 14 was the most overrepresented with the identification of four QTLs related to percentage of fiber types I and IIA. The association study performed on a 293 longissimus muscle samples confirm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transforming acidic coiled-coil-containing protein 2 (TACC2) polymorphisms on fiber diameter, while SNP within forkhead box O1 (FOXO1) locus was associated with decrease of diameter of fiber types IIA and IIB. Moreover, subsequent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of FOXO1, delta 4-desaturase, sphingolipid 1 (DEGS1), and troponin T2 (TNNT2) genes with loin 'eye' area, FOXO1 with loin weight, as well as FOXO1 and TACC2 with lean meat percentage. Furthermore,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p<0.01) with occurrence of polymorphisms within DEGS1, TNNT2 genes and negatively with occurrence of TACC2 polymorphism. Conclusion: This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the SNP calling analysis based on RNA-seq data can be used to search candidate genes and establish the genetic basis of phenotypic traits. The presented results can be used for future studies evaluating the use of selected SNPs as genetic markers related to muscle histological profile and production traits in pig breeding.

Comparison of meat quality, fatty acid composition and aroma volatiles of dry-aged beef from Hanwoo cows slaughtered at 60 or 80 months old

  • Utama, Dicky Tri;Kim, Yeong Jong;Jeong, Hae Seong;Kim, Juntae;Barido, Farouq Heidar;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157-165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quality of dry-aged beef from cull Hanwoo cows slaughtered at 60 or 80 months old. Methods: A total of eight cull Hanwoo carcasses with a quality grade of 3 (low-grade)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age groups: 63.5±2.5 months old (n = 4) and 87.8±4.5 months old (n = 4). Whole longissimus thoracis et lumborum from the 11th rib to the last lumbar vertebrae, including the back fat, was removed from the carcass at 24 h postmortem and aged for 50 days in darkness at a temperature of 2℃±1℃, a relative humidity of 85% and an air flow of 2 m/s. The sampling was performed aseptically after 0, 20, 24, 40, and 50 days of aging. Results: Regardless of the aging period, aging increased the lightness (p<0.05), redness (p<0.05) and yellowness (p<0.05) at initial blooming (90 min after slicing) and the overall acceptance (p<0.05). No further tenderization effect was found after 20 days of aging, but aging for 50 day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pid oxidation (p<0.05). The generation of aroma volatiles in the roast steak from aged samples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non-aged samples. No significant effect of age at slaughter was found on the color, pH, water-holding capacity, cooking loss, shear force value, bacterial counts, volatile basic nitrogen, consumer acceptance, lipid oxidation, fatty acid composition or aroma volatiles. Conclusion: The quality of dry-aged beef obtained from cull Hanwoo cows slaughtered at either 60 or 80 months old with similar quality grade was comparable and extending dry aging for more than 40 days is not recommended considering the costs and further lipid oxidation.

Zeolite의 첨가수준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eolite Level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s)

  • 민병석;김영일;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38
    • /
    • 1988
  • 본 시험은 국내산 zeolite의 첨가수준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사요에 zeolite를 0,2,4 및 6% 첨가한 4개 처리에 육계 Arbor-Acre계 초생추 360 수를 공시하여 1986년 8월 25일부터 10월 12일까지 7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증체양은 zeolite 2% 첨가수준에서 2,012.1 g으로 가장 높았으며, 4% 첨가수준 이상에서는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성향을 보였다 (P<0.05). 2. 사요섭취량은 4,204.l∼4,225.6 g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zeolite의 첨가수준간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3. 사요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zeolite 4% 첨가수준에서 2.12로서 차이가 없었으나 6% 첨가구에서 2.16으로 다소 높은 경향이 있었다( P<0.05) 4. 생존율은 95.6∼97.8%로서 처리간에 육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5. 계분의 수분함양은 대조구(73.5, 81.0%)인데 반해 첨가구 ( 67.3∼70.8%, 73.6∼79.4% )로서 zeolite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철저히 감소하였다 (P<0.01 ). 6. 도체율은 첨가구에서 6.86∼68.9% 및 복강지방축적율은 2.49∼2.57%로서 처리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7. 수당 소득은 .zeolite 2% 첨가구가 378.13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zeolite 4% 첨가수준까지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zeolite 6% 첨가구에서 329.32원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P<0.05).

  • PDF

육계사료 내 사료첨가제가 계육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eed Additives on Meat Quality in Broiler Production)

  • 윤병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3-198
    • /
    • 2004
  • 첨가제 선택을 위한 목적으로 성장단계별 육계 사료에 햄 철 성분, 규산염, 설탕 제조 부산물, 목초액을 첨가하여 실시한 첨가제 비교시험에서, 사육성적은 동일한 계사 내에서도 환경조건이 좋은 위치에서 사육된 대조구가, 다른 시험구보다 좋은 성적을 보여 사육환경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시험구중에서는 햄철 성분 첨가구가 증체량이 많았고 규산염 첨가구의 증체성적이 가장 낮았다. 따라서 설탕 제조 부산물의 메틸기 절약 효과는 사육시간의 경과와 함께 낮아져 다른 첨가제의 효능보다 낮았다. 사료효율은 첨가제를 혼합하지 않은 대조구의 공간 배치 잇점으로 사료 섭취량이 적고 체중증가가 커서 사료 요구율이 낮았고, 시험구 중에서는 목초액과 햄철 성분 첨가구가 거의 동일한 사료효율을 보였다. 축산연구소에 의뢰한 육질 평가에서는 사육성적이 좋았던 대조구를 제외한 시험구 중에서는, 규산염 첨가구의 보수성이 가장 좋았으나 가열 감량이 많아 도계 후 제품의 실중량이 작아지는 단점으로 인하여, 상품화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사려된다. 대조구를 제외한 시험구 중에서는 햄철 성분함유구가 전단력과 가열감량, 조지방 함유량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고, 회사에서 실시한 관능검사 결과와 사육성적을 고려하였을 때, 햄철 성분이 함유된 첨가제를 이용한 제품개발이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우우사 바닥의 톱밥두께가 도축 후 등심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wdust-Bedded Thickness in Floors of Hanwoo on Meat Quality of M. Longissimus after Slaughter)

  • 강선문;박연수;이익선;김태실;판조노;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6-203
    • /
    • 2008
  • 본 연구는 한우우사 바닥면의 톱밥두께가 도축후 등심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7개월 령의 비거세 수소 22두를 톱밥이 10, 15 및 20 cm로 깔린 단방우사($3{\times}8\;m^2$)에서 27개월령까지 사육한 후 도축하여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4{\pm}0.2$에서 9일 동안 저장하였다. 도체성적, pH, 보수력, 드립감량, 가열감량, 전단력, 전자코에 의한 향기패턴 및 관능적 기호도는 톱밥두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일반성분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은 20cm가 가장 높은 조지방 함량과 가장 낮은 n6/n3을 보였다(p<0.05). 저장중 총환원력은 9일째에 10cm가 가장 높았던 반면(p<0.05), TBARS는 가장 낮았다(p<0.05). 표면육색소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10 및 20 cm의 MetMb이 15cm보다 낮았던 반면(p<0.05), OxyMb은 높았다(p<0.05). 표면육색은 저장기간 동안 10 및 20 cm가 15 cm보다 붉은 육색을 나타내었다(p<0.05).

재래돼지와 랜드레이스 교잡종의 개체별 성장곡선 추정 및 육질형질과의 상관관계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Individual Growth Curve Parameter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eat Quality Traits of Crossbred between Korean Native Boars and Landrace Sows)

  • 조용민;최봉환;김태현;이지웅;이지의;오성종;정일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503-508
    • /
    • 2004
  • 본 연구는 돼지의 일령별 체중자료를 이용한 개체별 체중 성장곡선 추정을 통해 성장 특성을 조사하고 육질 형질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축산연구소의 재래돼지와 랜드레이스를 기초축으로 조성한 F2집단 253두를 대상으로 일령별 체중기록과 육질 형질을 측정하여 개체별 성장곡선 모수와 성장 특성치를 추정하고 등지방 두께, 조지방 함량, 지방율 및 전단력과 성장곡선 모수간의 표현형 상관관계를 추정하였다. 대부분의 성장 특성치들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재래돼지와 랜드레이스순종의 중간정도 능력을 나타내었으며, 상관관계의 추정 결과 조숙성의 개체일수록 성숙체중이 작았으며 만숙성인 개체일수록 지속적인 성장률의 증가로 인해 변곡점이 나타나는 월령이 늦어지며 최대 증체율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곡선 모수와 육질형질 측정치들간의 상관 관계는 암수간에 일부에서 다소 상반되는 방향으로 추정되었으며 특히 전단력의 경우 모든 성장 특정치들과의 관계가 반대로 추정되었다. 최대 증체율과 등지방 두께 및 조지방 함량과의 상관은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정도를 보여 최대 증체율이 클수록 등지방 두께와 조지방 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엽류 급여가 흑염소의 발육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Browses on Growth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Goats)

  • 최순호;박범영;조영무;최창용;권응기;김영근;허삼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19-824
    • /
    • 2003
  • 지엽류 급여가 흑염소의 발육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13kg 내외의 4개월령 흑염소 수컷 28두를 공시하여 처리구별로 각각 7두씩 배치하여 농후사료와 함께 지엽류를 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참나무지엽구가 45.3g으로 다소 높은 경향이었고 소나무지엽구와 발효지엽구는 비슷하였다. 일일 조사료 섭취량은 참나무지엽구가 건물 197g이었고 발효지엽구가 74g이었다. 증체 g당 사료요구율은 참나무지엽구가 11.0g이었고 소나무지엽구는 15.1g이었다. 지엽류를 급여한 흑염소의 혈청 화학치는 영양장애나 체내대사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체율은 45.1~46.2%이었고 정육율은 55.2~55.9%로 처리구간에 비슷하였으며 고기의 일반조성분인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처리구간에 비슷하였고 조지방은 소나무지엽구와 발효지엽구가 볏짚구보다 낮았으나(p〈.05) 참나무지엽구와는 비슷하였다. 육질의 물리적 특성인 전단력, 가열감량은 소나무지엽구와 발효지엽구가 볏짚구보다 낮았으며(p〈.05) 지엽류 간에는 비슷하였다. 다즙성, 연도 그리고 향미는 소나무지엽구가 볏짚구보다 우수하였으며(p〈.05)지엽류 급여구간에는 비슷하였다.

이온수와 복합광물질 급여가 비육돈의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Ionized Water and Premixed Mineral on Fatty Acid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Finishing Pigs)

  • 진상근;김일석;송영민;강석남;제윤종;오희석;민찬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29-534
    • /
    • 2008
  • 본 연구는 아연을 주로 하는 이온수와 규소 성분이 주인 복합광물질을 급여시 돈육의 일반성분, 식육 콜레스테롤,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CON(0%), T1(이온수)및 T2(이온수 + 복합광물질)로 처리하였으며, 출하 전 66일간 사육하였다. 일반성분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조성의 경우 다른 처리구에 비해 T2의 palmitic acid,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oleic acid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포화지방산(STA)의 경우 T2(28.54%)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불포화지방산(UFA) 및 UFA/SFA의 경우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필수지방산(EFA) 및 EFA/UFA은 T2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 중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glutamic, alanine, leucine, lysine은 T1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serine, valine, isoleucine은 T2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EAA)는 T1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이온수 및 복합광물질의 급여가 돼지의 지방산중 SFA를 증가시키고, UFA를 감소시켰으며,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을 증가시킴을 증가시켜 알 수 있었다.

한우에서 혈중 호르몬 및 대사물질 농도와 성장 및 도체 형질에 대한 표현형 상관에 관한 연구 (Phenotypic Correlation for Concentrations of Hormones and Metabolic Materials and Growth and Carcass Traits in Hawoo)

  • 전기준;최재관;이명식;정영훈;정호영;이종경;임석기;이창우;박정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3-213
    • /
    • 2003
  • 혈액성분과 경제형질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한우의 능력을 예측하고 예견되는 능력에 맞추어 사양관리와 판매처를 결정할 수 있고, 기존의 종축선발 체계와 결합시킴으로서 선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나름대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사육하고 있는 한우 866두의 혈액 중 호르몬과 대사물질을 분석하여 혈액성분과 경제형질과의 표현형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혈액 내 유용한 생리적인 형질을 발굴하여 능력이 우수한 개체의 조기선발 가능성 구명과 선발 기술을 개발하여 한우개량에 또 다른 방법을 제시 하고자 실시하였다. 혈청성분들과 경제형질들 간의 표현형 상관계수를 거세우와 비거세우로 구분하여 추정한 결과 혈청성분들과 도체형질들 간의 주요 상관은 다음과 같다. 24개월 출하체중과 상관도가 높은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BUN이었고 비거세우에서는 albumin과 IGF-1이었으며, 비육말기 21∼24개월령의 일당증체량과 상관도가 높은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cal-cium이었고 비거세우에서는 albumin으로 증체와 관련 있는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calcium 비거세우에서는 albumin으로 나타났다. 육질과 관련 있는 등지방 두께 및 지방교잡도와 상관도가 가장 높은 혈청은 거세우와 비거세우 모두 BUN이었고, 육량등급의 근간이 되는 육량지수와 상관도가 높은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calcium이었으며 비거세우에서는 testosterone이었으나 육질과 상관이 높은 BUN은 거세우와 비거세우 모두가 육량지수와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