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reduction architectur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4초

The CO2 Reduction Potential Calculation through the Urban Park Construction

  • Lee, Eun Yeob;Kang, Myung Soo;Kim, Jong Kon
    • KIEAE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87-98
    • /
    • 2014
  • This study is to identify quantitatively the fun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reduction due to temperature and energy reduction according to direct carbon dioxide storage, shade provision, and evaportanspiration of urban park.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landscape tree indicated high carbon dioxide storage effect compare to bush, in which broadleaf tree indicated higher storage function than coniferous tree. It is believed to be the storage of carbon dioxide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omposition rate of forest plants in the urban park. According to the direct estimation result of carbon dioxide storage in terms of example area, storage of carbon dioxide is estimated to be "seoul a zone" $476,818.8kg{\cdot}CO_2/m^2yr$, "anyang b zone" $186,435.7{\cdot}CO_2/m^2yr$, "daejeon c zone" $262,826{\cdot}CO_2/m^2yr$, "kwangju d zone" $231,657.8{\cdot}CO_2/m^2yr$. The carbon dioxide storage per unit area estimated to be "seoul a zone" $3.4{\cdot}CO_2/m^2yr$, "anyang b zone" $5.0{\cdot}CO_2/m^2yr$, "daejeon c zone" $2.6{\cdot}CO_2/m^2yr$, "kwangju d zone" $5.6{\cdot}CO_2/m^2yr$. The result of indirect carbon dioxide reduction effect estimated to be "seoul a zone" $291,603.4{\cdot}CO_2/m^2yr$, "anyang b zone" $165,462.4{\cdot}CO_2/m^2yr$, "daejeon c zone" $141,719.2{\cdot}CO_2/m^2yr$, "kwangju d zone" $154,803.4{\cdot}CO_2/m^2yr$. Carbon dioxide reduction potential amount through the urban park was increased to 1.6 times to 1.8 times when calculated to the indirect effect.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식생 및 토양의 이산화탄소 저감잠재량 분석 (The Analysis of Potential Reduction of CO2 Emission In Soil and Vegetation due to Land use Change)

  • 이동근;박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5-105
    • /
    • 2009
  • Land Use Changes (LUCs) have effects o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carbon stocks in soil and vegetation. Therefore, predictions for LUC are very important for achieving quantitative targets of $CO_2$ reduction rates. Some research exists on carbon fluxes and carbon cycles to estimate carbon stocks in terrestrial ecosystems in Korea. However, these researches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helping us understand future potential reductions of $CO_2$ that reflect the influence of LUC.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duction levels of $CO_2$ emissions while considering LUC scenarios that effect carbon fluxes for LCS basic study in the year 2030. In this study, a common approach to model the effects of LUC on carbon stocks is the use of CA-Markov technical process with LUC patterns in the past. Potential reduction of $CO_2$ is calculated by change of land use that contains different soil organic carbon, each land use type, and biomass in vegetation. An IPCC analytical method of natural carbon sink and coefficient results from previous study in Korea is used as a calculation method for potential reduction of $CO_2$. As a result, 12,419 KtC will be reduced annually, which is 8.3% percent of 2005 $CO_2$ emissions in Korea. This will result in 3,226 hundred million won of economic efficiency. In conclusion, conservation of natural carbon sinks is necessary even if the amount of potential reduction change is little.

건물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저류 옥상 녹화의 온도 저감 효과 (The effect of Temperature Reduction of Green roof for building energy-saving using Rainwater Storage Tank)

  • 윤석환;김은섭;박정강;김상혁;김나연;황혜미;제상우;강한민;함은경;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59
    • /
    • 2023
  • Despite countries' efforts to reduce carbon emissions, carbon emissions have increased in recent decades along with energy use, of which building energy use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Energy savings are essential as a strategy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existing buildings. The field experiment on the roof of a building located in Seoul was design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of green roof with rainwater storage tank to reduce cooling energy consumption in summ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mean surface temperature under the green roof was 14.77 degrees lower than that of the non-green roof from 13:00 P.M. to 15:00 P.M., which would have a great effect on reducing cooling energy. From 01:00 A.M. to 03:00 A.M., the effect was 3.36 degrees, showing that tropical nights could be improved.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due to the rainwater storage system increased by 1.45 degrees during the day and decreased by 0.63 degrees at night. The storage system can be strategically utilized to reduce carbon emissions during the week when cooling energy increases significantly.

탄소저감요소를 적용한 건설재료의 환경영향평가 비교 연구 - 콘크리트 제품 생산단계에서의 지구온난화 영향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Construction Material through the Application of Carbon Reducing Element - Focused on Global Warming Potential of Concrete Products-)

  • 조수현;채창우
    • KIEAE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47-154
    • /
    • 2015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worldwide effort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global warming. By using the quantification metho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now possible to manage the greenhouse gas i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over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t the production stage of construction material occupied is high, and efforts are needed in the construction field. In this study, intended for concrete products for the construction materials, by using the LCA evaluation method, we compared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carbon emissions of developing products that have been applied low-carbon technologies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As a result, by introducing a raw material of industrial waste, showed carbon reduction. Through a comparison of the carbon emission reduction effect of low-carbon technologi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cademic data for the evaluation of greenhouse gases in the construction sector and the development of low-carbon technologies of the future.

도시 조경수의 탄소저감 효과와 계량모델 개발 - 5개 향토수종을 대상으로 - (Carbon Reduction Effects of Urban Landscape Trees and Development of Quantitative Models - For Five Native Species -)

  • 조현길;김진영;박혜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3-21
    • /
    • 2014
  • 본 연구는 중부지방 도시에 흔히 식재하는 5개의 향토 조경수종을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을 통해 수종별 탄소의 저장 및 연간 흡수를 용이하게 산정하는 계량모델을 제시하고, 도시녹지의 탄소저감 효과를 계량화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 수종은 탄소저감 관련 정보가 전무한 이팝나무, 살구나무, 전나무, 산수유, 주목 등이었다.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줄기 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수종별로 10개체씩, 총 50개체의 수목을 구입하였다. 그리고,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산정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다. 수종에 따라 흉고직경 또는 근원직경 부위의 줄기 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을 분석하고 연간 탄소흡수량을 산정하였다. 직경을 독립변수로 생장에 따른 수종별 단목의 탄소저장 및 연간 탄소흡수를 산출하는 활용 용이한 계량모델을 유도하였다. 이들 회귀식의 $r^2$은 0.92~0.99로서 적합도가 높았다. 흉고직경 10cm인 단목의 탄소저장량 및 연간 탄소흡수량은 이팝나무가 각각 20.0kg/주 및 5.9kg/주/년으로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살구나무 17.5kg/주 및 4.5kg/주/년, 전나무 13.2kg/주 및 1.8kg/주/년 등의 순이었다. 근원직경 10cm인 산수유와 주목의 경우는 각각 9.3kg/주 및 3.2kg/주/년, 6.3kg/주 및 0.6kg/주/년이었다. 이 탄소저장량은 이팝나무, 살구나무 및 전나무의 경우 23~35L의 휘발유 소비, 그리고 산수유 및 주목은 11~16L의 휘발유 소비로부터 배출되는 탄소량에 상당하였다. 또한, 상기한 직경의 이팝나무, 살구나무 및 산수유 한 그루는 6~10L의 휘발유 소비, 그리고 전나무와 주목의 경우는 1~3L의 휘발유 소비로부터 배출되는 탄소량을 해마다 상쇄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조경수의 직접 벌목과 근굴취의 난이성을 극복하므로써, 대상 수종의 생체량을 포함하는 탄소저감을 용이하게 계량화하기 위한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도시 상록 조경수의 탄소저장 및 흡수 - 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Evergreen Trees for Urban Landscape - For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 조현길;김진영;박혜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71-578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의 주요 상록 조경수종인 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을 통해 탄소저장 및 흡수를 용이하게 추정하는 회귀모델을 제시하고 도시수목의 탄소저감 효과를 계량화하는데 필요한 기반정보를 구축하였다. 수종별로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흉고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개방 생장하는 조경수목을 구입한 후,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수확법에 의해 개체당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측정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흉고 부위의 수간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을 분석하고 탄소흡수량을 산정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생장에 따른 수종별 단목의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는 활용 용이한 회귀모델을 유도하였다. 이들 회귀식의 $r^2$는 0.98 이상으로서 적합도가 상당히 높았다. 동일 직경의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유목의 경우 소나무가 잣나무보다 더 많았으나, 20cm 이상 성목의 경우 생장량 차이에 기인하여 그 반대인 경향을 보였다. 흉고직경 25cm인 소나무와 잣나무는 각각 115.6kg, 130.0kg의 탄소를 저장하고, 연간 9.4kg, 14.6kg의 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경수목의 직접 벌목 및 근굴취의 난이성에 기인하여, 생체량 확장계수, 지하부/지상부 비율, 직경생장 등 산림수목의 계수를 대용하여 대상수종의 탄소저감을 계량화한 기존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할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SBTool을 활용한 탄소중립형 주거단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arbon Neutral Housing Development through SBTool)

  • 전우선;최준성;오덕성
    • KIEAE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83-92
    • /
    • 2012
  • Recently, many countries are tightening a variety of policies and controls with great efforts to reduce emission of GHGs(Greenhouse Gases) as concern for climate change heighten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s for planning and evaluate element and evaluate housing development. The elements are also assorted into 6 sections and 30 planning elements were drawn from them. It is drawn to 6 sections, 27 categories, 31 evaluation elements except cultural and perceptual aspects unrelated to planning elements from these elements. Case analysis has shown that most of planning elements were applied because these cases obtained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ion in the country. Followings 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Firstly, it showed that application of planning element in all cases is excellent. Secondly, the case with excellent application of elements related with energy and application degree obtained excellent degree i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ion in the country. Finally, application of planning elements related with renewable energy was in poor condition in all cases. With the utilization of SBTool, the evaluation results about planning elements of housing complex of Carbon emissions-reduction type showed that CASE-A obtained 11.17 points and CASE-B obtained 9.24 points. In the case of renewable energy se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valuation doesn't work well. As a result, changes of planning elements affect environment-friendly extent. It was confirmed that accessibility to housing complex of Carbon emissions-reduction type could change. Estimated result of Amount of Carbon emission showed that annual energy consumption per each family of CASE-A is $4,269,964MJ/m^2$, as a result of which, Carbon emission is $234,815kg/m^2$. And annual energy consumption per family of CASE-B is $4,197,563MJ/m^2$, as a result of which, Carbon emission is $214,584kg/m^2$. Application of planning elements in the aspect of housing complex of Carbon emissions-reduction type shows that the level for Carbon emissions-reduction is high level. And study with assessment from the draft should be followed.

공공용지 녹지의 탄소저감과 증진방안 (Carbon Reduction and Enhancement for Greenspace in Institutional Lands)

  • 조현길;박혜미;김진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7
    • /
    • 2020
  • 본 연구는 도시의 공공용지 녹지에 의한 탄소의 연간 흡수 및 저장을 계량화하고, 탄소저감 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녹지구조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 도시는 규모와 분포지방을 고려하여 서울시, 대전시, 대구시, 춘천시, 순천시 등 총 5개 도시를 표본 선정하였다. 대상 도시의 항공사진 상에서 체계적 임의 표본추출방법을 통해 표본 공공용지를 선정하고, 녹지의 수평적 및 수직적 구조를 실사하였다. 도시 조경수목을 대상으로 개발한 수종별 계량모델을 적용하여, 식재수목에 의한 탄소의 연간 흡수 및 저장량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 공공용지의 교목밀도는 도시들 모두에 걸쳐 평균 1.4±0.1주/100㎡이고, 흉고직경은 14.9±0.2cm이었다. 녹지의 수직구조는 교목, 관목 또는 잔디만 식재한 단층구조의 비율이 다층구조보다 더 높았다. 식재수목에 의한 단위면적당 연간 탄소흡수량은 평균 0.65±0.04t/ha/yr이고, 단위면적당 탄소저장량은 7.37±0.47t/ha로서, 국내·외의 타 녹지공간 유형에 비해 낮은 탄소저감 효과를 보였다. 이는 연구대상 공공용지의 식재수목 밀도와 규격이 상대적으로 저조하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용지의 녹지는 공공용 전력소비에 따른 탄소배출을 도시에 따라 해마다 0.6(서울)~1.9%(춘천) 상쇄시키는 셈이었다. 잠재식재공간 내 수목식재는 기존 연간 탄소흡수량을 약 18% 추가 증진 가능하였다. 공공용지 녹지의 탄소저감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잠재식재공간의 적극적 수목식재, 상층 교목, 중층 교목 및 하층 관목으로 구성되는 다층 군식의 추진, 탄소흡수 능력이 양호한 교목종의 상층 식재, 상록수종의 토피어리, 관리회피 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 미진한 공공용지의 녹지구조 및 탄소상쇄를 구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남부지방 조경수종의 탄소저감과 계량모델 - 동백나무, 배롱나무 및 가시나무를 대상으로 - (Carbon Reduction by and Quantitative Models for Landscape Tree Species in Southern Region - For Camellia japonica, Lagerstroemia indica, and Quercus myrsinaefolia -)

  • 조현길;길승호;박혜미;김진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1-38
    • /
    • 2019
  • 본 연구는 남부지방에 흔히 식재하는 3개 조경수종을 대상으로 직접수확법을 통해 개방 생장하는 개체별 탄소저장 및 흡수를 계량화하고, 수종별 생장에 따른 탄소저감을 용이하게 산정하는 계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수종은 탄소저감 정보가 부재하는 동백나무, 배롱나무, 가시나무 등이었다. 유목에서 성목에 이르는 일정 간격의 줄기직경 규격을 고려하여 수종별로 10개체씩, 총 30개체의 수목을 구입하였다. 그리고 근굴취를 포함하는 직접 벌목을 통해 해당 개체의 부위별 및 전체 생체량을 실측하고, 탄소저장량을 산정하였다. 수종별 흉고직경 내지 근원직경의 줄기 원판을 채취하여 직경생장률을 분석하고, 연간 탄소흡수량을 산출하였다. 줄기직경을 독립변수로 생장에 따른 수종별 단목의 탄소저장과 연간 탄소흡수를 산정하는 활용 용이한 계량모델을 도출하였다. 이들 계량모델의 $r^2$은 0.94~0.98로서 적합도가 높았다. 흉고직경 10cm인 가시나무 단목의 탄소저장량과 연간 탄소흡수량은 각각 24.0kg/주 및 4.5kg/주/년이었다. 근원직경 10cm인 동백나무와 배롱나무의 경우는 각각 11.2kg/주 및 2.6kg/주/년, 8.1kg/주 및 1.2kg/주/년이었다. 이 탄소저장량은 가시나무 약 42L, 동백나무 20L, 배롱나무 14L의 휘발유 소비에 따른 탄소 배출량에 상당하였다. 또한, 상기한 직경의 가시나무, 동백나무 및 배롱나무 한 그루는 매년 각각 8L, 5L, 2L의 휘발유 소비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상쇄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본 연구는 식재 수목의 직접 벌목과 근굴취의 난이성을 극복하고, 남부지방 대상 조경수종의 생체량 및 탄소저감을 계량화하는 새로운 초석을 마련하였다.

대구광역시 주거 건축물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탄소포인트제의 효과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and Effect of Carbon Point Program for Residential Buildings in Daegu)

  • 여명길;전규엽;홍원화;조웅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1-18
    • /
    • 2012
  • The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in the buildings is approximately 20% of domestic energy consumption. The Carbon Point Program have been published on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buildings under the paradigm of 'Low Carbon Green Growth'.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Carbon Point Program' for residential buildings in Daegu. The amount of electricity and waterwork consumption and information of households were investigated to analyse the effect of carbon point program. The samples are situated in Deagu and are apartment in Bukgu and Suseonggu. The $CO_2$ emission is analysed by factors of energy resource and household organization between before participating and after participating in Carbon Point Program. The participation type has a difference of voluntary participation in Suseonggu and passive participation in Bukgu. Based on this investigation, average amount of $CO_2$ emission was reduced from voluntary participation households but all of them did not. To promote the effect of Carbon Point Program, this study proposes that needing the plans to raise will and activity of reducing carbon and to help participation which have disadvantage against achieving re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