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cloth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다양한 탄소전극조합에 따른 미생물 연료전지의 전기발생량 및 미생물 군집변화 (Electricity Gener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variation in Microbial Fuel Cell with various Electrode Combinations.)

  • 권재형;최수정;차재환;김효수;김예진;유재철;김창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7-96
    • /
    • 2010
  • 미생물 연료전지의 전극소재는 전기발생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전극의 두께 구조가 미생물 연료전지의 전력밀도 미생물 형성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화 환원 전극조합의 능률적인 구성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탄소전극으로 이루어진 7개 실험실 규모의 반응기가 연속식 공정으로 운전되었다. 반응기의 안정화 상태에서 구멍이 있는 흑연펠트(6 mm 두께) 조합이 전기발생량 238 mV, 그리고 쿨롱효율이 37%로 가장 높은 셀 성능을 나타내었다. 산화전극 표면에 미생물의 생성을 관찰하기 위해 SEM 촬영을 실시한 결과, 니트형태의 탄소섬유와 흑연펠트의 표면에 미생물양의 생성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식종 슬러지와 산화전극 부착성장 미생물의 우점종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PCR-DGGE를 통한 미생물 군집해석 결과, 식종슬러지내의 미생물 군집과 운전 후 각 전극에 우점화 된 미생물의 군집에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흑연펠트의 탄소섬유에 전기활성 박테리아로 알려진 eobacter 종이 우점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olyte와 Catholyte의 비율에 따른 HI 농축 전기투석 셀의 성능변화 (Effect of Catholyte to Anolyte Amount Ratio on the Electrodialysis Cell Performance for HI Concentration)

  • 김창희;조원철;강경수;박주식;배기광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507-512
    • /
    • 2010
  • The effect of catholyte to anolyte amount ratio on the electrodialysis cell performance for HI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the electrodialysis cell was assembled with Nafion 117 as PEM membrane and activated carbon fiber cloth as electrodes. The initial amount of catholyte was 310 g and that of anolyte varied from 1 to 3 of amount ratio. The calculated electro motive force (EMF) increased with time and the increment enhanced as the amount ratio of catholyte to anolyte decreased. The mole ratios of HI to $H_2O$ (HI molarity) in catholyte were almost the same and exceeded pseudo-azeotropic composition for all amount ratios after 2 h operation. The HI molarity continuously increased with time for 10 h operation. The mole ratio of $I_2$ to HI decreased in catholyte but increased in anolyte. The increment of mole ratio of $I_2$ to HI in anolyte rose as the amount ratio of catholyte to anolyte decreased. In case of 1:1 amount ratio, the cell operation was stopped for the safety at approximately 6 h operation, since the mole ratio of $I_2$ to HI reached solubility limit. The cell voltage of the electrodialysis cell increased with time and the rate of increase was high at low amount ratio. This suggests that the amount ratio of catholyte to anolyte not only crucially influences the cell voltage, but also cell operation condition.

2차원 정상상태 모델을 이용한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모사 (Simluation of PEM Fuel Cell with 2D Steady-state Model)

  • 정현석;하태정;김효원;한종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915-921
    • /
    • 2008
  •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의 구조 및 구성품의 물성에 따른 성능 및 물이동 현상에 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들 연구는 대체적으로 연료 전지의 BOP(Balance of plant)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 보다는 단위 전지 및 스택에 관한 연구에 국한되어 왔다. 연료전지의 시스템에 관한 연구들 또한 세부적인 연료전지 내부의 거동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이는 연료전지의 상세 모델을 이용해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해 접근하기 보다는 시스템의 성능 및 동특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 음극의 수소 배출가스를 재순환할 경우 연료전지 내부에서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2차원 정상상태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2차원 정상상태 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은 모델식의 수정이 자유롭도록 상용패키지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구성한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되었다. 이는 여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연료전지 시스템이 연료전지 배출가스의 재순환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연료전지 작동 조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IS 프로세스의 HI 분해반응공정을 위한 전해 - 전기투석(EED) HI 농축 (HI concentration by EED for the HI decomposition in IS process)

  • 홍성대;김정근;이상호;최상일;배기광;황갑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212-217
    • /
    • 2006
  • An experimental study on Electro-electrodialysis (EED) for IS (Iodine-Sulfur) process which is well known as hydrogen production system was carried out for the HI concentration from HIx (HI: $H_2O$ : $I_2$ = 1 : 5 : 1) solutio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the activated carbon cloth were adopted as a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electrode, respectively. In order to evaluate the temperature effect about HI concentration in fixed molar ratio, three case of temperature were selected to $60^{\circ}C$, $90^{\circ}C$ and $120^{\circ}C$. The electro-osmosis coefficient and transport number of proton have been changed from 1.95 to 1.21 (mol/Faraday) and 0.91 to 0.76, respectively as temperature increase from $60^{\circ}C$ to $120^{\circ}C$. It can be realized that the HI mole fraction in final stage of EED experiments already over the quasi-azeotrope composition.

Carbon Tetrachlorid으로 유발된 Rat의 만성 장기(간, 신장) 손상시 헛개나무열매 추출물등 6종 생약의 투여시 조직병리학적변화 (Therapeutic Effect of Hovenia dulcis Thunberg Extracts and 6 Types Herbal Extracts on $CCl_4-induced$ Chronic Organ Damages in the Rats-Liver and Kidney)

  • 임미경;김주완;김홍태;이병제;구세광;강미영;이근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84-391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Korean raisin (Hovenia dulcis Thunb) extracts and polyherbal extracts consisted of 6 types herbal extracts including HDT (HDTmix) on $CCl_4$ induced organ damages. Extracts were prepared by autoclave ($121^{\circ}C$, 15 psi, 3 hours) and filtered with nylon cloth and filter paper then freezing dried. Male Sprague-Dawley rats $(200^{\circ}{\ae}20g)$ were used as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divided into 5 groups; intact control group (100 mg/kg), $CCl_4$ dosing group (100 mg/kg), $CCl_4$ dosing after HDT extract dosing group (100 mg/kg), $CCl_4$ dosing after HDTmix dosing group (100 mg/kg), Silymarin dosing group (5 mg/kg) after all test articles were orally dosed once a day for 28 days. They were sacrifiled under ether anesthesia. HDT extracts and HDTmix dramatically inhibits the $CCl_4$ intoxicated hepato/nephropathies with immuno-suppress changes on the spleen. They showed more dramatical protective effects on most of specific organs compared to that of Silymarin 5 mg/kg except for hepatoprotective effects in which, quite similar effects were detected. In addition, HDT extracts showed synergic effects with other types of herbal extracts because HDTmix showed more favorable protective effects on the all specific organs showing $CCl_4-related$ histopathological changes compared to HDT extracts.

이중 기능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 및 탄소 섬유에 니켈, 코발트 기반의 나노와이어/MOF 배열을 통한 고성능 슈퍼커패시터 연구 (Preparation of Dual-functionalized Polymeric Membrane Electrolyte and Ni, Co-based Nanowire/MOF Array on Carbon Cloth for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

  • 손혜정;김봉석;권지민;강유빈;이창수
    • 멤브레인
    • /
    • 제33권4호
    • /
    • pp.211-221
    • /
    • 2023
  • 본 연구는 에너지 저장 응용을 위한 PVI-PGMA/LiTFSI 고분자 막 전해질 및 CxNy-C 유연 전극의 합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이중 기능을 갖는 PVI-PGMA 공중합체는 우수한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었으며, PVI-GMA73/LiTFSI200 막 전해질은 1.0 × 10-3 S cm-1의 최고 전도도를 달성하였다. CxNy-C 전극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C3N2-C는 나노와이어와 다면체로 구성된 높은 연결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구조와 이중 Co/Ni 산화물을 포함하여 풍부한 산화환원 활성 부위와 이온 확산을 용이하게 하는 특징으로 인해 958 F g-1의 최고용량 및 최소한의 전하 전달 저항(Rct)을 달성하였다. 흑연 탄소 껍질의 존재는 충전-방전 동안 높은 전기화학적 안정성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성능 에너지 저장 장치인 슈퍼커패시터 및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첨단 에너지 저장 장비에 PVI-PGMA/LiTFSI 고분자 막 전해질과 CxNy-C 전극을 활용하는 잠재력을 보여주었으며, 지속 가능하고 고성능의 에너지 저장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는 길을 열어가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배향막을 위한 이온빔 표면조사에 관한 연구 (Ion beam irradiation for surface modification of alignment layers in liquid crystal displays)

  • 오병윤;김병용;이강민;김영환;한정민;이상극;서대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기술 세미나 논문집 디스플레이 광소자
    • /
    • pp.41-41
    • /
    • 2008
  • In general, polyimides (PIs) are used in alignment layers in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The rubbing alignment technique has been widely used to align the LC molecules on the PI layer. Although this method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of LCDs because of its simple process and high productivity, it has certain limitations. A rubbed PI surface includes debris left by the cloth, and the generation of electrostatic charges during the rubbing induces local defects, streaks, and a grating-like wavy surface due to nonuniform microgrooves that degrade the display resolution of computer displays and digital television. Additional washing and drying to remove the debris, and overwriting for multi-domain formation to improve the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wide viewing angle, reduce the cost-effectiveness of the process. Therefore, an alternative to non-rubbing techniques without changing the LC alignment layer (i.e, PI) is proposed. The surface of LC alignment layers as a function of the ion beam (IE) energy was modified. Various pretilt angles were created on the IB-irradiated PI surfaces. After IB irradiation, the Ar ions did not change the morphology of the PI surface, indicating that the pretilt angle was not due to microgrooves. To verify the compositional behavior for the LC alignment, the chemical bonding states of the ill-irradiated PI surfaces were analyzed in detail by XPS. The chemical structure analysis showed that ability of LCs to align was due to the preferential orientation of the carbon network, which was caused by the breaking of C=O double bonds in the imide ring, parallel to the incident 18 direction. The potential of non-rubbing technology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s was further conformed by achieving the superior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rubbed PI.

  • PDF

느타리버섯 폐면배지의 발효조건별 이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tton Waste Substrate According to Fermentation Conditions for Oyster Mushroom Bed Cultivation)

  • 하태문;윤선미;주영철;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3-171
    • /
    • 2008
  • 느타리버섯 폐면배지 야외발효기간중 피복재 종류별 배지의 이화학적 변화와 균배양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온도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 1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5일${\sim}$발효 7일째 최고온도 $75^{\circ}C$ 도달 후 천천히 낮아졌고, 배지의 깊이에 따른 온도차이는 크지 않았다.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배지온도변화의 양상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와 비슷하였으나 최고온도가 약 $60^{\circ}C$ 정도였고 배지 깊이별로 온도차이가 컸으며 배지 깊이 10 cm 부위에서 높았다. 배지내 수분함량은 두 처리구 모두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고,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가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수분함량 감소가 많았다. 살균전.후의 배지수분함량변화는 살균 시 수분 보충으로 살균 후 수분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배지 pH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져 발효 $9{\sim}12$일째 pH 8.9까지 상승하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배지깊이 30 cm와 50 cm 부위에서 pH $5.0{\sim}5.6$ 정도로 낮아졌다. 배지 총 탄소 함량은 두 처리구 모두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가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다소 낮았고, 총질소 함량은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다소 높았다. 배지내 산소농도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6일까지 감소한 후 9일째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배지깊이 10 cm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1% 이하로 낮았다. 배지내 이산화탄소농도는 산소농도 변화와 반대로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6일까지 증가한 후 9일째부터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암모니아 함량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의 배지 깊이 10 cm와 30 cm 부위에서는 10 ppm 이하, 50 cm 부위에서 약 $12{\sim}19\;ppm$이었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의 배지깊이 10 cm 부위에서는 10 ppm 이하, 30 cm와 50 cm 깊이에서는 $20{\sim}85\;ppm$ 정도로 높았다. 배지발효조건 및 발효기간별 균배양일수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12{\sim}14$일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 $15{\sim}19$일보다 짧았고, 초발이 소요일수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20{\sim}23$일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 $27{\sim}32$일보다 짧았다. 배양율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3일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100%로 높았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50{\sim}85%$ 낮았다. 수량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기간이 길수록 수량이 증가하여 발효9일째 23.6 kg(건조배지 44 kg당)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