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Monoxide

검색결과 992건 처리시간 0.031초

촉매반응에 의한 연탄 연소가스로부터 일산화탄소의 제거 (제1보) (Removal of Carbon Monoxide from Anthracite Flue Gas by Catalytic Oxidation (I))

  • 정기호;이원국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31-437
    • /
    • 1976
  • 연탄 연소가스중의 일산화탄소와 산소 사이의 반응을 몇가지 촉매에 대해 조사했다. 이산화망간, 산화 동 및 그 혼합촉매를 사용하였으며, 그 실효반응 온도(effective reaction temperature)는 각각 다음과 같다. 즉, $MnO_2$ 단독촉매 및 30% $MnO_2$-70% CuO 혼합촉매는 $250^{\circ}C,\;CuO$$450^{\circ}C$, 50% $MnO_2$-50% CuO는$200^{\circ}C$, 70% $MnO_2$-30% CuO는$180^{\circ}C$였다. 실효반응온도 이하에서 일산화탄소의 산화율은 일산화 탄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효반응 온도 이상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반응기 내 체재시간은 0.9 ∼ 1.8초의 범위 내에서는 일산화탄소 산화반응에 조금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에서 합병증 발생에 연관된 인자에 대한 분석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 장성원;전재천;최우익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18
    • /
    • 2009
  • Purpose: Carbon Monoxide Poisoning is an important medical emergency in Korea, but the factors leading to its serious manifestation are not well studied. Methods: We conducted a 5-year retrospective study of 98 carbon monoxide poisoned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s of the Medical Center between December 2004 and March 2009. We categorized the patients into those exhibiting only local symptoms (group 1) and those showing systemic symptoms and complications (group 2). We compa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between both groups. Resul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8. The most common systemic symptom was a mental change (43.9%), while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rhabdomyolysis (31.6%). Poisoned area closed private room in group 2 were 23 (41.8%) cases and burning region in group 2 were 16(29.1%) cases (p=0.956). Individuals who were accidentally poisoned comprised of 43 (78.2%) cases while those that attempted suicidal poisoning comprised 12 (21.8%) cases (p=0.016). The most common symptom at arrival was mental change 33 (60.0%) cases in group 2. The mean time exposed to carbon monoxide was 43$\pm$3.97 hours in group 1 and 55$\pm$10.11 in group 2 (p=0.012). The patient's age, context of poisoning, symptom at arrival, and time exposed to the pois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complication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Carbon monoxide poisoning is an emergency medical condition and the risk factor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serious complications must be evaluated.

  • PDF

당류 중에서 일산화탄소의 발생에 관한 연구 (Generation of Carbon Monoxide from Saccharides)

  • 김남이;서중석;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14권6호
    • /
    • pp.522-529
    • /
    • 2001
  • 알데히드 기를 가지는 당류가 알칼리 용액 하에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를 알칼리의 농도, 반응 온도 및 시간에 따라 분석하였다. 락토스를 포함하고 있는 우유에서 $25^{\circ}C$$40^{\circ}C$의 조건으로 1.0 M NaOH와 0.01 M NaOH 용액 하에서 생성되는 일산화탄소를 정량 분석하였다. 또한 0.1 M lactose와 0.1 M xylose 각각 20 mL와 1.0 M NaOH용액 2 mL를 $50^{\circ}C$에서 48시간 동안 반응시키면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를 신선한 혈액에 bubbling 시킨 다음 그 혈액에서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의 농도가 31%였으며,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 특유의 UV spectrum을 얻을 수 있었다. 같은 방법으로 우유 30 mL에 20 mL의 1.0 M NaOH를 가하여 $50^{\circ}C$에서 48시간 72시간동안 반응시키면서 발생되는 일산화탄소를 신선한 혈액에 bubbling 시킨 다음 혈중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의 농도는 각각 32%와 42%를 나타내었다.

  • PDF

1991~2004년 동아시아에서 관측한 일산화탄소의 지역적 배경 농도 (Regional Background Levels of Carbon Monoxide Observed in East Asia during 1991~2004)

  • 김학성;정용승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43-652
    • /
    • 2006
  • 동아시아에서 일산화탄소의 지역적 배경 농도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1991년부터 2004년까지 장기간 중국 Waliguan(WLG), 몽골이아의 Ulaan Uul(UUM), 한국의 태안반도(TAP), 일본의 Ryori(RYO)에서 관측한 일산화탄소 농도를 분석하였다. 연평균 일산화탄소 농도는 $WLG(135{\pm}22ppb),\;UUM(155{\pm}26ppb),\;RYO(171{\pm}36ppb),\;TAP(233{\pm}41ppb)$ 순서로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었다. WLG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봄철에 높고 여름철에 낮은 계절 변동의 특징은 동아시아 다른 지점들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TAP는 WLG, UUM, RYO와 비교하여 전체 계절에 높은 일산화탄소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히스토그램에서 넓은 농도 분포를 보이는데 동아시아 대륙, 특히 중국의 가까운 풍하측에 위치하고 있어 광역적 대기 오염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TAP는 중국 동부 지역을 경유하는 RPC가 봄, 가을, 겨울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여름철에는 저위도 북태평양으로부터의 OBG에 의해 낮은 일산화탄소 농도를 갖고 있는 해양성 기단의 영향을 받고 있다. NOAA 위성 영상과 GEOS-CHEM 모델 시뮬레이션은 중국 남동부 연안으로부터 황해를 거쳐 한반도와 동해로 확산하고 있는 광역적 대기오염 이동 사례를 확인하고 있다.

레이저 계측용 일산화탄소 레이저의 동작 특성 및 그 응용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Carbon Monoxide Laser for Instrumentationand its Applications)

  • 김용평;최종운;김규욱;원종욱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90년도 광학 및 양자전자학 워크샵
    • /
    • pp.33-38
    • /
    • 1990
  • The carbon monoxide laser is one of useful light sources for precision laser instrumentation because of tis high efficiency and wideband characteristics. In this presentation, the liquid nitrogen cooled cw CO laser which is developed in KSRI will be reviewed

  • PDF

Synthesis of N-Substituted Isoindolin-1-ones via Palladium-Catalyzed Carbonylative Heterocyclization of o-Bromobenzylbromide with Carbon Monoxide and Primary Amines

  • 심상철;Li Hong Jiang;이동엽;조찬식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11호
    • /
    • pp.1064-1067
    • /
    • 1995
  • A convenient method for the synthesis of N-substituted isoindolin-1-ones is disclosed in palladium(0)-catalyzed heterocyclization of o-bromobenzylbromide with carbon monoxide (CO) and primary amines in DMF at 100 ℃.

CuO띠가 입혀진 ZnO 소결체의 일산화탄소에 대한 선택적 감지 특성 (Selective Sensing of Carbon Monoxide Gas in CuO banded ZnO Ceramics)

  • 신병철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19-822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investigation of sensing mechanism for the carbon monoxide gas in CuO infiltrated ZnO ceramics. Potential barriers between CuO and ZnO can explain the selective sensing of carbon monoxide gas in the physically contacted CuO/ZnO ceramics. A specimen having no potential barrier between CuO and ZnO was prepared to see whether the gas sensing mechanism is related to the potential barrier. CuO and ZnO was prepared to see whether the gas sensing mechanism is related to the potential barrier. CuO was painted on the non electrode sides of ZnO ceramics. The CuO painted ZnO ceramics showed that the sensitivityfor the carbon moxnoxide gas was 1.3 times as high as that for the hydrogen gas. It is almost same gas sensitivity as that of the CuO infiltrated ZnO ceramics.

  • PDF

가스보일러 CO중독 위험성 예측 및 근원적 예방기술 개발 (The Risk Assessment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by Gas Boiler Exhaust System and Development of Fundamental Preventive Technology)

  • 박찬일;류기윤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3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스보일러 가동 중 배기통이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시스템적으로 인지하고 자동으로 보일러 가동을 중지하여 일산화탄소를 포함한 유해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상황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1)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 풍압센서(APS : Air Pressure Sensor)의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배기통의 정상상태와 이탈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추가한다. (2) 배기통이 이탈하면 APS의 출력전압이 상시 운전범위에서 일시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보일러 제어부인 PCB가 이 상태를 배기통 이탈로 간주하여 보일러 가동을 멈추면서 배기통 이탈 상태를 실내온도 조절기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 명시한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시설 기준에 따라, 실내공기 교환횟수에 맞는 풍량을 적용하여 실내공기를 환기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 결과 실제 일산화탄소가 실내에 누출된 최악의 상태에서, 중독사고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동 규칙에서 정의한 시간당 실내공기 교환횟수를 기존 0.7회에서 0.5회로 2013년부터 완화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실험결과 8시간 가중평균 노출기준인 TWA 30 ppm을 초과하는 농도가 측정되어 기준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가스보일러 배기압력의 기계적 인지를 통해 배기통 이탈을 감지하는 기술과 일산화탄소 경보기와 연동된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기술을 도입한다면 일산화탄소 중독사고가 크게 감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 및 검사단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올바른 설치 및 수리, 사용자의 배기통 이탈에 대한 관심이 더해졌을 때,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인명사고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대책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일산화탄소 단기 노출에 따른 순환계통 질환 위험과 진료비용 예측을 위한 IoT 활용 방안 (IoT Utilization for Predicting the Risk of Circulatory System Diseases and Medical Expenses Due to Short-term Carbon Monoxide Exposure)

  • 이상호;조광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7-14
    • /
    • 2020
  •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일산화탄소의 12일 단기 노출에 따른 순환계통 질환 사망자 수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고, 일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른 미래의 순환계통 질환의 진료비용을 예측하였다. 한국환경공단의 대기환경정보(Airkorea)와 한국 통계청에서 자료를 추출하였고, 포아송 회귀분석과 ARIMA 개입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산화탄소의 단기 노출에 따른 순환계통 질환 사망에 영향관계를 당일부터 이전 11일 전까지 분석한 결과는 이전 11일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라 미래의 순환계통 질환 진료비용은 2019년 예측값이 10,123십억원으로 2018년 12월 말의 관측값 9,443십억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월별로 정리해 보면 순환계통 질환 진료비용은 계절변동이 반영되어 1월 보다 12월로 갈수록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일산화탄소와 같은 대기오염물질 증가에 따른 선제적 대응을 위하여 IoT를 활용한 다양한 기기 및 장비를 보급함으로써 모든 국민의 건강한 삶을 위한 미래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