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ability of Calling the Peopl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09초

지역축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Local Festival)

  • 안혜원;이민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78-385
    • /
    • 2010
  • 지역축제가 성공하고 활성화 되기 위한 기존 선행연구 검토 결과, 지역축제의 성공요인으로 주제의 명확성, 참여성, 기반성, 구조성, 집객성의 다섯 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명확성은 독창적인 주제(테마), 명확한 주제(테마), 명확한 목표, 명확한 축제 참여 대상 선정 등으로 정의할 수 있고, 참여성은 주민의 축제 전 과정에의 참여와 축제 즐거움의 향유 등으로 정의하며, 기반성은 지역축제를 위한 인재개발 및 교육, 지역의 특성화 등으로 설명하고, 구조성은 지역축제 조직체계, 예산확보, 전문성 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집객성은 홍보 및 마케팅, 접근성, 친절성, 편리성, 관광지 연계성, 먹거리 및 쉴거리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북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에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설문조사를 토대로 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여, 향후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지역축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Local Festival)

  • 안혜원;류상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87-592
    • /
    • 2009
  • 지역축제가 성공하고 활성화 되기 위한 기존 선행연구 검토 결과, 지역축제의 성공요인으로 주제의 명확성, 참여성, 기반성, 구조성, 집객성의 다섯 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명확성은 독창적인 주제(테마), 명확한 주제(테마), 명확한 목표, 명확한 축제 참여 대상 선정 등으로 정의할 수 있고, 참여성은 주민의 축제 전 과정에의 참여와 축제 즐거움의 향유 등으로 정의하며, 기반성은 지역축제를 위한 인재개발 및 교육, 지역의 특성화 등으로 설명하고, 구조성은 지역축제 조직체계, 예산확보, 전문성 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집객성은 홍보 및 마케팅, 접근성, 친절성, 편리성, 관광지 연계성, 먹거리 및 쉴거리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북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에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설문조사를 토대로 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여, 향후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노인일자리사업 정책결정·집행과정에서의 '이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Seniors' Job Programme and User Involvement in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 양윤정;정영순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885-903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정책과정에서의 이용자 참여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서, 정책 결정 및 집행 과정에서 소위 정책대상자이자 이용자인 노인들의 참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관한 연구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노인일자리사업이 비교적 성공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서울시 A구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정부에서부터 사업수행 기관의 실무선까지 정책과정의 각 단계 담당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이용자 직접 참여는 전무(全無)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하향식 정책과정의 구조적 한계와 관료들이 파악하는 현재 노인들의 역량 부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윗선'의 인식변화와 주요 이슈에 관한 '사회적 합의'는 이러한 경직된 정책과정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책집행 과정에서도 이용자 참여는 근무환경의 개선 등 제한된 범위 내에서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이에는 사업수행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의 적극적 지원이 뒷받침되었을 때 참여노인의 역량 강화에 따라 사업에의 참여도와 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실질적 지원의 강화가 현 시점에서 이용자 참여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관련자들은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 이후, 즉 미래 노인들의 참여 행태는 노인들의 역량 면에서나 사회적인 인식 면에서 기존 노인세대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이는 미래의 활발한 이용자 참여를 위해서는 정부를 비롯한 관련 기관들이 지금부터 정책적인 준비와 지원을 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