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ancer metastasis

검색결과 2,628건 처리시간 0.024초

항암 화학요법 환자의 피로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Fatigu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 정은자;정영;박미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2호
    • /
    • pp.179-188
    • /
    • 2004
  • 목적: 본 연구는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가 경험하게 되는 피로 정도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화학 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피로 완화를 위한 간호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2002년 8월 8일부터 10월 2일까지 광주 지역의 한 대학 부속 병원 외래 주사실과 병동에 입원하여 화학 요법을 받는 만 20세 이상의 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 및 t-검정, 분산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하였다. 결과: 1. 대상자의 전체 평균 피로 점수는 5.24점이었고 환자 형태별로 볼 때 외래 환자에서의 평균 피로점수가 평균 4.75점, 입원 환자의 평균 피로 점수는 6.22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피로는 신체적 증상 점수와 비교적 높은 정도의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심, 구토, 식욕저하, 동통, 외모변화, 기동성장애의 6개 항목에서 피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대상자의 피로는 수면 양상 중 낮잠 여부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낮잠을 자는 군에서 자지 않는 군보다 피로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분 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 혼돈, 우울, 기운, 분노 항목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대상자의 피로는 전이여부, 화학요법 주기, 과거 수술 여부, 과거 방사선 치료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피로정도는 헤마토크릿치의 감소, 체중감소군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영적 안녕은 피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 결과 기동성 장애, 식욕저하, 분노 변수가 전체 피로의 51.6%를 설명하였다. 결론: 암환자의 피로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로써 신체적 증상에 대한 간호중재가 비중있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는 암환자에 대한 간호중재를 계획함에 있어서도 영적 안녕상태 증진을 위한 방안모색이 필요하리라 본다.

  • PDF

사람피부섬유아세포 및 섬유아육종세포로부터 유래된 기질금속단백질효소에 대한 해조류의 효능 (Effects of Seaweeds on Matrix Metalloproteinases Derived from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Human Fibrosarcoma Cells)

  • 박인환;이상훈;김세권;;전유진;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01-1510
    • /
    • 2011
  • 최근에 해양자원에 있는 동물, 해조류 곰팡이 세균에서 신규 잠재적인 후보약효제가 조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암전이, 관절염, 만성염증 및 주름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s) (MMPs)를 목적효소로 이용하였다. 5종의 녹조류, 18종의 홍조류, 4종의 갈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해조류가 사람피부섬유아세포 및 섬유아육종세포로부터 유래된 기질금속단백질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gelatin zymograph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사람피부섬유아세포에서는 홍조류중에서 Laurencia okamurae, Polysiphonia japonica, Grateloupia lanceolate 및 Sinkoraena lancifolia에서 MMP-2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녹조류의 Enteromorpha compressa와 Enteromorpha linza, 갈조류의 Peltaronia bighamiae and Sargassum thunbergii에서는 MMP-2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사람섬유아육종세포에서는 MMP-9 활성화가 갈조류인 Sargassum thunbergii, 홍조류의 Polysiphonia japonica, 녹조류의 Enteromorpha compressa와 Enteromorpha linza의 존재 하에서는 감소되었다. 본 연구에서 흥미로운 발견은 녹조류의 E. compressa와 E. linza 및 갈조류의 S. thunbergii는 정상세포에서는 MMP-2에 대하여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암세포에서는 MMP-9응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녹조류의 E. compressa와 E. linza 및 갈조류의 S. thunbergii는 항암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유방암 세포주에서 PMA로 유도된 암세포 침투에 대한 모링가 뿌리 추출물의 억제효과 (Extract of Moringa Root Inhibits PMA-induced Invasion of Breast Cancer Cells)

  • 조현지;장영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13
    • /
    • 2014
  • 여성에게 특히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유방암은 다양한 인자에 의해 암세포 침투와 전이가 발생한다. 그중에서 MMP-9은 유방암에서 높은 발현율을 나타내며, 유방암 세포의 침투와 전이에 주요하게 작용한다. MMP-9은 다양한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PMA 등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며 세포 내 자연적으로 발생된 내생적 억제인자인 TIMP-1과 -2에 의해 그 활성 및 발현이 조절된다. MMP-9의 활성 및 발현을 저해하기 위해 사용한 물질은 모링가 추출물로 모링가의 모든 부위가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모링가씨, 뿌리, 잎, 열매 추출물질을 이용하여 MMP-9의 활성억제 유무를 연구하였으며, MCF-7 세포에서 모링가 뿌리추출물이 MMP-9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MDA-MB-231을 이용한 비교실험에서도 세포특이성 없이 MMP-9의 활성 및 발현이 모링가 뿌리 추출물에 의해 억제되었고 단백질과 mRNA 발현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뿐만 아니라 암세포 침투실험에서도 모링가 뿌리 추출물에 의해 암세포 침투가 50% 이상 감소 되었으나, TIMP-1과 -2 mRNA 발현은 모링가 뿌리 추출물에 의해 저해되지 않았으므로 모링가 뿌리 추출물이 MMP-9 활성 및 발현 저해를 통해 암세포 침투를 저해시키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MMP-9 활성 및 발현 조절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MAP kinase의 인산화를 확인한 실험에서 모링가 뿌리 추출물이 ERK와 JNK의 인산화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 모링가 추출물 중 뿌리 추출물이 MMP-9 활성 및 발현저해에 가장 효과적이며, ERK와 JNK의 인산화 조절을 통해 MMP-9의 활성 및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fficacy of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in Mediastinal Staging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a University Hospital

  • Joo, Hye-Jin;Kim, Hyeong-Ryul;Oh, Yeon-Mok;Kim, Yong-Hee;Shim, Tae-Sun;Kim, Dong-Kwan;Park, Seung-Il;Kim, Woo-Sung;Kim, Dong-Soon;Choi, Chang-M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3호
    • /
    • pp.180-187
    • /
    • 2011
  • Background: In mediastinal lymph node sampling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treatment as well as to predict an outcome. Endobronchial ultrasound-guided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EBUS-TBNA) is a recently developed, accurate, safe technique in patients with NSCLC for sampling mediastinal lymph nodes. We sought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EBUS-TBNA in mediastinal staging with NSCLC considered to be operabl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142 patients who underwent EBUS-TBNA for mediastinal staging in the Asan Medical Center, Korea from July 2008 to July 2010. If patients were in an operable state, they underwent subsequent surgical staging. Diagnoses based on biops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based on surgical results. Results: We performed EBUS-TBNA in 184 mediastinal lymph nodes in 142 NSCLC patients. Almost all of the EBUS-TBNA samples were from the lower paratracheal (112, 60.9%) and subcarinal (57, 31.0%) lymph nodes. In 142 patients, 51 patients (35.9%) were confirmed with malignant invasion of the mediastinal lymph node by EBUS-TBNA and 91 (64.1%) patients were not confirmed. Among the 91 patients, 64 patients (70.3%) underwent surgical staging. 3 patients (4.7%) who were misdiagnosed by the EBUS-TBNA were confirmed by surgery. After Diagnostic sensitivity of EBUS-TBNA, the prediction of mediastinal metastatsis was 94.4% and specificity was 100%. The procedures were performed safely and no serious complications were observed.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e high diagnostic value of EBUS-TBNA for mediastinal staging.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에서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발현 및 신생혈관생성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angiogenesi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정연기;이형석;박철원;강미정;박용욱;박찬금;장세진;태경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5-41
    • /
    • 2002
  • Background and Objectives : Angiogenesis within malignant tumors has been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the growth and expansion of cancer cells, especially for solid tumors, and has been implicated in the overall growth and metastases of tumors. Such angiogenesis within tumors depends upon the secretion of vascular growth factor to allow the growth of newly formed vessels from peripheral tissue into the malignant tumor. %n,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cancer cells and vascular growth factors is absolutely critical to understanding the growth of malignant tumors. According to recent report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has been found to play a role in lymphatic metastases, tumor recurrence and survival in various human tumors. To evaluate the role of VEGF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HNSCC) we performed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VEGF and microvessel density in 39 HNSCC by immunohistochemistry and correlated them with various clinical data such as stage, cervical lymphatic metastasis, recurrence, and overall survival. Results : The expression of VEGF was not correlated with overall stage, T stage and N stage.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VEGF and recurrence in the Primary site, cervical lymph node, and the distant metastases.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VEGF and microvessel density. Conclusion :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s not a major prognostic factor for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significance of VEGF expression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PDF

설과 편도 편평 상피세포암에서 P53의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P53 Expression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ongue and Tonsil)

  • 최건;김만수;최종욱;황순재;유홍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83-83
    • /
    • 1993
  • 정상 p53 유전자는 17번 염색체의 short arm에 위치하는 항암 유전자이나 point mutation에 의한 p53 유전자의 변이는 반감기가 긴 p53단백을 합성하여 핵내에 축적되고 변이형 p53은 암의 발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p53에 대한 단크론성 항체가 개발되어 조직에서 변이형 p53의 검색이 가능하여 여러종류의 종양조직에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p53에 대한 표현 양상이 연구되었다. 이에 설 및 편도의 편평상피세포암 조직에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p53의 표현 양상을 검색하고 p53의 표현 양상과 임상적, 병리적 소견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29례의 편평상피세포암(설암 19례, 편도암 10례)의 진단시 채취한 생검조직에서 p53에 대한 단크론성 항체를 사용하여 p53의 표현양상과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종양의 원발부위, 원발종양의 크기, 경부 임파전이 여부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53은 대조군과 실험군의 모든 비종양핵에서는 음성반응을 보였고, 29례의 실험군 중 4례의 종양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여 양성율은 13.8%이었다. 2. p53의 양성반응은 종양의 크기가 4cm 이상인 예에서 4cm 미만인 예에서 보다 양성인 예가 많았다(p<0.05). 3. p53의 양성반응은 종양의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종야의 원발부위, 경부 임파전이 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 PDF

Aesculetin의 항산화 활성과 MMP-9 활성 억제를 통한 암세포 침윤 억제 (Aesculetin Inhibits Cell Invasion through Inhibition of MMP-9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 홍수경;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3-679
    • /
    • 2016
  • 최근에 종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암화합물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 전통약재로부터 유래된 천연화합물은 항암후보소재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aesculetin은 약용식물로 널리 알려진 산초나무의 주요 성분이다. Aesculetin은 항염증 및 항균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세포침윤과 관련된 효과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람섬유아육종세포(HT1080)에서 항산화와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s)에 대한 aesculetin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aesculetin은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능뿐 만 아니라 환원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MTT 실험을 이용하여 HT1080세포에서 aesculetin의 2 μM 이하의 농도에서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MP-2와 MMP-9의 활성과 단백질 발현 수준에 대한 aesculetin의 억제효과는 gelatin zymography와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조사되었다. Aesculetin은 세포침윤과 관련된 MMP-9의 활성의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aesculetin은 TIMP-1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증가시켰으나, PMA로 자극된 MMP-9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감소시켰다. 더불어 aesculetin은 농도의존적으로 암전이와 관련된 세포침윤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aesculetin은 세포침윤과 관련된 MMP의 활성과 발현의 억제를 통해 세포침윤을 예방할 수 있는 소재로서 기대된다.

직장암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성적 (Result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of the Rectal Cancer)

  • 조문준;하성환;박찬일;최국진;김진복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4권2호
    • /
    • pp.147-153
    • /
    • 1986
  • 직장암은 한국인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 중 7번째로 빈번한 종양이며, 그 해부학적 구조상 근치적 절제술이 비교적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어 수술 후 상당수에서 국소적인 재발이 발생한다.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병용하여 국소재발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겼으며 나아가서 생존률의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저자들은 1979년 3월부터 1984년 4월까지 서울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직장암으로 근치적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13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국소재발율은 $B_2+B_3\;가\;10\%,\;C_1,\;이\;6\%,\;C_2+C_3가\;25\%$였다. 2) 3년 무병 생존율은 $B_2+B_3가\;68\%,\;C_1이\;51\%,\;C_2+C_3가\;25\%$였다. 3) Life-table방식에 의한 3년 생존을은 $B_3+B_3가\;78\%,\;C_1이\;47\%,\;C_2+C_3가\;39\%$였다. 4) 133명중 7명에서 수술이 필요한 정도의 장폐쇄 증상이 있었다.

  • PDF

국소적으로 진행된 직장암에 대한 근치적 수술 단독 치료군과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 및 항암화학요법 병행군의 치료결과 분석 (Locally Advanced Rectal Carcinoma : Curative Surgery Alone vs.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 안승도;최은경;김진천;김상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53-258
    • /
    • 1995
  •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on the pattern of failure and survival for locally advanced rectal carcinoma, we analyzed the two groups of patients who received curative resection only and who received postoperative radiochemotherapy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une 1989 to December 1992, ninety nine patients with rectal cancer were treated by curative resection and staged as B2-3 or C. Group I(25) patients received curative resection only and group II(74) patients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Postoperative adiuvant group received radiation therapy (4500cGy/25fx to whole pelvis) with 5-FU (500mg/$m^2$, day 1-3 IV infusion) as radiosensitizer and maintenance chemotherapy with 5-FU(400mg/$m^2$ for 5 days) and leucovorin (20mg/m^2$ for 5 days) for 6 cycles. Results : The patients in group I and group II were comparable in terms of age sex, performance status, but in group II $74{\%}$ of patients showed stage C compared with $56{\%}$ of group I. All patients were followed from 6 to 60 months with a median follow up of 29 months. Three year overall survival rates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68\%,\;64\%$ respectively in group I and $64\%,\;61\%$, respectively in group II.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in overall survival rate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 Local recurrences occurred in $28{\%}$ of group I, $21{\%}$ of group II (p>.05) and distant metastases occurred in $20{\%}$ of group I, $27{\%}$ of group II(p>.05). The prognostic value of several variables other than treatment modality was assessed. In multivariate analysis for prognostic factors stage and histologic grad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ocal recurrences and lymphatic or vessel invasion on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 : This retrospective study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the pattern of failure and survival. But considering that group II had more advanced stage and poor prognostic factors than group I, postoperative adjuvant radiochemotherapy improves the results for locally advanced rectal carcinoma as compared with curative surgery alone.

  • PDF

IMACIS-1을 이용한 위장관 종양의 방사면역신티그램 (Radioimmunoscintigraphy Using IMACIS-1 in Gastrointestinal Cancer)

  • 손형선;김춘열;박용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6
    • /
    • 1990
  • Most of the diagnostic methods currently used for the detection of neoplastic masses provide indirect evidence. To obtain greater specificity in the interpretation of neoplasias by in vivo methods, the immunological approach appears to be most promising. Two problems that interfered with progress in this field were the lack of tumor specific antigen and the lack of well-defined and reproducible antibodies. To improv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radioimmunoscintigraphy as a technique for tumor localization, the use of monoclonal antibodies, fragments of antibodies and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rized tomography (SPECT) are reasonable. The obvious advantages of monoclonal antibodies are their homogeneity, their specificity for the immunizing antigen and the reaction with a single determinant-thus no large immunecomplexes with antigen are formed. Monoclonal antibody technique has recently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evaluate the role of nuclear medicine for the diagnosis of malignant diseases by using the immunological approach. Out first results by means of radioimmunoscintigraphy of CEA and CA 19-9 producing tumors using a cocktail of fragments F $(ab')_2$, of mocolonal antibodies to CA 19-9 and CEA labeled with $^{131}I$ (IMACIS-1) are reported. The aims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role of immunoscintigraphy in patients with colorectal and other cancers for diagnosis of local recurrences and metastasis. This report contains results of the first 8 colorectal and pancreas cancer patients with the elevation of the level of serum CEA and/or CA 19-9. IMACIS-1 was injected intravenously during 30 minutes in 100 ml saline solution after skin test. Planar scintigrams were recorded 3, 5 and 7 days after the injection of the IMACIS-1. Anterior, lateral and posterior views of the liver as well as anterior and posterior views of the pelvis were obtained in each patients as an $^{131}I-antibody$ image. We were able to localize exactly the malignant process with the double-nuclide double-compound $^{99m}Tc\;^{131}I$ (Tc+l) scintigrams. In Tc & I double-nuclide scintigraphy, computer subtraction display provided more clear localization of the tumor. We compared the results of radioimmunoscintigraphy with CT, ultrasonograms, conventional scinti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radioimmunoscintigraphy using the fragments $F(ab')_2$ of the cocktails of CEA and CA 19-9 monoclonal antibodies were 80% and 100% respectively. 2) Tumor detection rate was not proportionated to the level of serum tumor markets. 3) Second tracer technique was essential for tumor localization as an anatomic landmark using double-nuclide scintigraphy. 4) A slow infusion of the antibodies was necessary to prevent the formation of large immune complexes. 5) Tumor/non-tumor radioactivity was most elevated at 7 days delayed imaging. 6) Using planar scintigraphic technique of $^{131}I$ labeled monoclonal antibodies are possible for imaging most of the tum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