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ium Content

검색결과 1,565건 처리시간 0.025초

칠분도미(七分搗米)를 주식(主食)으로 한 한국인식단(韓國人食單)과 식량제한(食量制限)에 관(關)한 영양학적(營養學的) 연구(硏究) (Nutritional studies on the menu contained 70% polished rice and dietary restriction)

  • 유영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9권2호
    • /
    • pp.40-53
    • /
    • 197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se the metabolic effects of Korean diet pattern which contained all-polished rice and 70% polished rice, and to compare dietary restri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od intake survey to catch the Korean diet pattern The calory intake showed women took much more than men and farm village was higher than city, However, protein intake showed men were higher than women and decrease gradually from city, fishing village, and farm village. Calcium intake showed Seoul was the first rank of all, but was merely 70% of recommended quantities. Fe intake was greatly short especially in women and vitamin C also showed same situation. In the view of food group intake, grains and potatoes were 70.06%, vegetables and fruits 13.05%, meats fishes and beans 11.99%, respectivelly. Oil and fat intake showed lowest percentage as 0.77%. 2. Nutritional experiments albino rats have been fed for 7 weeks with three different diet: all-polished rice diet, 70% polished rice diet, and the standard diet for contral group. Dietary restriction were at 4 levels: 5% , 10%, 15%, 20% in 70% polished rice det. Body weight of 70% polished rice group gained value compare to all polished rice group. In the final organ weight all-polished rice group and 70% polished rice group and 70% polished rice group revealed similar results, but organ weight almost decreased dued to dietary restriction and statistical dat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ary restriction group and none-restriction group. In the femur length, 70% polished rice group was longer than all polished ric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nitrogen content of liver and muscle of 70% polished rice group was higher than all-polished rice group. Furthermon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emale (P<0.1). In the 10% restriction group(female) and 15% restriction group(male), nitrogen retention was higher than 0% restriction group. The other biochemical analysis such as liver lipid, serum cholesterol, glucose of urine, feces and serum were not reveale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studying, it seems clear that 70% polished rice intake influenced much nourshment to white rat growth than all-porished rice intake, and there is no significant influence to animal growth and metabolic effect even if it was restricted $5{\sim}10%$ of diet.

  • PDF

An Effect of Dietary Chlorella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 Yong-Ho Kim;Yoo-Kyeong Hwang;Su-Mi Ko;Jung-Min Hwang;Yong-Woo Lee;Hee-Kyung Seong;Dong-Uk Kim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17-221
    • /
    • 2002
  • Age-related osteopenia and osteoporosis are common in postmenopausal women due to decrease in bone mass and ovarian function. A therapy for osteoporosis would depend on only drugs to inhibit bone loss,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exercise and dietary supplementation and it is very hard to fad an ideal therapy for osteoporosis as yet. Chlorella which is rich in minerals such as calcium magnesium fatty acids, vitamins and sterol, could be applicable for prevention and co-treatment of osteoporosis, but it has yet to be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dietary chlorella 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nutritional improvement. BMD was measured in the femural neck and lumber spine portion. Nutritional and bone turnover markers from blood samples were assessed serum lkaline phosphatase, hemoglobin, number of erythrocytes and total protein. Studies for the femur neck measurement showed that normal BMD increased 2.1% for the group fed chlorella supplemented diet for four month and increased 6.6% fur group treated for one year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for the lumber spine measurements the few month group showed an increase of 9.1% over the control group, the one year group showed an increase of 64.2% over the control group. Hemoglobin content, number of erythrocytes and total protein showed similar increased patterns with BMD measurement, meanwhile, serum alkaline phosphatase increased 3% for the four month group and decrease 16% for the one year group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postmenopausal women fed chlorella supplemented diet results in an increase in BMD. This is a marked increment in lumber spine, enhancement of nutritional state and stable bone turnover. This data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MD and nutritional change with chlorella treatment, and suggested that chlorella dietary may lead to improving and preventing rapid loss of BMD in postmenopausal women.

  • PDF

다양한 철강제조공정에서 부산되는 전기로 환원슬래그의 급경성 무기결합재로의 적용성 검토 (Evaluation for Applicability as the Inorganic Binder with Rapid Setting Property for Construction Material of LFS Produced from Various Manufacturing Process)

  • 김진만;최선미;김지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70-77
    • /
    • 2012
  • 제강슬래그 중 15~20%를 차지하는 환원슬래그는 건설재료로서의 유익한 화학적 조성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활용처가 없이 매립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용도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제강 환원슬래그를 고효율 재활용 용도 개발을 위한 연구로, 사전 연구결과 급냉을 통하여 분화가 없는 안정된 골재상 제조가 가능하고, 이를 분쇄하여 수화시 급결 특성과 자체 수화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철강 제조 공정에서 부산되는 환원슬래그일지라도 생산 제품에 따라 슬래그의 특성도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각 생산 제품에 따른 10군데 플랜트에서 배출되는 환원슬래그를 채취하여 그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분석된 화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급냉 시 생성되어지는 광물을 예측하여 사전연구 되었던 급냉 환원슬래그와 같이 급결성 및 강도발현특성을 갖는 무기결합재로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특수강 및 열연 제품 생산공정에서 배출되는 환원슬래그일수록 높은 $Al_2O_3$ 함량을 가짐에 따라, 급결성 광물인 $C_{12}A_7$을 다량 함유하고, 이로써 급냉을 통하여 특수용 무기결합재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황해 동부 대륙붕과 한반도 서해안 표층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Eastern Part of the Yellow Sea and the Korean West Coast)

  • 조영길;이창복;박용안;김대철;강효진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9-91
    • /
    • 1993
  • 한반도 서해안의 금강하구와 연안 조간대 및 황해 동부 대륙붕에서 채취된 76개의 표층퇴적물 시료에 대하여 Al, Fe, Na, K, Mg, Ca, Ti, Mn 등 9개 주성분원소와 Sr, Ba, V, Cr, Co, Ni, Cu, Zn 등 8개 미량 금속원소, 그리고 유기탄소 함량과 탄산염 함량 등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분석된 원소들의 함량은 K과 Ba을 제외하곤 지각의 평균함량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K과 Ca 등을 제외한 대부분 원소의 함량이 퇴적물 입도와 관련성을 보였다. 연구지역 내에서 퇴적물의 화학성분 함량은 퇴적환경 이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세립퇴적물의 경우 금강하구의 퇴적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Mn, Co, Ni의 함량이, 그리고 황해중앙이토에서는 높은 Fe, Na, K, Mg, Ca, V의 함량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한편. 원소함량을 Al함량으로 나눈 함량비의 공간적 분포로부터는 황해중앙이토에서 Fe, Mg, V, Ni, Cu, Zn 등이, 그리고 한반도 연안에서는 K, Mn, Ba, Sr 등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렇게 분석된 세립퇴적물 지화학 특성의 지역적 차이, Al에 대한 함량비의 분포경향, 지각 평균함량을 기준한 원소의 농축비, 특정 광물분포의 영향, 오염의 가능성 등 제반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본 연구지역에 유입되는 한반도 기원 세립물질과 중국 기원 세립물질을 구분할 수 있는 지화학적 지표로서 각각 Mn과 Mg-V이 제시되었다.

  • PDF

옥수수(Zea may L.)재배 토양에서 제지슬러지퇴비의 시용효과: 무기태인산을 중심으로(II) (Influence of paper Mill Sludge Compost to Corn(Zea may L.) cultivated Soil(Incase of Inorganic Phosphorus))

  • 임현택;장기운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1호
    • /
    • pp.99-108
    • /
    • 2001
  • 본 연구는 제지슬러지퇴비를 농업분야에 활용할 때 시용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고, 대상작물은 옥수수였다. 퇴비는 사질토양과 일정비율로 혼합하였으며, 시용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인산의 가용화, 작물체의 양분흡수. 이에 따른 토양중 무기인산의 변화를 평가했다. 포트 시험은 비닐하우스에서 이루어졌으며, 인산의 분획물과 작물의 수량을 조사하였다. 포토실험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중 Saloid-P의 양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Fe-P는 감소하였고, 시용량이 많았던 100Mg/ha 처리구에서는 감소의 폭이 뚜렷하였다. 제지슬러지퇴비를 시용한 포트에서 옥수수를 재배한 결과, 퇴비의 시용량이 많을수록 수량은 증가하였으며, 질소의 흡수는 증가한 반면, 식물체중 인산의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퇴비의 시용량 증가로 식물체중 인산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산의 결핍은 일어나지 않았다.

  • PDF

산란사료 내 석회석에 대한 고막조개 패분의 부분 대체 급여가 산란후기의 난 생산성 및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ranular Ark Shell Partially Replacing Limestone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shell Quality in Aged Hens)

  • 박태순;유선종;김성권;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7-185
    • /
    • 2004
  • 본 실험은 산란계의 칼슘 공급원으로서 국내산 고막조개패분(GAS)을 석회석과 대체하여 산란후기의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부존 원료의 사료 자원화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54주령 Hy-Line Brown Variety 산란계 암탉 200수를 공시하였고, Ca 3.6% 수준의 실험사료(Control)에 유사한 입자도의 GAS를 1%, 2% 및 3% 수준으로 석회석과 대체하여 첨가한 실험사료(GAS 1%, GAS 2% 및 GAS 3%)를 6주간 급여하였다. In vitro 용해도는 석회석에 비해 GAS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사료섭취량 및 난 생산성에서는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GAS의 대체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주별 난각 강도 및 난각 두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전체 실험기간의 평균 난각 강도 및 두께의 결과에서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 < 0.05). 경골 파쇄 강도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경골 내 회분 함량은 GAS 3%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혈청 내 Ca 및 P의 농도는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산란사료내 석회석을 국내산 고막조개 패분으로 대체 급여를 통해 산란후기 난각질의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산란계 사료에서 Ca 공급원으로서 부존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주한란의 자생환경 특성 및 분포에 관한 연구 (Habitat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Cymbidium kanran Native to Jejudo, Korea)

  • 이종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0-49
    • /
    • 2004
  • This work carried out to define the characteristic of Cymbidium kanran habitat at Mt. Halla in Jejudo, Korea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including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features, air and soil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fluctuations of light intensity, habitat vegetation, distribution altitude, area limit, and etc. And another goal of this study consider the conservation counterplan of the cymbidium habitat. Natural distribution areas of the cymbidium were observed more abundantly on the well drained south and east-facing slopes. Soil acidity was ranged from pH 4.1 to 5.3, and electric conductivity was ranged from 176.4 to 299.9 us/cm (average 215.3 us/cm). Base-saturation percentage of the habitat soil was below 50%, bulk density 0.42g/$cm^2$, particle density 2.05g/$cm^2$, humus content 26%, total nitrogen 0.82%, available phosphate 4.2 mg/kg, exchangeable potassium 0.63 Cmol/kg, calcium 0.44 Cmol/kg and magnesium 0.67 Cmol/kg. Annual mean air temperature was $15.4^{\circ}C$, however, air temperature was ranged $11.7{\sim}18.2^{\circ}C$ in spring, $21.2{\sim}23.8^{\circ}C$ in summer, $12.8{\sim}22.0^{\circ}C$ in fall and $5.5{\sim}7.8^{\circ}C$ in winter season. Annual mean soil temperature at depth of 10cm was $13.2^{\circ}C$ And minimum value was recorded $4.7^{\circ}C$ on January, and maximum value $22.5^{\circ}C$ on August. Relative humidity was ranged 90.8~94.7% in summer, 80.8~91.5% in fall and 77.6~84.2% in winter season. Minimum value was 56.5% on December, and maximum value was 100% on July and August. Light intensities were ranged from 400 to 1,800 lux at the greater part of Cymbidium kanran sites in Jejudo. Summer regarded as an lower light intensities was recorded to be range of 500~600 lux; however, autumn and winter were shown higher light regimes ranged from 3,500 to 3,800 lux. Therefore, one must be suprised that the cymbidium grow at the light condition of 6 lux (minimum) or 10,000 lux (maximum). Tree species keeping higher frequency rate and density were Eurya japonica, Camellia japonica, Castanopsis cuspidata, Carpinus laxiflora and Pinus densiflora. Number of trees growing in a 5${\times}$5m quardrat was 35 as an average, and proportion of evergreen versus deciduous was 5:1. Distribution altitude of the orchid habitat was ranged from 120m (low) to 840m (high) from sea level on the south facing slope of Mt. Halla, and was ranged eastern borderline of Gujwaup, Bukjejugun to western boundaries of Jungmundong, Seogwipo city. For the stable conservation of Cymbidium kanran habitat, sunlight regimes must be increased more by means of cutting trees or twigs in the site.

퇴비단 여과액비와 농축액비를 이용한 양액재배가 토마토(Lycopersicum esculentum Mill.)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ost Leachate and Concentrated Slurry on the Growth and Yield of Tomato(Lycopersicum esculentum Mill.) in Hydroponic Culture)

  • 류종원;서운갑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57-370
    • /
    • 2009
  • 본 연구는 돈분뇨 여과 및 농축액비를 이용한 양액재배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여과액비와 농축액비와 부산물, 양액 혼합처리가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퇴비화 과정 중 과수분 상태에서 배출되는 퇴비단 여과액비와 막분리 처리과정에서 한외 여과막을 통과하고 역삼투막 처리에서 역류되어 나오는 돈슬러리 농축액비를 공시재료로 하였다. 본 연구는 질소함량을 기준으로 액비와 부산물, 양액의 혼합하는 처리구를 두어 전기전도도와 pH를 조정하여 토마토의 양액재배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과액비와 농축액비는 다량 및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부유물질(SS)이 낮아 양액재배시 관배수의 막힘문제 없이 활용이 가능하였다. 여과, 농축액비는 인산, 칼슘, 마그네슘 함량이 낮고 칼륨이 높은 양분불균형를 나타내었다. 2. 여과액비는 원예연 표준양액 대비 총수량 91%, 상품수량 70%를 나타내어 여과액비 단독급액으로 토마토의 유기 수경재배 생산이 가능하였다. 3. 막처리 농축액비 100% 처리구는 토마토의 지상부의 생육이 지연되고 과중이 감소되어 화학양액 대비 40%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4. 퇴비단 여과액비+부산물, 농축액비+부산물 혼합처리구의 토마토 수량은 대조구 대비 각각 87, 76%를 나타내어 여과액비 단독시용구의 수량에 미치지 못하였다. 5. 질소기준으로 여과액비와 농축액비에 양액을 50% : 50% 비율로 혼합하여 균형처방 처리한 경우 표준양액 처리와 대등한 수량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토마토 양액재배에서 생육과 수량을 고려할 때 액비와 양액의 50 : 50 혼합 재배시 수량이 유지되어 가축분뇨 유래 유기액비에 의하여 화학양액를 50%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Barn or Grazing on Biochemical Indices in Prepartum, and Milk Composition in Postpartum of Dairy Cows

  • Lim, Dong-Hyun;Ki, Kwang-Seok;Park, Seong-Min;Kim, Sang-Bum;Park, Ji-Hoo;Jung, Jeong Sung;Vijayakumar, Mayakrishnan;Kim, Dong-Hyeon;Lee, Hyun-Jeong;Choi, Hee-Chul;Kim, Tae-Il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72-280
    • /
    • 2019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arn or cycle of grazing on changes of biochemical metabolites in prepartum and changes of milk composition in postpartum of dairy cow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sixteen 25 months old Holstein primiparous dairy cows were allocated in two groups (n=8)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571.61 ± 35.30 kg (Barn) and 578.10 ± 39.20 kg (Grazing).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2018 to October 2018. Results revealed that barn raised dairy cows had a higher increase in their serum albumin and calcium level on day 14 prepartum. However, the level of palmitic acid, saturated fatty acid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level of fat, oleic acid, γ-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decreased significantly in barn raised dairy cow's milk on day 14 postpartu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with respect to all other biochemical metabolites, fatty acids and minerals between barn raised and cycle grazing dairy cows during prepartum and postpartum. Our study results could serv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barn raised cow with respect to changes of biochemical metabolites in prepartum and changes of milk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s content in grazing dairy cows in postpartum for estimating their physiological status.

'유명' 복숭아의 과실 바람들이 증상 (Characteristics of Fruit Flesh Pithiness Symptoms in 'Yumyeong' Peach [Prunus persica (L.) Batsc])

  • 조명동;김용구;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60-367
    • /
    • 2000
  • 유명복숭아는 보구력이 매우 강한 독특한 불용질성 품종으로서, 수확기간이 긴 장점이 있으나 너무 늦게 수확하는 경우 수상에서 과실 바람들이 증상이나 내부갈변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바람들이 증상은 늦게 수확할수록 큰 과실에서 많이 발생하며 당과 말산 함량은 정상과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으나 구연산의 함량이 크게 낮아 산도가 떨어졌다. 바람들이 증상과의 과피에서는 질소, 인산, 칼륨의 함량이 높았으며 과육에서는 질소, 인산,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았으나 칼슘의 경우 과피와 과육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다. 바람들이 발생은 수확전 2개월 간의 강수량이 적고 최고온도가 높은 해에 많이 발생하여 과실비대기의 고온건조가 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형태학적인 측면에서 바람들이 발생부위의 세포들은 정상부위의 세포들보다 작은 크기의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내부갈변과에서 액포막이 파괴되고 죽은 세포가 많은 것에 비하여 바람들이과는 액포막의 파괴없이 액포가 수축된 상태로 나타났다. 바람들이 발생조직 주변의 유관속 조직에서 틸로시스가 발견되어 이러한 틸로시스가 일부 과육조직의 발달을 방해하여 바람들이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판타지아'와 '월미' 등의 다른 복숭아에서도 틸로시스가 나타났으며 비정상적으로 작은 세포들의 모임이 과육에서 발견되어 과육 전체 세포들이 균일하게 생장하고 있지 못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복숭아 여러 품종에서 바람들이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하나 많은 복숭아가 연화기간이 짧아 바람들이 증상이 발견되기 어려운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