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anu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초

Digital Holographic Particle Tracking Velocimetry 기법을 사용한 동물성 플랑크톤(요각류 Calanus sinicus)의 헤엄침 양태 연구 (Swimming Behavior Study of the Zooplankton(Copepod Calanus sinicus) by Using a Holographic Particle Tracking Velocimetry Technique)

  • 손명환;박병화;최용석;이상준;강영실;강양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941-949
    • /
    • 201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wimming pattern and appendage postures of a copepod species, Calanus sinicus, which prevails in the south-east sea of the Korean peninsula, by employing a digital holographic particle tracking velocimetry(PTV)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pepod Calanus sinicus had various swimming patterns such as hover, hop, sink, cruise, and downward cruise. Most frequent pattern was the 'hop and sink'. The average swimming speeds ranged from 1.1 to 45.7 body-lengths/s, and the corresponding flow Reynolds number ranged from $10^0$ to $10^2$.

Effects of naval pulp wastes on the growth and feeding rates of a heterotrophic protist and copepods

  • Jeong, Hae-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7권2호
    • /
    • pp.76-81
    • /
    • 2002
  • I investigated whether US naval pulp wastes (pulverized paper products), which is planned to be dumped into offshore waters, may affect the ecology of major components of marine zooplankton. The presence of slurry (0.6% concentration - wet weight ; wet weigh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opulation growth rates of the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Polykrikos kofoidii fed on Lingulodinium polyedrum, but significantly reduced the ingestion rates of the calanoid copepods Acartia spp. on L. polyedrum and those of the copepod Calanus pacificus on Akashiwo sanguinea (previously Gymnodinium sanguineum). However, C. pacificus, originally exposed to 0.6% slurry for 24 hour, can recover its feeding rates when slurry disappears. Therefore, if slurry is diluted quickly due to trubulence after being dumped at 0.6% concentration, its presence may not affect Calanus. Chemicals leached from slurry did not affect the feeding rate of Calanus. Therefore, mechanical interference by slurry on the feeding and/or swimming of copepods may be mainly responsible for the reduction of the ingestion rates.

봄철 부산 연안의 요각류 Calanus sinicus의 길이-무게 관계식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the Copepod Calanus sinicus off Busan in Spring)

  • 강형구;김가람;이연정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261-267
    • /
    • 2022
  • We derived a length-weight relationship for Calanus sinicus off Busan, Korea in spring to estimate the biomass of the C. sinicus population around Korean waters, and compared it with the previously derived equations.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prosome length of C. sinicus used in the relationship ranged from 1,376-1,540 ㎛ for copepodite 4 (CIV), 1,753-1,971 ㎛ for copepodite 5 (CV), and 2,160-2,283 ㎛ for adults (CVI). Dry weight and carbon content were measured from a total of 26 replicates. Length-weight relationships derived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log C = 3.342 log PL - 9.449, log DW = 3.394 log PL -9.219, where C is carbon content (㎍), DW is dry weight (㎍), and PL is prosome length (㎛). When comparing the present regression equation of length-weight for C. sinicus with the previous one, our regression equation showed an average carbon estimate to a given range of mean prosome length.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C. sinicus in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to better estimate the biomass of the C. sinicus population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군산연안 내초도 조간대에 서식하는 왜풀망둑 Acanthogobius elongatus의 섭식생태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elongatus from the Kunsan Coast Intertidal Zone, Neacho-do in the West Coast of Korea)

  • 김종연;노용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3-422
    • /
    • 1997
  • 조간대에 서식하는 왜풀망둑의 서식지 환경과 섭식생태를 파악하여 연안 생물군집의 먹이사슬에 관한 기초지식을 얻고자, 1993년 7월부터 1994년 6월까지 군산연안의 내초도에서 매월 1회씩 왜풀망둑을 채집하면서 서식지 환경을 조사하고, 위내용물 분석을 통해 섭식생태를 조사하였다. 본 조사기간 동안 조간대의 수온은 $4.5\~33.2^{\circ}C$, 석온은 $3.5\~29.1^{\circ}C$, 염분은 $21.68\~27.41\%_{\circ}$, 해수 pH는 $7.6\~8.1$, 저질 pH는 $8.5\~9.2$, 저질함수량은 $48.5\~76.2\%$ 및 저질의 유기물함량은 $1.67\~2.8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왜풀망둑의 위내용물 중량비는 $1.78\%$, 위만복도도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위만복도는 하루 중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차례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왜풀망둑의 위내용물에서 출현한 먹이생물 중 개체수가 가장 많은 것은 copepods로 $54\%$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계절별 주요 먹이생물의 출현양상은 봄에 Paracalanus parvus, 여름에 Calanus sinicus, 가을에 Acartia sp., 겨울에 Calanus sinicus 등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계절간 먹이생물의 중복도는 봄과 여름 사이에서만 크게 나타났고 나머지 계절 사이에서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체장별 먹이생물의 차이는 거의 볼 수 없었으며, 체장별 주요 먹이생물의 조성을 보면, 주로 copepods, decapods, molluscs 및 cirriped larvae 등의 순으로 많이 출현하였고, 체장이 커질수록 amphipods, polychaete larvae, isopods, cumaceans 및 stomatopods등의 출현율이 점점 증가하였다. 주요 먹이생물의 중요도지수는 Calanus sinicus, Corycaeus affinis 및 Acartia sp. 등의 순이었다.

  • PDF

해양 부유성 요각류인 Calanus sinicus와 Acartia clausi(A. omorii)의 포식 행동 (The feeding behavior of the marine planktonic copepod, Calanus sinicus and Acartia clausi(A. omorii))

  • 신경순;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18
    • /
    • 1992
  • 요각들은 Calanus sinicus와 Acartia clausi(A. omorii)의 먹이섭취 양상을 파악 하기 위하여 식물 플랑크톤의 농도변화와 시간경과에 따른 먹이섭취율 및 여과율의 변 화를 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두종의 요각류들의 여과율은 먹이농도가 증가에 따라서 감소했으며, 평균 여과율은 C. sinicus가 2.42 ml/copepod/hr,이고, A. clausi가 3.37 ml/copepod/hr. 이였다. 먹이섭취율은 먹이농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변동은 있지만 수 평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시간에 따른 요각류들의 여과율은 주기성 을 보이지 않고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A. clausi 는 어떤 시간의 경과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신물플랑크톤의 농도변화에 따른 요각류의 먹 이섭취율과 여과율의 경향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측정된 값들은 다소 차이를 보였 다. 그리고 시간경과에 따른 조사에서 두종의 요각류들은 불연속적인 포식활동을 전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irect Examination of the Dietary Preference of the Copepod Calanus helgolandicus Using the Colorimetric Approach

  • Kang, Hyung-Ku;Poulet, Serge;Ju, Se-Jong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3호
    • /
    • pp.193-197
    • /
    • 2007
  • The food selectivity of tethered females of the copepod Calanus helgolandicus was examined by using the colorimetric approach. First, feeding behavior of the copepod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the red-color stained with neutral red and non-stained diets using the diatom Coscinodiscus curvatulus. Then, the copepods were fed a mixtures of two diets, the diatom C. curvatulus, stained with neutral red, and the dinoflagellate Gymnodinium sanguineum for $14\sim60$ minutes of feeding duration. The foregut colors of females were examined using a stereo-microscope and a video monitor. The foreguts of animals fed with a high density of diatoms in mixed diets showed a dark red color, whereas those fed with a high density of dinoflagellate in mixed diets were a dark yellow.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species of copepod may not selectively feed either one of the diets used for this study. Their feeding activity may be more likely related to the density of available prey in their environment. Therefore, this quick and easy colorimetric approach could provide very useful information, like the pre-screening procedure before designing and conducting the time-consuming and complex feeding experiments to understand the feeding ecology of copepods.

Seasonal Variations in Distribution, Population Structure and Prosome Length of Calanus sinicus (Copepoda: Calanoida)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 Kang, Young-Shil;Hong, Sung-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1-2호
    • /
    • pp.28-34
    • /
    • 1998
  • Variations in abundance, size and population structure of Calanus sinicus were studied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in connection with hydrographic conditions during 1991-1992. Abundance was high in April and low in August. This species was concentrated inshore of a coastal temperature front, or around the temperature front in April. The 1st-3rd copepodites dominated in February and April, and adults in August. The mean population stages in February and April were younger than those in other survey months. This suggests that this species mainly reproduced during winter-early spring. In prosome length, the 1st-4th copepodites were larger in April than in other survey months, and the 5th copepodite and adult were the largest in February. Mean prosome length of C. sinicus showed weak inverse relationship with sea water temperatur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evidenced.

  • PDF

한국 동해 중부 해역의 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 특성 (Distribution of indicator specie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middle East Sea of Korea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 박주석;이삼석;강영실;허성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3-213
    • /
    • 1991
  • 요각류와 모악류 중 주요 수괴 지표종의 분포에 근거하여 한국 동해중부해역의 수층별 수괴의 시$\cdot$공간적 변동을 밝히기 위하여 14개의 정점에서 2월과 $8{\~}9$월에 폐쇄망으로 수층별로 동물 플랑크톤을 채집, 분석하였다. 요각류 중 난류 외양성 종인 Pleuromamma gracilis, Calanus tenuicornis와 모악류의 Sagita enflata 및 S. minima, 한류성 종인 Calanus cristatus, Calanus plumchrus 및 S. elegans 그리고 심해 한해성 종인 Gaetanus armiger의 분포와 수괴 변동과의 관계를 밝혔다. $0{\~}100m$ 수층에서는, 한류성 종인 C. cristatus, C. Plumchrus 및 S. elegans의 분포로써 북한한류 세력이 주문진 연안까지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주문진-죽변이북 연안해역에서 S. elegans는 출현하지 않다가 죽변연안에서 다시 출현하는 것은 동한난류의 강한 연안측 침투로 북한한류는 하층으로 잠입되고 표층에서 주변해역보다 약 $2{\~}4^{\circ}C$ 높은 고온수가 분포하기 때문이다. 난류종인 S. enflata의 출현역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100{\~}300m$ 수층에서는, 2월의 경우 울릉도 서북방 해역이 동한난류의 영향을 받는 수괴임을 C. tenuicomis와 P. gracilis의 분포로써 입증하였으며, $8{\~}9$월의 경우, 동한난류의 영향을 받는 울릉도 서북방 해역과 북한한류수계인 속초-주문진 연안역 사이에 혼합성을 띈 수괴가 존재하는 것을 S. bedoti의 분포로써 밝혔다. $300{\~}500m$ 수층의 경우, 2월과 $8{\~}9$월 모두 S. bedoti와 S. enflata의 출현수역인 울릉도 서북방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해고유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9원에 있어서 전선 역에 혼합종인 S. bedoti가 풍부한 반면, 난류종인 S. minima와 S. enflata가 없거나 아주 소량 출현하는 것은 수괴 배치이동과 잘 일치하므로, 이들은 전선형성을 밝히는데 유용한 지표종들이었다.

  • PDF

아산만 요각류 Calanus sinicus의 알 생산 (Egg Production by Marine Copepod Calanus sinicus in Asan Bay, Korea)

  • 박철;이평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5-113
    • /
    • 1995
  • 요각류 Calanu sinicu의 생물량과 산란의 계절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해역인 아산만에서는, 성체는 봄철에 가장 많은 양이 출현하고, 다른 계절에는 소량 분포하는 연중 1회 peak를 보였지만, 산란에서는 봄철(4-5월)과 가을철 (9월)의 연중 2회 peak를 보였다 산란기의 개체군 평균 산란은 봄철에는 16.3 eggs/female/day, 가을철에는 7.6 eggs/female/day였으며, 1개체가 생산하는 최대 값은 39.0이었다. 타 해역에 비하여 비교적 풍부한 유기탄소량과 알 생산과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이지 않아 (r=0.43, p=0.3), 먹이 농도는 알 생산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실험실에서 제공된 먹이를 충분히 섭취하면서도 처음 며칠이 지난 뒤에는 산란이 중지되는 것으로 보아, 먹이의 질과 과거의 섭식경력 (feeding history)이 산란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유추되었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상관관계는 얻지 못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수온에서는 산란하지 않아 대상해역의 수온 변화도 산란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유추되었다. 알 생산율 자료로부터 제한된 해역인 아산만에서는 연중 두 세대의 생활사가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분포의 계절 변화와 생활사의 진행이 직접적으로 관련된 시기가 있는가 하면, 생활사 이외에 상위 영양단계의 포식압력 등에 의한 이주 등이 분포의 계절변화와 관련된 시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종전의 결과와 비교할 때, 계절에 따라 비교적 광범위한 해역을 이주하면서, 알 생산은 연중 간헐적으로 계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