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dastral Map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2초

GIS와 수치정사사진을 이용한 현황 중심의 연속지적도 제작 오류 분석 (An Analysis on the Error of the Present Situation-Based Serial Cadastral Map Production Using GIS and Digital Orthophoto)

  • 홍성언;김윤기;박종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05-112
    • /
    • 2009
  • 현재 제작되어 있는 연속지적도면은 도곽접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즉, 연속지적도면의 적정한 품질이 확보되지 못하여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현재 지적분야에서는 연속지적도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와 현황을 정확하게 참조할 수 있는 수치정사사진을 이용하여 현재 제작되어있는 연속지적도면의 제작 오류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향후 연속지적도면이 보다 정확하게 제작될 수 있는 보완 방법을 제시하여보고자 하였다.

  • PDF

The Pilot Production of Topographic-Cadastral Maps and Its Applications in Korea

  • Park, Yun-Soo;Park, Byung-Uk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1권1호
    • /
    • pp.51-59
    • /
    • 2001
  • The Government confirmed the action planning of digital mapping project for major thematic maps based on ‘Revised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Mapping for major thematic maps was begun in 1998 when digital mapping project for topographic maps finished due to the delay of the action planning, and will selectively have produced the essential digital thematic map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age. The models of topographic-cadastral maps and administrative boundary maps around Suwon were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ed draft. We presented specification for production of the most appropriate topographic-cadastral maps and administrative boundary map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production, discussion and error check, and correction of the produced topographic-cadastral maps and administrative boundary maps. And we could make it easier to develop digital mapping project of topographic-cadastral maps and administrative boundary maps effectively by presenting the strategy for data input and maintenance, the cost model for carrying out the digital thematic map production, digital topographic maps, and the supplement of data model and data format. Topographic-cadastral maps has a wide range of usage but a lot of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map update under use. So it seems that the study on users, university, private sector and municipal self-government must follow for promoting the use of topographic-cadastral maps.

  • PDF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연속지적도의 지도 일반화 기법 연구 (The Map Generalization Methodology for Korean Cadastral Map using Topographic Map)

  • 박우진;이재은;유기윤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73-82
    • /
    • 2011
  • 최근, 지적도 이용에 대한 요구사항이 공공기관과 민간부문에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지적도를 웹 환경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원 지도자료를 임의 단계의 축척 별로 압축해 놓은 다축척 공간표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속지적도를 다축척 공간표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데 있어서 지형도와의 중첩과 폴리곤 지도 일반화 기법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이 과정은 크게 지형도 네트워크 데이터 재구조화, 네트워크 위계에 따른 필지경계선 병합, 선형 단순화 기법 적용의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일반화 기법을 수원지역의 연속지적도에 적용한 결과, 1:5,000, 1:20,000, 1:100,000 세 축척의 연속지적도로 각각 일반화 되었으며, 데이터 압축률은 각각 15%, 8%, 1% 수준으로 나타났다.

일제강점기 지적공부(地籍公簿)의 작성과 의미 (A Study on the Creation and the Meaning of Cadastral Record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 송혜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2호
    • /
    • pp.29-38
    • /
    • 2018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cess of changes concerning the cadastral records that consist of the cadastre, the cadastral map and various registers of lan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adastre and cadastral map we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m and became the basis of cadastral records. These two registers were first made out according to the Project of Colonial Land Survey in the year 1912. As the influx of foreign Weights and Measures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foreign concession since 1876, the traditional units of the Weights and Measures had abolished finally. The extortion of sovereignty led a rapid change to the Weights and Measures in 1910. Japan compelled us to change into Japanese System of Measurement. From that time on, Lot(筆地) and Pyeong(坪) were settled down on the registers of land.

GIS를 이용한 건물등록 방법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Building Registration Method using GIS)

  • 양인태;오이균;유영걸;천기선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4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3-616
    • /
    • 2004
  • Recently, in a field of cadastre, a computerization of cadastral map is in progress with great growth of GSIS field. Also, the needs for the integration of land and building information are widely increasing for integral-management and its application of various land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revision of cadastral laws to replace the existing 2D-Cadastre with the 3D-Cadastre, a legal basis to register the position of buildings and facilities is prepared in the governmental or civil fields. This paper presented 3D-Cadastre theory that has been studied on Europe and surveyed building position directly with Totalstation at cadastral control point after choosing pilot test area, Also, the most efficient surveying method of registering building in a cadastral map is presented with comparing and analyzing building position after surveying digital orthophoto and digital map.

  • PDF

항공사진에 의한 수변구역 수치정사영상지적도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ing Digital Orthophoto Cadastral Map of Waterfront)

  • 김감래;황보상원;임건혁;박세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9-35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수변구역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토지에 대한 자연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수치정사영상과 필지를 중심으로 토지에 대한 물리적 현황 및 소유권이 미치는 범위를 나타내는 수치지적편집도를 중첩한 수치정사영상지적도의 제작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제작된 수치정사영상지적도의 활용 가능성 확인을 위하여 영상지도작업규정과 수치표고모델 구축에 관한 작업규정 및 지적법령상에 규정한 지상과 도상경계의 위치를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평가함으로서 수변구역 특히 경계 관리에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MMAS 기법에 의한 지적불부합지 탐색기법 (Detecting Cadastral Discrepancy Method based on MMAS)

  • 조성환;허용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2호
    • /
    • pp.149-160
    • /
    • 2015
  • 본 논문은 현재의 지적불부합지 탐색 방법이 지적경계의 현행화 과정 없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적경계 현행화 기반의 탐색 기법인 MMAS를 제안하고자 한다. MMAS는 지적측량 시 취득한 측정점 주변 고정물을 이용하여 지적경계를 현행화한 후 지적불부합지를 탐색하는 기법이다. MMAS 처리 순서는 우선 지적도와 지형도로부터 동일한 대상 영역을 추출하여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지적측량 시 취득한 측정점 주변 고정물과 이에 대응하는 수치지형도의 시설물 그리고 지적 필계점과 담장 경계점을 이용하여 대응쌍을 생성한다. 생성된 대응쌍을 기준으로 현행화를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현행화 후의 면적 오차를 계산하여 공차범위 내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잠재적 지적불부합 대상 필지를 분류한다. 제안 기법은 현재의 지적불부합지 탐색기법이 지적경계의 현행화가 배제된 토지(임야)대장 상의 면적만을 고려한 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현행화된 지적경계에 의한 좌표면적의 산출을 통해 지적불부합지 현황 조사의 범위를 잠재된 지적불부합지까지 확장하는데 의의가 있다. 제안 기법에 의해 잠재된 지적불부합지 필지를 탐색한 결과 지적경계의 현행화 이전의 결과보다 증가된 불부합 필지를 탐색할 수 있었다. 제안 기법은 현재 잠재되어 있는 지적불부합 필지를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상황에서 지적재조사를 위한 지적불부합지 탐색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적측량 환경 변화에 따른 지적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방안 (Prevention of Outflow of Cadastral Technique and Protection Plan Subsequent to Environmental Change of Cadastral Surveying)

  • 이재혁;홍성언;이현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33-50
    • /
    • 2008
  • 현재 지적분야는 기존 종이도면관리가 아닌 전산화된 파일관리체계로의 전환, 지적측량시장의 개방, 지적분야의 해외 진출 등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측량의 정확도 향상, 효율화된 관리체계, 지적측량의 경쟁력 강화 등 많은 이점을 가져다주고 있다. 그러나 선진화된 지적관리체계로의 전환은 과거 보다 상대적으로 지적정보 및 기술이 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기술의 무분별한 유출에 대비하고자 현행 지적분야의 환경변화에 대한 내용을 검토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지적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Collapsed Lands Under the Sea Based on Cadastral and Topographic Survey

  • Lee, Chang-Kyung;Han, Sang-Deuk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2권2호
    • /
    • pp.91-98
    • /
    • 2002
  • Lands along the coast may be submerged in high water because of erosion by sea water, collapsing by itself, excavation by animals, and by tidal movement. From a cadastral point of view, some mistakes in registering a parcel located along the coast may cause the parcel to seem to be collapsed. Therefore, geological, physical oceanographic, and cadastral and topographic investigation are necessary to verify that the submerged land in high water collapsed after it was registered. This paper presents a cadastral and topographic investigation for proving a parcel has collapsed under the sea after registered. In this study, cadastral records and the boundary on cadastral maps were examined carefully to find any errors in them. If the topographic maps were drawn when the parcel was registered, it is good proof of topography of the land at that time. Topographic maps drawn recently were compared to those in the 1900s and in 1970s. In conclusion, cadastral records and maps as well as topographic map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ng whether lands along the coast were collapsed or not.

  • PDF

지적재조사를 위한 GIS 기반의 광역 지적불부합지 조사 기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GIS-based Global Cadastral Non-coincidence Surveying Method for the Cadastral Re-survey)

  • 홍성언;이성규;박수홍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30
    • /
    • 2005
  • 우리나라는 지적도면 전산화 사업의 일환으로 전국적인 지적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완료하였고, 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사업으로 다량의 공간 데이터들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사회적 여건을 고려할 경우,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지적불부합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지 측량 방식에 기반하여 지적불부합지를 조사하기보다는 기 구축되어 있는 각종 전산화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여 광역적으로 지적불부합지를 조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적도 전산화 데이터와 기 구축되어 있는 GIS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역적으로 지적불부합지를 조사할 수 있는 자동화 방법론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제 실험지역에 적용하여 본 결과 지역별 불부합 정도의 측정과 함께 도곽별로 불부합 정도의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자동화된 방법에 의한 지적불부합지 조사는 향후의 지적재조사 사업의 기획과 우선순위 등 여러 측면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