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GIS-based Global Cadastral Non-coincidence Surveying Method for the Cadastral Re-survey

지적재조사를 위한 GIS 기반의 광역 지적불부합지 조사 기법의 개발과 적용

  • 홍성언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이성규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박수홍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Korean government has constructed a nationwide cadastral map database through the cadastral map computerization project and also produced a variety of spatial data through the 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project.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needed to set up the new automatic methodology that effectively solve cadastral non-coincidence problems by using various digital map data instead of expensive field survey methods. This study proposed a new automatic methodology for cadastral non-coincidence surveying and developed a prototype system as a proof of concept. Validation of this proposed method was done with some test areas. Results showed that this methodology could easily detect and assess both regional non-coincidence levels and cadastral map quadrangle non-coincidence levels. We expect that this new methodology can provide many benefits in planning and determining work priority of the forthcoming nationwide cadastral re-surveying project.

우리나라는 지적도면 전산화 사업의 일환으로 전국적인 지적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완료하였고, NGIS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사업으로 다량의 공간 데이터들을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사회적 여건을 고려할 경우,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지적불부합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지 측량 방식에 기반하여 지적불부합지를 조사하기보다는 기 구축되어 있는 각종 전산화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여 광역적으로 지적불부합지를 조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지적도 전산화 데이터와 기 구축되어 있는 GIS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역적으로 지적불부합지를 조사할 수 있는 자동화 방법론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제 실험지역에 적용하여 본 결과 지역별 불부합 정도의 측정과 함께 도곽별로 불부합 정도의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자동화된 방법에 의한 지적불부합지 조사는 향후의 지적재조사 사업의 기획과 우선순위 등 여러 측면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묵, 조성호, 김성진 (2002), 지적도와 임야도접합을 위한 좌표 변환방법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0권 제4호, pp. 405-413
  2. 강준묵, 윤희천, 엄대용, 강영미 (2003), 수치지도와 지적도간의 정합정확도 확보방안, 한국GIS학회지, 제11권, 제4호, pp.391-407
  3. 강태석, 권규태 (2003), 지적불부합지의 정리를 위한 실험측량 분석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1권, 제3호, pp. 269-275
  4. 강태석, 박기헌 (2001), 수치정사사진을 이용한 지적도 도곽접합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제17권 제1호, pp. 63-79
  5. 국토연구원 (1996), 공간계획을 위한 공통주제도 수치지도화 방안연구
  6. 대한지적공사 (2002), 지적불부합지 현황 및 해결방안 연구
  7. 박수홍, 구자용 (1999), 수치지도 도로사장의 위치 정확도 측정방법, 한국 GIS 학회지, 제7권, 제1호, pp. 119-131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7), 서울시 지적 및 도시계획데이터의 GIS 활용 방안
  9. 오창수 (2002), GSIS에 의한 지적불부합지의 해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지형공간정보, 제10권, 제1호, pp. 77-80
  10. 유복모, 김갑진 (2000), 지형 및 지적자료의 통합체계 구축, 한국측랑학회지, 제18권, 제2호, pp. 143-155
  11. 이성화 (2001), 지적불부합지가 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과 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부동산학연구, 제7집, 2호, pp. 53-72
  12. 채경석 (2003), GIS의 지적도 활용증대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제19권, 제2호, pp. 59-70
  13. 채경석, 김용준 (2004), 지적측량성과의 수치지형도 활용방안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제20권 제1호, pp. 139-147
  14. 행정자치부a (2003), 지적불부합지 정리를 위한 학술연구, 한국지적학회
  15. 행정자치부b (2003), 항공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한 지적불부합지 정리방안 연구
  16. Aspinall., R. J. and Pearson, D. M. (1995), Describing and Managing Uncertainty of Categorial Maps in GIS. In Innovations in GIS 2, edited by P. Fisher (London:Taylor & Francis), pp. 71-84
  17. Blackmore, M. (1984), Generalization and Error in Spatial Database, Cartographica, Vol. 21, pp. 131-139 https://doi.org/10.3138/1005-13MG-2627-2552
  18. Goodchild, M. F. and G. J. Hunter (1997), A Simple Positional Accuracy Measure for Linear Fea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11, No.3, pp. 299-306 https://doi.org/10.1080/136588197242419
  19. Perkal, J (1966), On the Length of Empirical Curves. Discussion Paper, No. 10 (Ann arbor: Michigan Inter-University Community of Mathematical Geographers)
  20. Soo-Hong Park, Hyun-Suk Kim (2001), Measuring the Positional Accuracy of Linear Feature in 1 :5,000 Digital Topographic Maps,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In Korea), Vol. 9, No.4, pp. 617-628
  21. Tveite, H. and S. Langaas (1999), An Accuracy Assessment Method for Geographical Line Data Sets Based on Buff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13, No. 1, pp. 2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