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ble Pulling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5초

인버터 구동 고압 유도전동기의 케이블 포설시 스위칭 써지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Switching Surge characteristic of Cable Pulling of High-Voltage Induction Motor Fed by Inverter)

  • 권영목;김재철;송승엽;신중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63-65
    • /
    • 2004
  • The recent advancement in the power electronic technique has increased the use of induction motor fed by inverter using high-frequency switching devices. Also the tendency is toward larger size and higher voltage. Therefore, The IGBT (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 that is high switching frequency element has been using increase. But, The switching surge voltage was occurred by high switching frequency of inverter has appeared a voltage doubling in the motor input terminal due to mismatching of cable characteristic impedance and motor characteristic impedance. Actually, The Switching surge voltage became the major cause to occur the insulation failure by serious voltage stress in the stator winding of induction motor. The short during rise time of switching surge and cable length is increased, the maximum transient voltage seen at the motor terminals increases. In this paper, Analyzed switching surge transient voltage of power cable pulling is used EMTP(Electromagnetic Transient Program) at the induction motor terminal and in cable.

  • PDF

광간섭계의 위상변화 신호를 이용한 광케이블 식별방법에 관한 연구 (A Research about the method for the optical cable identification by using phase change signal of the optical interferometer)

  • 정현호;이용기;민경선;정호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105-106
    • /
    • 2006
  •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exact target optical cable that a worker look for when he executes a cable construction work. Until now, An Optical cable identification work has been done by a manual pulling of an optical cable or by the method of using RF signals. But these methods not only consume much time and labor costs but also have a distance limit of the optical cable to identif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uses the phase change signal of the optical interferometer to identify an optical cable. With the proposed method the field worker can have an efficient tool to prevent miscutting the optical cable and can also save operating costs.

  • PDF

154KV개봉. 오류 지중송전선로 준공보고

  • 김성곤;정수근
    • 전기의세계
    • /
    • 제29권11호
    • /
    • pp.693-698
    • /
    • 1980
  • We T.E.C. have commenced to develop the O.F. cable in April, 1977. Now we have finished the Type-Test and produced in full-operation of 154KV 1x600mm$^{2}$ and 154KV 1x1200mm$^{2}$ O.F. cables. Especially we have completed pulling and splicing of the 24.82kms O.F. cable in KaeBong-OuRyu Route, and now it is operating well. This has important meaning that Extra High Voltage Under Ground Transmission Line has constructed by domastic engineer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ank to arrange and publish it, and hope it can be helpful to the related.

  • PDF

윈치를 활용한 케이블 포설을 중심으로 고찰한 XR 기반 훈련 콘텐츠 도입의 필요성 (Necessity to incorporate XR-based Training Contents Focused on Cable pulling using Winches in the Shipbuilding)

  • 이종민;김종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53-62
    • /
    • 2023
  • 본 논문은 국내 조선산업의 요양 재해 현황에 나타난 미숙련 기술인력들의 높은 재해 발생률을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XR(Extend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훈련 콘텐츠 도입의 필요성을 윈치를 활용한 케이블 포설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국내 조선산업의 요양재해율은 타 제조업에 비해 평균 97.4%(2017~2020)나 높았으며, 특히 조선산업요양 재해의 31.8% 이상이 근속 기간 6개월 미만의 근로자들에게 발생하여 이는 신규입사자들이 업무에 대한 정보 부족과 미숙련도 및 작업환경에 익숙하지 못한 것이 그 원인으로 보인다. 최근 조선산업은 경기 회복으로 많은 신규인력이 유입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재해 발생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런 점은 단기간에 신규인력들을 작업환경에 익숙해지는 데 도움이 되는 훈련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국내 조선소의 교육훈련은 용접, 도장, 기계설치, 전기설치 등 특정 기술의 숙련에 치우쳐 있으며 작업환경에 익숙해질 수 있는 훈련은 작업용 2D 도면을 이용하여 선박 건조방법 등을 설명하는 단편적인 교육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장에서는 다시 OJT(On-the-Job Traning)를 반복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XR 기술을 활용한 훈련의 도입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예로 Unity로 선박에서 윈치를 활용한 케이블 포설(Pulling) 작업 과정을 XR 기반 훈련 콘텐츠로 구현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를 활용하면 신규작업자들이 가상공간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작업 과정을 미리 경험하고, 이를 통해 신규인력이 작업환경에 익숙해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훈련 콘텐츠가 될 수 있음을 예증하였다.

케이블 포설장력을 고려한 경제적 맨홀 경간 연구 (A study of Economical manhole span considering cable pulling tension)

  • 이후영;선상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416-417
    • /
    • 2008
  • 맨홀 설치간격과 설치장소선정은 케이블 포설장력과 관계가 깊다. 케이블 포설장력은 맨홀의 설치위치와 경간에 의해 이미 정해지기 때문이다. 맨홀경간이 길어지면 설치개소가 적어져 공사비가 절감이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점이 있지만 반대로 케이블에는 포설장력이 반비례하게 증가하게 된다. 케이블의 수명을 오래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에 적당한 장력이 걸리게 해야 하고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경간을 증가시켜야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설계자는 이에 경제적이고도 안정적인 지중배전선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케이블 포설장력을 계산하여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본고에서는 유형별로 케이블 포설장력을 계산하는 방법을 기술하였고 포설장력 산출결과에 따라 경제적인 맨홀설치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지중송전 장조장 케이블 운반 및 포설공법개발 (A method of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power cable transport & pulling Installation For long distance span)

  • 오장만;배주호;방항권;민병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663-664
    • /
    • 2007
  • 지중송전선로 건설공사에 154kV 장조장 케이블 드럼개발 및 트레일러 일체형 Under Roller 방식을 이용한 포설장비를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신기술 신개발 공법 적용으로 인한 국제경쟁력 향상 뿐만 아니라 접속경간의 장조장 설계로 케이블 접속개소 감소로 인한 공사비절감과 공사기간 단축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와 동시에 공사를 위한 도로점용 단축으로 민원발생을 크게 감소시켰다. 현행 도로법 규제로 케이블의 운반중량이 제한되었던 케이블 표준 경간을 450m에서 최대 700m까지 가능하여 접속개소의 유연성이 확보되었을 뿐만 아니라 토목구조물(전력구,관로등)공사의 다양한 설계방법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비선형 FEM 해석을 이용한 기존 강재 주탑기부 설계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teel Pylon Base Design Using Nonlinear FEM Analysis)

  • 정수형;박성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9-3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강주탑 기부와 기초콘크리트 연결 구조에 대해서 국내에서 특수교량의 강주탑 기부 설계에 보편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명석해협대교(明石海峽大橋) 시방기준과 비선형 FEM 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명석해협대교(明石海峽大橋) 시방기준은 1970년도에 만들어진 일본 기준으로 주탑 기부와 PS 강봉 및 기초콘크리트를 스프링으로 선형 모델링하여 설계하는 방법으로서 4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간편성을 이유로 이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비선형 FEM 해석결과의 비교를 통해 특수 장대교의 강주탑 기부의 해석 및 설계에 이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풍하중, 지진하중에 주요하게 저항하면서도 다양한 부재들로 복잡하게 연결된 강주탑 기부에 대해서는 한계상태설계법으로 발전하려는 현 시대에 맞추어 실제 거동을 반영하는 비선형 FEM해석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Development of umbrella anchor approach in terms of the requirements of field application

  • Evirgen, Burak;Tuncan, Ahmet;Tuncan, Mustaf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8권3호
    • /
    • pp.277-289
    • /
    • 2019
  • In this study, an innovative anchoring approach has been developed dealing with all relevant aspects in consideration of previous works. An ultimate pulling force calculation of anchor is presented from a geotechnical point of view. The proposed umbrella anchor focuses not only on the friction resistance capacity, but also on the axial capacity of the composite end structure and the friction capacity occurring around the wedge. Even th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proposed, in-situ application requires high-level mechanical design. Hence, the required parts have been carefully improved and are composed of anchor body, anchor cap, connection brackets, cutter vanes, open-close ring, support elements and grouting system. Besides, stretcher element made of aramid fabric, interior grouting system, guide tube and cable-locking apparatus are the unique parts of this design. The production and placement steps of real sized anchors are explained in detail. Experimental results of 52 pullout tests on the weak dry soils and 12 in-situ tests inside natural soil indicate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conservative and its peak pullout value is directly limited by a maximum strength of anchored soil layer if other failure possibilities are eliminated. Umbrella anchor i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anchor applications used in all types of soils. It not only provides time and workmanship benefits, but also a high level of economic gain and safe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