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bbage powder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2초

비열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채소와 향신료의 미생물 저감화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Vegetables and Spices Using Cold Plasma Treatments)

  • 김정은;김인하;민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35-741
    • /
    • 2013
  • 본 연구에 사용된 비열 플라즈마 처리는 양배추와 상추에 접종된 S. Typhimurium, 후춧가루에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 그리고 고춧가루에 접종된 B. cereus 영양 세포를 효과적으로 저해시켰으나, 고춧가루에 존재하는 호기성균과 B. cereus 포자는 효과적으로 저해시키지 못했다. 양배추에 접종된 S. Typhimurium를 가장 많이 저해시키는 최적 조건은 746 W, 6.8분으로 예측되었고, 이 때 저해 정도는 1.9 log $CFU/cm^2$로 예측되었다. Fermi 모델과 Weibull 모델이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양배추에 접종된 S. Typhimurium 저해를 설명하는데 매우 적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열 플라즈마 처리를 채소류와 분말 식품의 미생물 안전성을 증진시키는 살균 처리 기술로 발전시키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질비료와 토양미생물제제 및 해초추출물 시용이 배추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Microorganism and Swaweed extract Application on Growth of Chinese Cabbage)

  • 조성현;박태헌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4호
    • /
    • pp.81-85
    • /
    • 2002
  • 유박을 원료로 한 유기질비료, 미생물제제 및 해초추출물의 시용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엇갈이배추를 공시작물로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하면서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유기질비료 처리구에 미생물제제를 혼용한 처리구에서 수량이 가장 좋았으며, 과량 처리구에서도 비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해초추출물의 엽면시비와 관주에 의한 수량증대는 관주처리구가 다소 높았으며, 또한 미생물제제의 경우 액상보다 분말처리구에서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즉, 미생물제제의 형태에 있어서는 분말이 해초추출물의 시용방법에 있어서는 관주에 의해 생육이 안정되었으며, 수량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유기질비료의 2배 과량처리구에서 비해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미생물제제와 해초추출물의 시용으로 생육 및 수량이 향상되었다.

  • PDF

조리서와 신문, 잡지기사에 나타난 1930-2010년대 배추김치 연대별 고추 사용량 변화에 대한 고찰 (A Literature Study on the Amount of Red Pepper in Cabbage Kimchi between the Decades from 1920 to 2010 in Cookbooks, Newspapers and Magazines)

  • 서모란;정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6-586
    • /
    • 2015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sumption and amount of red pepper used in Baechu Kimchi (cabbage Kimchi) especially the amounts used in Kimchi recipes with respect to the passage of time from the 1930s to the 2010s. In this analysis, 78 recipes for cabbage Kimchi were taken from books, daily newspapers and magazines from 1930 to 2014 and collected for comparis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sumption and inclusion of dried red pepper powder in cabbage Kimchi increased. The average consumption of red pepper in the 1930s was 5.75 g, and the number went up to 8.83 g in the 1940s, to 13.8 g in the 1950s, and to 20.25 g in the 1960s. The amount dramatically increased from 1970 to 1980 (53.37 g) and kept rising until 2010 (71.26 g). The average consumption of red pepper in cabbage Kimchi in the 2010s is about 12 times that of the 1930s.

구소련(독립국가연합) 거주 한인들의 김치 이용 실태에 관한 조사(III) -김치재료- (A Research on Kimchi Culture for Koreans in CIS(III) -Materials of Kimchi-)

  • 김영숙;이경임;신애숙;김영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6-74
    • /
    • 1998
  • To investigate the materials in the preparation of kimchi for Koreans i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CIS) a survey was completed by 199 Koreans living in Moscow, Sahalin, Uzbekistan and Jazahstan, In the way to purvey the materials of Kimchi, the frequency to get all the materials of Kimchi in the markets is 74.7% on the whole and by regional groups the frequency is relatively high in Moscow and Kazahstan, For the main ingredients most respondents use Chinese cabbage, cabbage, or turnips. In general Chinese cabbage is used most, But the respondents who live in Moxcow and Kazahstan. For the main ingredients most respondents use Chinese cabbage, cabbage, or turnips. In general Chinese cabbage is used most, But the respondents who live in Moscow and Kazahstan. 쫴 are younger, or belong to higher emigrant generation, prefer cabbage kimchi. For the additional vegetables many respondents use carrots. For the seasonings, garlic, red pepper powder, and salt are added to Kimchi, but the use of ginger, whole seasame seed, and waxy rice paste is relatively low. The coriander, which is not added to kimchi in Korea, is used in Kimchi By above 80% of the respondents living in the three regions except Sahalin. It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effect of the western dining cultural area. For the animal materials, 74.4% of the respondents add lightly salted fish to Kimchi and all toe respondents in Sahalin add salt-fermented sea food, the kind of which is mainly salt-fermented croaker. The reasons given for not adding salt-fermented seafood to Kimchi in the three regions except Sahalin, 59.9% of the respondents said it was because of the difficulty to purvey, 21.1% because of the fishy taste, and 16.8% because of not considering the addition of self-fermented sea food in Kimchi. The higher the emigrant generation of respondents, the less seasonings of strong flavor like garlic, red pepper powder, and salt-fermented sea food are used, and the more coriander is used. In the salting of Kimchi preparation, 97.8% of the respondents salt the main vegetables by soaking in brine and its concentration is controlled by experience.

  • PDF

배추 부산물의 식이섬유를 첨가한 글루텐프리 튀김 프리믹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Frying Pre-mix with Insoluble Dietary Fiber Powder from Chinese Cabbage By-product)

  • 해설여;박지현;허예나;김민주;배귀석;장문백;문보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5-16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frying pre-mix with insoluble dietary fiber powder (IDFP) from Chinese cabbage by-product. Methods: Frying powder mix was prepared with 0.5, 1.0, 1.5 or 2.0% IDFP. Fried powder mix only whit brown rice powder was used as a control. Spreadability, pick-up ratio and color of batter, texture, moisture and oil contents, oil absorption and sensory evaluation of fried sweet potato were determined. Results: L and a-values of batter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IDFP, whereas b-value increased with IDFP addition. Hardness and crispiness of fried sweet potato increased with IDFP addition until 1.5%. Moisture content of fried sweet potato increased with higher IDFP addition whereas oil content and oil absorp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IDFP. Sensory evaluation of fried sweet potato showed the best results in the 0.5% of IDFP addition group. Conclusion: Overall preference of IDFP samp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Based on the study, the optimal amount of IDFP for gluten-free fried powder mix was determined to be 0.5-1.5%.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Yeast-Fermented Cabbage

  • Ahhyeon Chun;So Jeong Paik;Jongbeom Park;Ryeongeun Kim;Sujeong Park;Sung Keun Jung;Soo Rin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0호
    • /
    • pp.1329-1336
    • /
    • 2023
  • Microbial fermentation is often used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plant-based food materials. Herein,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cabbage during yeast fermentation to develop new products using fermented cabbage. Among the 8 types of food-grade yeast, both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Saccharomyces boulardii fermented 10% cabbage powder solution (w/w) the most effectively, leaving no soluble sugars after 12 h of fermentation. In addition, the yeast fermentation of cabbage resulted in functionally positive outcomes in terms of sulforaphane content, antioxidant propertie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Specifically, the yeast-fermented cabbages contained about 500% more sulforaphane. The soluble fraction (5 ㎍/ml) of yeast-fermented cabbage had no cytotoxicity in murine RAW 264.7 cells, and the radical-scavenging capacity was equivalent to 1 ㎍/ml of ascorbic acid. Moreover, cabbage fermented with S. boulardii significantly suppressed both lipopolysaccharides (LPS)-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and LPS-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suggesting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effect. Thes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yeast fermentation is promising for developing functionally improved cabbage products.

Development of Cabbage Juice Medium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Starter

  • Jeong, Eun Ji;Moon, Dae Won;Oh, Joon Suk;Moon, Jin Seok;Seong, Hyunbin;Kim, Kwang Yup;Han, Nam 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2호
    • /
    • pp.2112-2118
    • /
    • 2017
  • Leuconostoc mesenteroides is used as a starter to produce high-quality kimchi products. In this study, an efficient and economical cabbage juice medium (CJM) was developed by process optimization of cabbage extraction and pasteurization and by compositional supplementation of various lacking nutrients. The pasteurized cabbage juice was determined to be a good medium candidate to cultivate L. mesenteroides, showing maximal cell numbers ($9.85{\times}10^8CFU/ml$) after 24 h. Addition of sucrose and yeast extract with soy peptone resulted in increment of bacterial cell counts in CJM, showing the supplementing effect of the lacking nutrients. Furthermore, addition of shell powder gave a protective effect on bacterial cells by preventing pH decline and organic acid accumulation in CJM, resulting in a 2-fold increase of bacterial counts. The optimized composition of CJM was 70% cabbage juice diluted with water, 0.5% (w/v) sucrose, 1% (w/v) yeast extract, 1% (w/v) soy peptone, and 1.5% (w/v) ark shell powder. The CJ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ble to yield a comparable level of bacterial counts with MRS medium and reduced the cost by almost 10-fold.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분말과 유기질비료 혼합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주요 엽채류 생육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 Mixture of Dried Food Waste Powder with Organic Fertilizer and Effects on the Growth of Major Leafy Vegetable)

  • 김영선;김도형;이긍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4호
    • /
    • pp.5-13
    • /
    • 2019
  • 본 연구는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분말(FWP)이 처리된 작물의 생육 효과와 FWP와 유기질비료(OF) 혼합물(MFOs)의 이화학적 특성 및 작물생육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3.11%의 NaCl을 함유하는 FWP를 250, 500 및 1,000 kg/10a 씩 상추와 배추에 처리하였을 때, 작물의 엽수, 엽장, 엽폭, 생물중 및 건물중 등과 같은 작물의 생육지수는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MFOs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서 FWP의 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MFOs의 질소 및 인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염분함량은 증가하였다. 상추와 배추에 MFOs와 OF를 각각 처리한 후 작물의 건물중으로 생육을 평가할 때, 상추에서는 FWP 10~30% 범위에서, 배추는 FWP 10% 범위에서 유기질비료처리구(대조구)와 유사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배추김치의 표준화 연구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 조은주;이선미;이숙희;박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4-332
    • /
    • 1998
  • 배추김치의 표준화를 위하여 조리서 및 관련 연구 논문과 김치공장에서의 담금방법과 재료배합비의 표준값을 구하여 표준화김치로 선정하고 뚜렷한 차이가 있었던 고춧가루의 첨가농도는 관능검사 및 이화학적 실험과 항돌연변이 효과와 in vitro 항암 기능성을 검토하여 결정하였다. 배추김치 담금시 사용빈도가 50% 이상인 부재료는 무, 파였으며, 양념류로는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 설탕으로 나타났다. 또 재료배합비는 절인배추 100에 대해 무 $13.0{\pm}7.0$, 파 $2.0{\pm}0.5$, 마늘 $1.4{\pm}0.4$, 생강 $0.6{\pm}0.3$, 멸치액젓 $2.2{\pm}1.6$, 설탕 $1.0{\pm}0.3$, 최종염도 $2.7{\pm}0.3$로 결정되었으며,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차이를 보여 $2.5{\pm}0.3$$3.5{\pm}0.8$로 나타났다. $15^{\circ}C$에서 0, 2, 4, 6, 8, 10일간 김치를 발효시키면서 관능검사및 이화학적 실험을 실시한 결과 발효 기간은 4일이 가장 적당히 익은 상태였다.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3.5%인 경우가 2.5%인 경우에 비해 관능적으로 우수하였고, pH가 서서히 감소되어 보존성도 있었으며, 김치의 맛에 관여하는 젖산균인 Leuconostoc속 젖산균수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선정된 표준화 배추 김치 즙액은 $AFB_1$에 대한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고, SRB assay에서는 AGS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는데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3.5%인 경우가 2.5%인 경우에 비해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더 뛰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표준화 배추김치의 재료 및 배합비는 배추 100에 대해 고춧가루 3.5, 무 13.0, 파 2.0, 마늘 1.4, 생강 0.6, 멸치 액젓 2.2, 설탕 1.0, 최종염도 2.7로 결정되었다. 배추김치의 담금방법은 배추를 10% 소금물에서 10시간 절이고, 물기를 뺀 후, 무, 파는 채 썰어 고춧가루 갠 것을 넣은 다음, 멸치액젓을 넣고, 마늘, 생강, 설탕을 섞은 후 고루 버무린다.

  • PDF

달걀껍질이 배추의 생육과 무사마귀병 발병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ggshell Powder on Clubroot Disease Control and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 김병관;임태헌;김윤희;박석환;이상화;차병진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93-200
    • /
    • 2008
  • 달걀껍질을 1:5, 1:10, 1:15, 1:20, 1:25의 비율로 토양에 혼화처리 하였을 때 배추를 비롯한 몇 가지 작물의 종자 발아율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달걀껍질 혼화수용액의 pH는 증가하였으며, 수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록 Plasmodiophora brassicae의 휴면포자 활성율은 감소하였는데, 달걀껍질 혼화수용액에서의 불활성화율이 같은 pH의 수용액에서의 불활성화율보다 5배 이상 높았다. '노랑 봄배추'는 달걀껍질을 토양에 혼화하였을 때 무처리에 비하여 생육이 증가한 반면, 다른 작물들의 생육은 달걀껍질 처리구에서 무처리보다 저조하였다. '노랑봄배추'는 달걀껍질을 $1:20{\sim}1:15$로 토양에 혼화하였을 때 엽수는 무처리의 약 150%, 지상부 생체중은 무처리의 약 470% 증가율을 보였다. 토양에 혼화한 달걀껍질 입자의 크기는 $0.8{\sim}2.0mm$일 때 배추 생장에, 그리고 0.4 mm 이하일 때 병 억제율에 가장 좋은 영향을 미쳤으나, 입자의 크기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토양의 pH는 모든 달걀껍질 처리구에서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혼화비율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무사마귀병 방제가는 달걀껍질 1:20 처리구에서 58.5%로 공시살균제인 혹안나 처리구의 78.5% 보다는 낮았으나 배추의 지상부 생육에 있어서는 모든 달걀껍질 처리구에서 무처리나 대조약제 처리구 보다 높았다. 따라서 달걀껍질의 토양혼화는 배추 무사마귀병을 완전히 방제하지는 못하지만 배추의 생육을 촉진하여 감염포장에서도 배추 수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