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O

검색결과 4,914건 처리시간 0.045초

$Cr_2$$O_3$가 첨가된 $CaMnO_3$-$CaTiO_3$계 페로브스카이트 써미스터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lies of $Cr_2$$O_3$ Added $CaMnO_3$-$CaTiO_3$ Perovskite Thermistor)

  • 양기호;윤상옥;윤종훈;장성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9-402
    • /
    • 2000
  • For improvement of B constant in $CaMnO_3$-$CaTiO_3$ perovskite type thermistors, effect of $Cr_2$$O_3$ addition ranged from 0.0wt% to 5.0wt% on 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with contents and sintering temperatures in the view of crystal and microstructures. The solubility limit of Cr$_2$O$_3$was up to 0.5wt% judging from the result of lattice parameter. The grain size was decreased and the resistance at room temperature and B constant wer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Cr_2$$O_3$.On particular, B constant of$CaMnO_{3-x}$$Cr_2$$O_3$ system was increased greatly from 1574k to 2598k at 0.5wt% $Cr_2$$O_3$addition. Further addition of $Cr_2$$O_3$, however, resulted in the decrease of the resistance and B constant due to the $Cr_2$$O_3$ precipitation on the grain boundary. As the$CaTiO_3$contents increased in the $CaMnO_3$-$CaTiO_3$ system, the resistance at room temperature and B constant were highly changed.

  • PDF

CaO-Al$_2$O$_3$-SiO$_2$계 슬래그와 스피넬의 반응에 미치는 스피넬중의 MgO함유량의 영향 (Effects of MgO content of Spinel on the Reaction of Spinel with CaO-Al$_2$O$_3$-SiO$_2$ Slag)

  • 조문규;홍기곤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10-416
    • /
    • 1999
  • The reactivity of three kinds of spinels which CaO-Al2O3-SiO2 slag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mineral phases and microstructures. New crystal products were not formed by reaction of 12CaO.7Al2O3 in the slag with spinels and free MgO components was preferenctially dissolved into slag for MgO-rich spinel and stoichiometric spinel. Meanwhile mineral phase was changed from 12CaO.7Al2O3 to CaO.Al2O3 to CaO.2Al2O3 finally to CaO.6Al2O3 having high melting point for Al2O3 -rich spinel. The Fe-oxide component of the slag was taken up by only stoichiometric spinel grains within the spinel clinker and the trapped amount of Fe-oxide was independent of MgO content of MgO in spinel clinker the more th resistance to slag corrosion but the less resistance to slag penetration.

  • PDF

금속급(金屬級) 실리콘에서 슬래그 처리(處理)에 의한 붕소(硼素)의 제거(除去) (Removal of Boron from Metallurgical Grade Silicon by Slag Treatment)

  • 사공성대;손호상;최병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3호
    • /
    • pp.55-61
    • /
    • 2011
  • 금속급 실리콘(MG-Si)을 태양전지용 실리콘(SOG-Si)으로 정제하기 위한 경제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1823 K에서 CaO-$SiO_2$ 계 슬래그에 의한 붕소의 제거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CaO-$SiO_2$$CaCO_3-SiO_2$ 슬래그의 염기도(%CaO/$%SiO_2$) 증가에 따라 B의 제거율은 각각 63%와 73%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Ar 가스에 의한 슬래그와 실리콘의 교반 시간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CaO-$SiO_2$ 계 슬래그에 $Na_2CO_3$를 첨가하였으나 그 영향은 크지 않았다. $CaCO_3-SiO_2$ 슬래그(염기도=1.2)에 의해 3회 처리한 결과 B의 농도는 1.03 ppm까지 감소하였다.

네오비움 페롭스카이트($Ca_2NbFe^{3+}O_6$)의 화학조성 및 리트벨트 구조분석 연구 (Chemistry and Rietveld Structure Refinement of Nb-rich Perovskite, $Ca_2NbFe^{3+}O_6$)

  • 최진범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68
    • /
    • 2002
  • 캐나다 퀘벡 주 오카지역에서 산출되는 네오비움 페롭스카이트(일명 라트라파이트, $Ca_2NbFe^{3+}O_6$)에 대하여 화학분석과 분말 X선 회절 데이터를 이용한 리트벨트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라트라파이트는 $CaTiO_3-NaNbO_3-Ca_2NbFe^{3+}O_6$의 연속계열 고용체의 성분을 가지며, 화학분석 결과 평균$(Ca_{1.5}Na_{0.4})\;(Nb_{0.1}Ti_{0.6}Fe_{0.4})O_6$ 리트벨트 구조분석 결과 라트라파이트의 구조는 페롭스카이트($CaTiO_3$)의 결정구조와 유사하지만, Ti 이온이 Nb와 $Fe^{3+}$에 의해 치환되면서 상당히 뒤틀리고, $TiO_6$ 팔면체가 페롭스카이트에 비해 서로 기울어져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새롭게 결정된 라트라파이트의 공간군은 Pbnm, 단위포는 a=5.4474(4), b=5.5264(4), c=7.7519(5) ${\AA},\;V=233.4(3){\AA}^3$이다.

Fe_2O_3-CaO-SiO_2$계 결정화 유리의 제조 및 특성(I)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Glass-Ceramics in the System Fe_2O_3-CaO-SiO_2$ (I))

  • 이용근;최세영;김경남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29-636
    • /
    • 1994
  • The ferrimagnetic glass-ceramics in the system Fe2O3-CaO-SiO2 for hyperthermia were investigated. Glasses could be prepared up to the content of 40 wt% of Fe2O3 and below the weight ratio of 1.0 of CaO/SiO2. The maximum saturation magnetization and the maximum coercive force were 29.85 emu/g and 340.1 Oe respectively, for a glass 40Fe2O3.20CaO.40SiO2 composition heat-treated at 95$0^{\circ}C$ for 8 hours. And for a glass 40Fe2O3.30CaO.30SiO2 composition the maximum saturation magnetization and the maximum coercive force were 18.47 emu/g and 374.4 Oe heat-treated at 1,00$0^{\circ}C$ and 90$0^{\circ}C$ for 8 hours respectively. The maximum hysteresis loss was 1,726.3 cal/g for a glass 40Fe2O3.20CaO.40SiO2 composition heat-treated at 95$0^{\circ}C$ for 8 hours. It was found that the ferrimagnetic Fe2O3.CaO.SiO2 glass-ceramics was little injurious to human body as results of biocompatibility test and biotoxicity test.

  • PDF

CaO를 첨가한 2.5Y-TZP 세라믹스의 저온열화 거동 (Low Temperature Degradation Behavior for CaO Doped 2.5Y-TZP Ceramics)

  • 박정현;이한주;문성환;박한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41-346
    • /
    • 1992
  • The effects of CaO addition on the low temperature degradation behavior of 2.5Y-TZP ceramics were investigated. Y2O3-CaO-ZrO2 ceramics were prepared from the commercial Y-TZP powder added within 1 mol% of CaO. Fully tetragonal phase could be obtained at each composition under sintering condition of 1500$^{\circ}C$ for 1 hour. As the amount of CaO increased, grain size was decreased. From the result of heat treatment at 200$^{\circ}C$, volume fraction of monoclinic phase formed on the surface of each specimen was decreased with higher CaO amount. Stability of tetragonal ZrO2 phase for low temperature heat treatment was increased by CaO addition without the degrad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 PDF

$CaMoO_4$ 결정 형태의 전개 (Morphology evolution of $CaMoO_4$ crystals)

  • 최은지;허영덕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84-190
    • /
    • 2008
  • 단순 침전법으로 타원, 땅콩, 아령, 바디가 있는 구형 모양의 $CaMoO_4$ 결정을 합성하였다. $Ca^{2+}$ 이온과 $MoO_4^{2-}$ 이온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CaMoO_4$의 형태는 차원형에서 땅콩 모양과 아령 모양을 거쳐서 마디가 있는 구형 모양으로 전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CaMoO_4$ 결정의 형태의 전개는 프랙탈 메커니즘에 기인한다. 타원형의 양 끝 부분에서부터 가지를 치면서 결정 성장이 시작된다. 1차와 2차 프랙탈 성장에 의해서 땅콩 모양과 아령 모양이 각각 형성되었다. 아령 모양에서 더 프랙탈 성장을 하여 최종적으로 마디가 있는 구형이 형성되었다.

Zinc-borosilicate Glass Frit 첨가에 따른 $0.7Ca(Li_{1/4}Nb_{3/4})O_3-0.3CaTiO_3$ 세라믹스의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0.7Ca(Li_{1/4}Nb_{3/4})O_3-0.3CaTiO_3$ Ceramics Added with zinc-borosilicate Glass Frit)

  • 윤상옥;김관수;조태현;오창용;김찬항;심상흥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7
    • /
    • pp.371-374
    • /
    • 2004
  • 저온동시 소성용(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LTCC) 마이크로파 유전체을 만들기 위해 $Ca(Li_{1/4}Nb_{3/4})O_3$ 마이크로파 유전체 세라믹스에 zinc-borosililcate glass를 첨가하여 소결 특성과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Ca(Li_{1/4}Nb_{3/4})O_3$$0.7Ca(Li_{1/4}Nb_{3/4})O_3-0.3CaTiO_3$에 zinc-borosilicate를 $5{\sim}30wt%$ 첨가하여 소결한 결과 $875{\sim}925^{\circ}C$에서 동시 소성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zinc-borosilicate glass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저온에서 소성이 가능하였지만 과량의 액상과 2차상이 형성되면서 유전율과 품질계수가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a(Li_{1/4}Nb_{3/4})O_3$에 5wt%의 zinc-borosilicate를 첨가하여 $900^{\circ}C$에서 소성한 결과 가장 우수한 유전 특성$(\epsilon_r=17.45,\;Q{\times}f_0=5487)$을 나타내었고, 유전율을 높이기 위해 $CaTiO_3$를 0.3mol% 첨가한 $0.7Ca(Li_{1/4}Nb_{3/4})O_3-0.3CaTiO_3$에 10wt%의 zinc-borosilicate를 첨가하여 $925^{\circ}C$에서 소성한 결과 가장 우수한 유전특성$(\epsilon_r=44.92,\;Q{\times}f_0=5567)$을 나타내었다.

  • PDF

CAS계 유리가 첨가된 ceramic/glass 복합체의 소결 및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 (Low Temperature Sintering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Ceramic/glass Composites with CAS-Based glass)

  • 김관수;김명수;김윤한;김경주;김신;윤상옥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1
    • /
    • pp.195-195
    • /
    • 2008
  • CAS계 유리에 $CaCO_3-Al_2O_3$ 혼합물 및 화합물을 10, 30 wt% 첨가하여 저온 소걸 및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을 고찰하였다. CAS계 유리의 연화온도는 $841^{\circ}C$ 이며, CAS계 유리에 $CaCO_3$ 와 30 wt%의 $CaCO_3-Al_2O_3$ 혼합물을 melting되며, 10 wt%의 $CaCO_3$, $Al_2O_3$, $1CaCO_3-1Al_2O_3$ 혼합물 및 $CaAl_2O_4$ 화합물를 10 wt% 첨가하였을 때 $900^{\circ}C$ 이하에서 소걸이 가능하였다. 복합체의 XRD 상 분석 결과, CaCO3를 첨가하였을 때에는 모든 조성이 비정질을 나타내었고, $Al_2O_3$$1CaCO_3-1Al_2O_3$ 혼합물은 $Al_2O_3$ 결정상이 생성되었고, $CaAl_2O_4$ 화합물은 $CaAl_2Si_2O_8$의 hexagonal와 anorthite 결정상이 생성되었다. 따라서 CAS-10 (A, C-A, CA) 복합체는 $900^{\circ}C$에서 각각 유전율 ($\varepsilon_r$) 6.4, 6.9, 5.15 와 품질계수 ($Q^*f$) 2,400, 1,500, 3,000의 마이크로파 유전 특성을 나타내어 LTCC 기판 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CaAl_2O_4$ 화합물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유전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CaO-Gd2O3-Al2O3계에서의 PDP용 Eu3+와 Tb3+ 활성 형광체의 탐색 (Screening of Eu3+-and Tb3+-Activated Phosphors for PDP in the System of CaO-Gd2O3-Al2O3)

  • 박상미;김창해;박희동;장호겸;박준택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36-34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조합화학을 이용하여 $CaO-Gd_2O_3-Al_2O_3$계에서 $Eu^{3+}$$Tb^{3+}$활성 적색 및 녹색 PDP용 형광체를 탐색하였으며 탐색된 형광체의 합성온도, 최적조성,발광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CaO-Gd_2O_3-Al_2O_3$의 삼성분계의 형광특성 라이브러리를 작성하기 위하여 210개의 다른 조성을 가진 시료를 고분자 착체 중합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형광체 분말을 VUV PL로 측정하여 형광 특성 라이브러리를 작성하였고 발광특성이 잘 나타난 시료를 XPD를 이용하여 결정 구조를 확인하였다. 적색 형광체로서 탐색된 $Ca_{\alpha}$G$d_{0.95-\alpha-\beta}$$Al_\beta$$O_\delta$ : Eu(0.02< $\alpha+\beta$ <0.04)형광체는 색순도 면에서 상용형광체보다 개선된 특성을 보였으며 녹색 형광체로서 탐색된 $CaGdAl_3O_7$ : Tb, Ca$Al_{12}$$O_{19}$ : Tb, $Gd_4Al_2$$O_9$ : Tb, $Gd_3Al_5$$O_{12}$ : Tb 형광체 중에서 $CaGdAl_3O_7$ : Tb, Ca$Al_{12}$$O_{19}$ : Tb형광체는 상용 형광체에 비해 잔광시간이 짧은 특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