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O

검색결과 4,914건 처리시간 0.038초

3CaO.$Al_2O_3$의 수화반응에 미치는 글루콘산나트륨읨 영향(I) -흡착거동- (Ettect of Sodium Gluconate on the Hydration of 3CaO.$Al_2O_3$(I)-Adsorption Behavior-)

  • 김창은;이승헌;유종석;최진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8-42
    • /
    • 1986
  • The adsorption behavior of 3CaO.$Al_2O_3$-sodium gluconate-$H_2O$ system by measuring adsorp-tion isotherm DTA and IR sepctra. The adsorbed amount of sodium gluconate on 3CaO.$Al_2O_3$ is exceedingly larger than 3CaO.$SiO_2$ and portland cement. From the DAT experiment the formation of complex is observed by the characteristic exothermic peak of the complex at 45$0^{\circ}C$ It is now strong deduced that the chemical bonding between gluconate anion and 3CaO.$Al_2O_3$ should be coordinative due to the complex formation on the surface 3CaO.$Al_2O_3$ from the IR spectra of sod-ium gluconate only and 3CaO.$Al_2O_3$ -sodium gluconate-$H_2O$.

  • PDF

3CaO.3A12O3.CaSO4.CaSO4.2H2O - Ca(OH)24 - 3CaO.Al2O3계의 수화 특성 (Hydration Properties of 3CaO.3A12O3.CaSO4.CaSO4ㆍ2H2O - Ca(OH)24 - 3CaO.Al2O3 System)

  • 배승훈;송종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859-866
    • /
    • 2003
  •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팽창시멘트는 수화하여 ettringite, monosulfate 등의 수화물을 생성하여 경화체의 수축을 보삼함으로써, 균열 발생을 방지한다. 본 실험에서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팽창시멘트의 수화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화학성법으로 3CaO.$3A1_2$$O_3$.$CaSO_4$($C_4$$A_3$S)을 제조하였으며, $C_4$$A_3$S-Ca(OH)$_2$-CaSO$_4$.2$H_2O$-C$_3$A계의 수화특성을 알아보았다. 화학성법에 의해 $1300^{\circ}C$에서 잘 발달한 $C_4$$A_3$S를 제조할 수 있었고, $C_4$A$_3$S-Ca(OH)$_2$-CaSO$_4$.2$H_{2}O$계의 주요수화 생성물은 ettringite이었으며, $C_4$A$_3$S-Ca(OH)$_2$-CaSO$_4$.$2H_2O$-C$_3$A는 수화초기에 ettringe를 생성하였다가 석고가 소비되면서 monosulfate로 전이하였다.

굴 패각의 소성 조건에 따른 소석회의 특성과 외부용 수성 도료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OH)2 According to the Calcination Conditions of Oyster Shells and Its Application for Exterior Water Paints)

  • 황대주;유영환;한창수;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94-605
    • /
    • 2022
  • 마이크로웨이브 소성로를 이용하여 굴 패각을 소성하여 CaO 제조하였다. 제조된 CaO를 수화 반응시켜서 Ca(OH)2를 분석하였다. 합성한 Ca(OH)2를 주성분으로하여 외부용 수성 도료 배합하였다. 굴 패각(325 mesh, 43 ㎛)은 (a) 950 ℃/1 시간와 (b) 1,150 ℃/1 시간 동안 탈탄산화반응을 시켜 CaO를 제조하였다. (a)의 소성 조건에서는 CaO 56.7 wt%이고 (b)의 소성 조건에서는 CaO 100 wt%였다. 굴 패각의 소성에 의한 CaO를 석회석의 경우와 비교하기 위하여 석회석(25~30 mm)을 950 ℃/1 시간 동안 탈탄산화 반응시켜서 CaO를 제조하였으며, XRD 분석 결과 CaO 100 wt%로 분석 되었다. 굴 패각의 소성 조건인 (b) 1,150 ℃, 1시간으로 CaO를 제조하여 수화 반응을 통하여 Ca(OH)2를 합성하였다. 제조된 CaO의 수화 조건은 (a) CaO : H2O(100 g : 200 g)과 (b) CaO : H2O(100 g : 400 g)로 수화 반응성을 실시하였다. 수화 반응 결과, 저 반응성으로 확인 되었다. 100 wt%의 Ca(OH)2를 합성하였다. 특히 (a)의 수화 조건에서 합성한 Ca(OH)2는 판상형으로 분석되었다. 굴 패각으로 합성한 Ca(OH)2를 주성분으로 외부용 수성 도료를 배합하였다. 외부용 수성 도료 표준 규격(KS M 6010)의 15개 항목에 대하여 분석하였을 때 냉동안정성을 제외한 다른 모든 기준에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전자빔 증착법으로 증착한 MgO-CaO 박막의 교류형 PDP 보호막 적용을 위한 저전압 특성 연구 (Low-voltage characteristics of E-beam evaporated MgO-CaO films as a protective layer for AC PDPs)

  • 조진희;김락환;이경우;김정열;김희재;박종완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0-74
    • /
    • 1999
  • Plasma Display Panel(PDP)에서 보호막 물질로 사용중인 MgO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MgO-CaO 박막을 전자빔 증착법으로 제조하였다. MgO 최대 증착속도는 1025 $\AA$/min이었으며 CaO 첨가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착속도는 감소하였고, XRD 패턴은 전체적으로 낮은 2$\theta$각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MgO 대한 CaO의 최대 고용도는 0.13이다. 최적전압특성을 나타낸 조성은 Mg 47.1 at%, Ca 1.3 at%, O 51.6 at%이었으며 이때 방전개시전압은 176 V, 메모리마진은 0.5였으며 증착속도는 515$\AA$/min이었다.

  • PDF

(Zn1-xCax)2SiO4:Mn 녹색 형광체의 농도 변화에 따른 발광특성 (Luminescent Properties of (Zn1-xCax)2SiO4:Mn,Al Green Phosphors for Various Concentration)

  • 유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23-326
    • /
    • 2010
  • $(Zn_{1-x}Ca_x)_2SiO_4$:Mn phosphors doped with Ca were synthesized by solid state reaction method. $(Zn_{1-x}Ca_x)_2SiO_4$:Mn phosphors showed XRD patterns of Willemite structure. Also, $CaSiO_3$ structure and new peak near 610 nm in $(Zn_{1-x}Ca_x)_2SiO_4$:Mn with increasing value of x were observed from XRD and PL. The new peak near 610 nm in $(Zn_{1-x}Ca_x)_2SiO_4$:Mn with doping Ca was attributed to formation of $CaSiO_3$.

$Al_2O_3-CaO-Cr_2O_3$ 계 내화물의 고온 안정성 (High Temperature Stability for Refractories of the System $Al_2O_3-CaO-Cr_2O_3$)

  • 이홍립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2
    • /
    • 1980
  • CaO was added to the $MgAlCrO_4$ spinel, a main component of the mag-chro refractroies, by 0, 1, 5 and 10 mol% before sintering at 135$0^{\circ}C$ in air. The X-ray diffraction analysis produced an additional X-ray diffraction pattern of 8CaO.$6Al_2O_3$.$2CrO_3$ besides that of $MgAlCrO_4$. The formation of 8CaO.$6Al_2O_3$.$2CrO_3$ was interpreted as due to the presence of CaO.8CaO.$6Al_2O_3$.$2CrO_3$ was unstable and easily vaporized. It was concluded that formation of the unstable pollutant 8CaO.$6Al_2O_3$.$2CrO_3$ could be prevented in reducing atmospheres. It was found that the basic refractories containing $Al_2 O_3 -CaO-Cr_2 O_3$ system would be more stable and much less toxic in reducing at mospheres than in oxidizing stmosphere.

  • PDF

Zinc borosilicate 유리의 CaO 첨가에 따른 항균력 개선 효과 검증 (Effect of CaO on the antibacterial property of zinc borosilicate glasses)

  • 황민성;정재엽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87-19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ZnO-Na2O-B2O3-SiO2 계 유리에 CaO의 첨가에 따른 유리의 열적, 화학적 특성, 표면 제타전위 및 항균특성을 분석하였다. 유리 조성에 따른 열적 특성은 DTA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30ZnO-xCaO-20Na2O-30B2O3-(20-x)SiO2 (x = 0, 2, 4, 6, 8, 10 mol%)계 유리에서 CaO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CaO 함량이 늘어날수록 유리 구조가 약화됨에 따라 더 많은 Zn2+ 이온이 용출되었고, 알칼리 및 알칼리 토류의 초기 급속한 용출로 인해 유리의 표면 제타전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유리의 항균활성 또한 급격하게 개선됨을 확인하였으며, 대장균(gram negative)과 황색포도상구균(gram positive) 모두에 대해 99.9 %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 유리를 개발할 수 있었다.

Bi-Sr-Ca-O계에서 초전도상의 형성에 관한 상평형 (Phase Equilibria for the Formation of Superconducting Phases in the Bi-Sr-Ca-O System)

  • 김철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410-421
    • /
    • 1993
  • Bi-Sr-Ca-O 초전도성계에서 $Bi_2O_3-(Sr_2CaCu_2O_x$)의 pseude binary계를 선택하여 $Sr_2CaCu_2O_x$$Bi_2O_3$를 5%단위로 40 cation mole% Bi까지 첨가하면서 $850^{\circ}C$ 초전도상 및 공존하는 상들의 평형 및 반응 경로들을 XRD, SEM, EDS, DT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Bi의 함량이 35 mole% Bi보다 클 때에는 $Bi_2Sr_2CaCu_2O_8$상과 공존하는 액상이 형성되며 2212상의 액상으로 존재하며 액상의 냉각시 제일 먼저 $Bi_2Sr_2CaCu_2O_8$상 주의에 석출된 것이 관찰되었다.

  • PDF

교류형 PDP 보호막용 MgO-CaO 박막의 광학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MgO-CaO thin films as a Protective Layer for AC PDPS)

  • 조진희;김락환;박종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547-550
    • /
    • 1999
  •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MgO-CaO films as a protective layer for AC plasma display panel were studied. When the [(CaO/(MgO+CaO)] ratio of evaporation starting materials was optimum composition, 0.1, firing voltage and memory margin of the film were 176V and 0.5, respectively. When [CaO/(CaO+MgO)] was 0, 0.1 and 0.2, memory margin was 0.39, 0.5 and 0.41, respectively, and surface roughness of films was $27.7\AA$, $21.1\AA$ and $40.3\AA$, respectively. It was thought that memory margin had a reverse-relation with surface roughness. The density of film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refractive index of film. The density of MgO film was 3.21g/㎤ and the density of film, when [CaO/(CaO+MgO)] was 0.1, was 3.632g/㎤. The mixture of MgO-CaO films showed a good transmittance property in the visual range.

  • PDF

(1-x)$CaMnO_{3}-xCaTiO_{3}$계 세라믹스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1-x)$CaMnO_{3}-xCaTiO_{3}$Ceramic System)

  • 안순영;윤상옥;윤종훈;장성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65-868
    • /
    • 2000
  • It was exam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structures, electrical properties and crystal structure of (1-x)CaMnO$_3$-xCaTiO$_3$solid solution system which was made by mixing a semiconducting material CaMnO$_3$of low resistance and a dielectric material CaTiO$_3$of high resistance with variable ratios (x=0, 0.1, 0.3, 0.5, 0.7, 0.9, 1.0). As the CaTiO$_3$increased, the resistance, B constant and lattice constant were increased, but the grain size was decreased. On particular, above 50wt% of CaTiO$_3$, the resistance at 2 5$^{\circ}C$ was rapidly increased due to the correlation in connectivity of the lattices between the conductive Mn$^{+4}$ octahedron and the insulative Ti$^{+4}$ octahedron.r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