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a3SiO5

검색결과 546건 처리시간 0.029초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 평가 (Assessmen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전효택;안홍일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29-140
    • /
    • 1998
  • 이 연구는 오염원이 산재해 있는 농촌지역으로 아산지역을, 그리고 공업단지와 주거지역이 위치한 공단지역으로 구로구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공단지역과 농촌지역 지하수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오염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지하수의 효율적인 이용과 적절한 관리를 위해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지하수오염과 잠재점오염원의 공간적인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아산지역 지하수는 Ca-HCO$_3$유형의 지하수이며 SiO$_2$와 HCO$_3$함량비가 높은 특징을 보여 물-암석 반응이 지하수 성분을 지배하는 가장 큰 요인임을 보여준다. 구로구지역 지하수는 Ca-HCO$_3$유형의 지하수이며 Cl, NO$_3$및 SO$_4$등 오염물질이 부화되고 SiO$_2$에 비해 Ca 함량비가 더 높게 나타나는 등 다양한 오염원에 의한 영향을 반영하고있다. 아산지역에서는 37.5%(총 40개 중 15개)의 지하수 시료에서 NO$_3$,SO$_4$및 Zn의 함량이 먹는 물 수질 기준을 초과하는 오염현상이 조사되었으며, 대부분이 NO$_3$의 오염이었다. 축산농가 및 공장에 대해 오염영향범위를 조사하기 위해 버퍼링 분석을 실시한 결과 l00 m 거리에 걸쳐 오염의 영향이 미치고 있어 공장 및 축산농가가 지하수 오염의 직접적인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구로구지역에서는 64.7%(총 51개 중 33개)의 지하수 시료에서 NO$_3$, Cl, SO$_4$, Fe 및 Zn의 함량이 음용수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오염현상이 확인되었다. NO$_3$오염은 50 m 이상의 심부지하수에서도 관찰되어 이미 심각한 오염현상이 진행되었음을 보여주었다. Cl 오염은 구로동 지역의 50 m 이하 천부지하수에서 관찰되었으나 구로동의 구로공단지역에서는 먹는 물 수질기준 이하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구로동지역은 70%, 고척동지역은 42%, 궁동지역은 14%의 지하수 시료에서 오염물질이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오염현상이 조사되었다.

  • PDF

인삼(人蔘)의 부위별(部位別) 및 연근별(年根別) 성분함량(成分含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and Chemical components of Ginseng Root's Portion(Panax ginseng C.A.Meyer))

  • 이종화;남기열;최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63-268
    • /
    • 1978
  • 원료삼(原料蔘) 종류(種類)에 따른 각(各) 인삼제제품(人蔘製劑品)의 성분(成分) 함량(含量)과 품질관리(品質管理)에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인삼(人蔘) 부위별(部位別) 및 연근(年根)에 따른 기초성분(基礎成分)과 배당체(配糖體) 성분(成分) 함량(含量) 및 무기성분(無機成分)을 분석(分析) 비교(比較)한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삼(人蔘) 부위별(部位別) 일반성분(一般成分) 비교(比較) 결과(結果) 회분(灰分), 조섬유(粗纖維)는 뇌두(腦頭), 표피(表皮), 세미(細尾)에 많았고 조단백(粗蛋白)과 전당(全糖)은 동체(胴體)(중심부(中心部))와 지근(枝根)에 많았다. 2. 연근별(年根別) 인삼(人蔘)의 일반성분(一般成分)에 있어서 회분(灰分)은 저연근(低年根)인 2,3연근(年根)에 많은 편(便)이고 조섬유(粗纖維), 전당(全糖)은 고연근(高年根)에 많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조지방(粗脂肪), 조단백(粗蛋白)은 연근별(年根別) 뚜렷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3. 인삼부위별(人蔘部位別) alcohol extract 및 saponin 함량(含量)은 표피(表皮), 세미(細尾) 뇌두부위(腦頭部位)가 동체(胴體)(주근부(主根部))와 지근(支根)에 비(比)하여 많았다. 부위별(部位別) 인삼(人蔘) saponin fraction 비교결과(比較結果) 각(各) 부위별(部位別)로 saponin 개개(箇箇) 함유비율(含有比率)이 차이(差異)가 있었는데 동체(胴體)와 지근(支根)은 뇌두(腦頭), 표피(表皮), 세미(細尾)에 비(比)하여Paxacatriol/Panaxadiol의 비율(比率)이 상대적(相對的)으로 높았다. 4. 연근별(年根別) alcohol extract 수율(收率)은 3,4연근(年根)에 saponin 5,6은 연근(年根)에 다소(多少)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5. 추출(抽出) 용매(溶媒)에 따른 extract 수율(收率)은 물 추출구(抽出區)가 높고 alcohol의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alcohol추출(抽出) 농도(濃度)에 따른 extract는 성분함량(成分含量)과 물리성(物理性)도 차이(差異)가 많았다. 6. 무기성분중(無記性分中) T-N, $P_2O_5,\;K_2O$는 저연근(低年根)인 $2{\sim}3$연근(年根)에 $SiO_2,\;CaO$는 고연근(高年根)에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기타(其他) MgO, Fe, Zn, Na등(等)은 연근별(年根別) 뚜렷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 PDF

Banded Iron Formations in Congo: A Review

  • Yarse Brodivier Mavoungou;Anthony Temidayo Bolarinwa;Noel Watha-Ndoudy;Georges Muhindo Kasay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6호
    • /
    • pp.745-764
    • /
    • 2023
  • In the Republic of Congo, Banded iron formations (BIFs) occur in two areas: the Chaillu Massif and the Ivindo Basement Complex, which are segments of the Archean Congo craton outcropping in the northwestern and southwestern parts of the country. They show interesting potential with significant mineral resources reaching 2 Bt and grades up to 60% Fe. BIFs consist mostly of oxide-rich facies (hematite/magnetite), but carbonate-rich facies are also highlighted. They are found across the country within the similar geological sequences composed of amphibolites, gneisses and greenschists. The Post-Archean Australian Shale (PAAS)-normalized patterns of BIFs show enrichment in elements such as SiO2, Fe2O3, CaO, P2O5, Cr, Cu, Zn, Nb, Hf, U and depletion in TiO2, Al2O3, MgO, Na2O, K2O, Sc, Th, Ba, Zr, Rb, Ni, V. REE diagrams show slight light REEs (rare earth elements; LREEs) compared to heavy REEs (HREEs), and positive La and Eu anomalies. The lithological associations, as well as the very high (Eu/Eu*)SN ratios> 1.8 shown by the BIFs, suggest that they are related to Algoma-type BIFs.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Zr and TiO2, Al2O3, Hf suggest that the contamination comes mainly from felsic rocks, while the absence of correlations between MgO and Cr, Ni argues for negligeable contributions from mafic sources. Pr/Pr* vs. Ce/Ce* diagram indicates that the Congolese BIFs were formed in basins with redox heterogeneity, which varies from suboxic to anoxic and from oxic to anoxic conditions. They were formed through hydrothermal vents in the seawater, with relatively low proportions of detrital inputs derived from igneous sources through continental weathering. Some Congolese BIFs show high contents in Cr, Ni and Cu, which suggest that iron (Fe) and silicon (Si) have been leached through hydrothermal processes associated with submarine volcanism. We discussed their tectonic setting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proposed that they were deposited in extensional back-arc basins, which also recorded hydrothermal vent fluids.

영남(소백산)육괴 북동부 평해지역 화강편마암류의 SHRIMP U-Pb 저콘 연대 (SHRIMP V-Pb Zircon Ages of the Granite Gneisses from the Pyeonghae Area of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Sobaeksan Massif))

  • 김남훈;송용선;박계헌;이호선
    • 암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1-47
    • /
    • 2009
  • 영남(소백산)육괴 북동부의 고원생대 변성퇴적암류(평해층과 원남층)를 관입한 평해 화강편마암과 하다 우백질화강편마암에 대해 암석기재적, 지구화학적 및 지구연대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평해 화강편마암은 하다 우백질화강편마암에 비해 대체로 흑운모 등 유색광물의 함량이 약간 높으며, 화학조성에서 $SiO_2$$K_2O$ 함량은 낮고 ${Fe_2}{O_3}^t$, MgO, CaO, $TiO_2$, $P_{2}O_{5}$ 등의 함량은 높다 하다 우백질화강편마암이 음(-)의 Eu 이상치가 다소 크지만 전체적인 희토류원소의 함량과 패턴은 평해 화강편마암과 매우 유사하다. 성분분화도에서 두 암체는 대체로 흑운모와 사장석, 인회석 또는 스핀의 정출에 의한 분화경향을 보인다. 두 화장편마암 모두 과알루미나질의 칼크-알칼리계열로 섭입대와 관련된 대륙화산호 조구조환경을 지시한다. 저어콘 U-Pb SHRIMP 연대측정의 결과를 보면 평해 화강편마암과 하다 우백질화강편마암의 상부교점연대는 각각 $1990{\pm}23\;Ma$ ($2{\sigma}$)와 $1939{\pm}41\;Ma$ ($2{\sigma}$)이고 $^{207}Pb/^{206}Pb$ 가중평균연령은 각각 $1982{\pm}6.3\;Ma$ ($2{\sigma}$)와 $1959{\pm}28\;Ma$ ($2{\sigma}$)로 오차범위에서 서로 겹치는 연대를 보인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의 선캠브리아기 화강암류의 관입시기는 분천화강편마암의 관입과 동시대이며, 태백산지역에서의 화강암질마그마작용은 대부분 이 시기에 대륙화산호 환경에서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Lead-free inorganic metal perovskites beyond photovoltaics: Photon, charged particles and neutron shielding applications

  • Srilakshmi Prabhu;Dhanya Y. Bharadwaj;S.G. Bubbly;S.B. Gudennavar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3호
    • /
    • pp.1061-1070
    • /
    • 2023
  • Over the last few years, lead-free inorganic metal perovskites have gained impressive ground in empowering satellites in space exploration owing to their material stability and performance evolution under extreme space environments. The present work has examined the versatility of eight such perovskites as space radiation shielding materials by computing their photon, charged particles and neutron interaction parameters. Photon interaction parameters were calculated for a wide energy range using PAGEX software. The ranges of heavy charged particles (H, He, C, N, O, Ne, Mg, Si and Fe ions) in these perovskites were estimated using SRIM software in the energy range 1 keV-10 GeV, and that of electrons was computed using ESTAR NIST software in the energy range 0.01 MeV-1 GeV. Further, the macroscopic fast neutron removal cross-sections were also calculated to estimate the neutron shielding efficiencies. The examined shielding parameters of the perovskites varied depending on the radiation type and energy. Among the selected perovskites, Cs2TiI6 and Ba2AgIO6 displayed superior photon attenuation properties. A 3.5 cm thick Ba2AgIO6-based shield could reduce the incident radiation intensity to half its initial value, a thickness even lesser than that of Pb-glass. Besides, CsSnBr3 and La0.8Ca0.2Ni0.5Ti0.5O3 displayed the highest and lowest range values, respectively, for all heavy charged particles. Ba2AgIO6 showed electron stopping power (on par with Kovar) better than that of other examined materials. Interestingly, La0.8Ca0.2Ni0.5Ti0.5O3 demonstrated neutron removal cross-section values greater than that of standard neutron shielding materials - aluminium and polyethylene. On the whole, the present study not only demonstrates the employment prospects of eco-friendly perovskites for shielding space radiations but also suggests future prospects for research in this direction.

Radiological and Geochemical Assessment of Different Rock Types from Ogun State in Southwestern Nigeria

  • Olabamiji Aliu Olayinka;Alausa Shamsideen Kunle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251-261
    • /
    • 2023
  • Background: This paper deals with the study of natural radioactivity in rocks from Ogun State in Southwestern Nigeria. The aim is to determine radiation emissions from rocks in order to estimate radiation hazard indices. Objectives: The following objectives were targeted: 1. To determine radiation emissions from each type of rocks; 2. To estimate radiation hazard indices based on the rocks; 3. To correlate the activity concentrations of radionuclides with major oxides. Methods: The samples were analyzed using a NaI (Tl) gamma ray spectrometric detector and PerkinElmer AAnalyst 400 AAS spectrometer. Results: The activity of 40K, 226Ra, and 232Th were found in order of decreasing magnitude from pegmatite>granite>migmatite. In contrast, lower concentrations were found in shale, phosphate, clay stone, sandstone and limestone. The mean absorbed doses were 125±23 nGyh-1 (migmatite), 74±13 nGy/h (granite), 72±13 nGyh-1 (pegmatite), 64±09 nGyh-1 (quartzite), 45±16 nGyh-1 (shale), 41±09 nGyh-1 (limestone), 41±11 nGyh-1 (clay stone), 24±03 nGyh-1 (phosphate), and 21±10 nGyh-1 (sandstone). The outdoor effective dose rates in all rock sample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world average dose value of 0.34 mSvy-1. The percentage composition of SiO2 in the rock samples was above 50 wt% except for in the limestone, shale and phosphate. Al2O3 ranged from 4.10~21.24 wt%, Fe2O3 from 0.39~7.5 wt%, and CaO from 0.09-46.6 wt%. In addition, Na2O and K2O were present in at least 5 wt%. Other major oxides, including TiO2, P2O5, K2O, MnO, MgO and Na2O were depleted.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Ogun State may be described as a region with elevated background radiation. It is recommended that houses should be constructed with good cross ventilation and residences should use home radiation monitoring instruments to monitor radon emanating from walls.

경남 창녕군 영산지역에서 산출하는 팔리고르스카이트의 광물학적 연구 (Mineralogy of Palygorskite from the Yeongsan Area in Kyeongnam, Korea)

  • 황진연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6-34
    • /
    • 1996
  • The white leather-like playgorskite occurs as a vein in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in the Yeongsan area, Kyeongnam, Korea. It has been investigate by means of XRD, TEM, DTA-TG, IR and chemical analysis. The palygorskite vein is composed mostly of well-crystallized palygorskite. The wall rock of the vein is altered to smectite along both sides of the vein. According to TEM observation the palygorskite shows a fibrous habit. The sizes offibers are quite variable, ranging from 0.1 to 3.0 micron in length. From XRD data, the palygorskite has orthorhombic unit cell with a=12.726$\AA$, b=17.796$\AA$, c=5.1666$\AA$. The chemical formula of the palygorskite was calculated as [Si7.93Al0.07](Al1.91Fe+30.11Mg1.96)Ca0.01O20(OH)4(OH2)2.

  • PDF

알칼리 자극제를 혼입한 고로슬래그 모르타르의 건조수축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Drying Shrinkage for Alkali-Activated Slag Mortar)

  • 천정환;김재훈;지남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논문 발표대회 제6권1호
    • /
    • pp.97-100
    • /
    • 2006
  • This paper report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n the properties of drying shrinkage for alkali-activated slag mortar in different relative humidity Commonly we know that drying shrinkage means lost more moisture but the mechanism of drying shrinkage of alkali activated slag mortar is not entirely due to the quantity of weight loss of water from mortar. pore size distribution and the calcium silicate hydrate gel characteristics have a critical influence on the magnitude of drying shringkage to alkali activated slag mortar. For this investigation, Ca(OH)2, Na2SiO4 were as alkali activator with 5 dosages(6%, 9%, 12%, 15%, 20%) and curing condition were three different relative humidity(35%, 65%, 95%) at $20{\pm}3^{\circ}C$

  • PDF

문경지역에 분포하는 각섬암(변성조립현무암)에 대한 암석학적연구 (Petrology and Amphibolites(Meta-Dolerite sill) in the Mungyong Areal Korea)

  • 안건상;신인현;김희남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00-514
    • /
    • 1997
  • 옥천습곡대 중앙부에 해당하는 문경지역예 분포하는 각섬암에 대하여 정밀한 산상, 조직 및 지화학적 성질을 조사하고, 지구조적 환경을 추적했다. 본역의 상내리층(옥천층군)과 석회암층(조선누층군)에 분포하는 각섬암은 변성된 조립현무암질 암상이며 주변암과 조화적로 분포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본 암석의 분포를 이전의 그것에 비해 크게 대선하였다. 상내리 지역을 중심으로 관찰한 암상을 최소한 4매 이상이다. 그 하나는 석회암층 내에 분포하며(Ls Sill, 두께 약 3 m), 나머지는 상내리층 내에 분포한다. 상내리층 내에 분포한 암상들을 하부로부터 각각 First Sill(두께 약 40 m), Second Sill(두께 약 100 m), Third Sill(두께 약 40 m)로 명명했다. 두꺼운 암상은 후기에 관입한 소규모의 암상을 포함하며, Third Sill은 2매의 주 암상과 2매의 소규모 암상으로 구성된다. 각 암상은 주변암과의 접촉부에서 세립질의 냉각대를 가지며, 내측으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증가한다. 두꺼운 암상은 다양한 암맥과 중심부에서 힌색의 단편을 가지며, 접촉부에서 중앙부로 감에 따라 화학적 성질도 규칙적으로 변한다. $SiO_2,\;Na_2O,\;K_2O,\;P_2O_5$는 증가하며, $TiO_2,\;FeO^*,\;Al_2O_3,\;CaO$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각섬암의 산상과 화학적 특징을 고려하여, 초기에 관입한 마그마로 생각되는 대표적인 10개의 화학조성을 선택하여 그들의 주성분 및 부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들이 보여주는 조성변화는 단일 마그마의 분별결정작용으로 설명할 수 없다. 본 역의 각섬암에 관한 지질분포, 지화학적 특성 및 과거 연구자들의 자료는 각섬암의 원암(현무암질마그마)이 intracontinental rift 환경에서 암상형태로 관입하였음을 지시한다.

  • PDF

방사광을 이용한 천연산 알만딘의 압축성 연구 (A Study of Compressibility on a Natural Almandine Using Synchrotron Radiation)

  • 황길찬;김영호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8권4호통권46호
    • /
    • pp.249-257
    • /
    • 2005
  • 석류석은 하부맨틀의 최상부인 약 660 km깊이까지 올리빈, 휘석과 함께 주요한 구성광물 중의 하나이다. 석류석은 약 660 km를 지나 하부맨틀에서 페롭스카이트와 코런덤으로 상변이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험방법 및 상변이 깊이와 상변이 경로에 대해서 아직까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실험은 천연산 알만딘(($Fe_{2.52}Ca_{0.21}Mg_{0.18}Mn_{0.12})Al_{2.23}Si_{2.97}O_{12}$)에 마오-벨 타입의 다이아몬드 앤빌기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62 GPa까지 압축실험을 시행하여 체적탄성계수를 결정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 62 GPa에서 격자상수 = $10.775\;{\AA}$, 체적 = $1251.16\;{\AA}^{3}$, X-선밀도 = $5.265\;g/cm^{3}$, 버치-머내한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체적탄성계수는 156 GPa이다(이때 $K_{0}\;'$는 4로 가정함). 본 연구는 포항가속기연구소의 방사광을 이용하여 시행한 국내 첫 고압실험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