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16}$(Palmitic acid)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32초

자숙크릴의 일반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위한 반응표면법에 의한 알카라제 가수분해 최적화 (Comparison of General Composition of Cooked Krill and Alcalase Optimization for Maximum Antioxidative Activity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경묘;조용범;황영정;이다선;이양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숙크릴에 Alcalase를 사용하여 크릴가수분해물의 항산화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독립변수인 pH와 온도에 대한 가수분해 최적조건을 찾아 이를 기초로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크릴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물 조건을 최적화 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calase를 이용한 크릴 가수분해 최적화에 있어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s)로는 pH, temperature로 두고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로는 단백질 분해정도의 TCA, DPPH-scavenging과 Fe-chelating activities로 하여 데이터를 SAS software를 이용하여 식을 얻고 이에 대한 3차원 그래프는 Maple software를 사용하여 얻었다. 자숙크릴의 가수분해 최적화 실험에 있어 DH효과는 pH 8.5, 온도 $66.6^{\circ}C$에서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TCA는 29.4%로 나타났다. DPPH효과는 pH 7.4, 온도 $67.5^{\circ}C$일 때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DPPH는 27.1%로 나타났다. Fe에 대한 킬레이팅효과는 pH 8.7, 온도 $65.5^{\circ}C$일 때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철에 대한 킬레이팅효과는 24.9%로 나타났다.

  • PDF

커피찌꺼기로부터 오일 추출 및 바이오디젤 생산 연구 (Coffee Grounds Oil Extraction and Bio-diesel Production Study)

  • 김덕근;김성민;최병윤;박순철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0.1-250.1
    • /
    • 2010
  • 최근 석유공급 불안정성과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이오연료의 공급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이오디젤의 보급 활성화는 식물성 기름의 가격 상승과 수급 불안정 문제, 그리고 식량자원과의 충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디젤 생산 원료로 사용되는 대두, 유채, 해바라기, 팜 등은 모두 식용시장과 수급 균형을 형성하고 있어 바이오디젤의 생산이 증가하게 되면 식용 오일 시장의 수급균형이 깨져 오일곡물 가격의 변동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과거에는 수거비용을 들여 폐기하던 폐식용유 마저 이제는 돈을 주고 구입해야하는 실정에 다다랐다. 바이오디젤 생산비의 70~80%를 차지하는 원료유의 부족 현상에 따라 바이오디젤 업계에서는 soapstock, trapped grease, 폐식용유 등의 저급유지 활용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자트로파와 같은 비식용 작물의 해외플랜테이션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피찌거기에 남아 있는 오일을 속슬렛추출장치를 이용해 추출하고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여 반응 특성과 커피오일 바이오디젤의 지방산 조성을 알아보고 바이오디젤 원료유로서의 사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석유에테르를 용매로 속슬렛 추출장치를 이용해 추출시 원료대비 약 17%(w/w)의 오일을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된 오일의 산가는 18.79mgKOH/g으로 매우 높아 직접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이 불가능하다. 고체 산 촉매 하에서 전처리 반응을 실시하여 유리지방산을 전환 제거한 후 염기촉매를 이용해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한 결과 약 80%의 바이오디젤(FAME) 함량을 얻을 수 있었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C18:2), 올레익산(Oleic acid, C18:1), 팔미틱산(Palmitic acid, C16:0)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 중에서도 리놀레익산이 44.17%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이는 커피찌꺼기 추출 오일이 바이오디젤 원료유로 활용 가능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색소성분 등의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증류정제 전단계에서의 바이오디젤 순도와 생산 수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ptimization of Phototrophic Growth and Lipid Production of a Newly Isolated Microalga, Desmodesmus sp. KAERI-NJ5

  • Joe, Min-Ho;Kim, Dong-Ho;Choi, Dae Seong;Bai, Su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7-389
    • /
    • 2018
  • In this study, a novel microalgal strain, Desmodesmus sp. KAERI-NJ5, was isolated, identified, and evaluated as a candidate for biodiesel feedstock. In a preliminary study, the effects of four general microalgal growth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pH, light intensity, and concentration of nitrogen source ($KNO_3$), on the microalgal photoautotrophic growth were evaluated. With the exception of light intensity, the growth factors needed to be optimized for the microalgal biomass production. Optimization was don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al conditions for biomass production were pH 6.54, $27.66^{\circ}C$, and 0.52 g/l $KNO_3$. The biomass production at the optimal conditions was 1.55 g/l, which correlated well with the predicted value of 1.5 g/l. The total lipid and fatty acid methyl ester contents of the cells grown at the optimal conditions were 49% and 21.2% of cell dry weight, respectively. To increase the lipid content of the biomass, microalgae were challenged by nitrogen starvation. Enhancement of total lipid and fatty acid content up to 52.02% and 49%, respectively, were observed. Lipid analysis of the nitrogen-starved cells revealed that C16 and C18 species accounted for 95.9% of the total fatty acids. Among them, palmitic acid (46.17%) and oleic acid (39.43%) dominantly constituted the algal fatty acids. These results suggest Desmodesmus sp. KAERI-NJ5 as a promising feedstock for biodiesel production.

한국산 마아가린의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Margarines)

  • 이혜란;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87-193
    • /
    • 1972
  • 한국산의 가정용 및 업무용 마아가린에 대한 몇가지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을 조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분함량은 가정용과 업무용이 각각 16.15%, 16.89%로 우리나라 마아가린의 성분기준에 적합 하였으며 유지함량은 가정용과 업무용이 각각 80.92%, 79.73% 였다. 2) 분리한 유지분의 산가는 모든 시료가 1.0. 이하였다. 융점은 가정용과 업무용이 각각 $34.9^{\circ}C,\;36.4^{\circ}C$였으며 검화가는 각각 160.8, 177.5였고 옥소가는 각각 76.4, 67.5였다. 즉 가정용은 업무용에 비하여 융점과 검화가가 다소 낮았고 옥소가는 더 높았다. 3)지방산 조성은 각 시료간에 함량의 차이가 매우 심하였으며 모든 시료에서 oleic과 palmi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또 가정용은 업무용에 비하여 $C_{12}$이하의 저급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데 비하여 업무용은 가정용에 비하여 $C_{20}$이상의 고급지방산의 함량이 많았다. 4) $20^{\circ}C$에서 가정용 시료의 경도지수는 $150{\sim}300인 것이 71.8%로 가장 많았는데 업무용은 대부분 200 이하였다. 5) $10^{\circ}C$에서 가정용의 고체지수는 부분 $32{\sim}40정도 였으며 업무용은 이보다 높았다. 6) $20^{\circ}C$에서 가정용의 oil-off 값이 $3{\sim}4%인 것이 43%로 가장 많았다. 7) 모든 시료의 크림성은 교반 10분 후부터 급격히 증가 하다가 20분 후 부터는 그 증가가 완만하여 졌으며 업무용은 40분 후부터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PEI(Polyethyleneimine)를 이용하여 음이온계 레진에 고정화된 Lipase AH 제조 및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한 반응 특성 연구 (Immobilization of Burkholderia cepacia Lipase on Weak Base Styrene Resin Using Polyethyleneimine with Cross-linking)

  • 이치우;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025-1035
    • /
    • 2014
  • 본 연구는 polyethyleneimine(PEI)을 이용하여 음이온계 레진에 비 고정화 효소인 lipase AH(Burkholderia cepacia)를 고정화한 후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해 고정화 효소의 반응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에 canola oil, palmitic ethyl ester와 stearic ethyl ester를 기질로 사용하였으며 합성물의 TAG 조성 분석을 통해 특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두 가지 고정화방법(multi layer, mono layer)으로 고정화를 진행하였으며 사용된 lipase solution의 농도와 pH를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효소와 support 간의 친화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정화에 사용된 lipase solution의 농도가 8 mg/mL일 때 친화력이 좋았으며 MUIM의 경우 pH 7.5에서, MOIM의 경우 pH 8.0에서 고정화 효율이 가장 좋았다. 또한 고정화 효소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nteresterification을 진행하였고 TAG와 sn-2 position 분석을 통하여 활성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참고하여 가장 친화력이 좋았던 조건에서 고정화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MUIM의 경우 total saturated fatty acid(${\Sigma}SFA$)의 함량이 16.79 area%였으며 MOIM의 경우는 ${\Sigma}SFA$의 함량이 26.17 area%로 나타났다. 반면에 sn-2 position 분석결과 MUIM과 MOIM 모두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이 증가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기존의 sn-1, 3 특이성을 가지는 lipase AH가 고정화를 통해 무작위 특이성으로 변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RP-HPLC를 이용하여 TAG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기질은 canola oil이 주로 OOO와 LOO로 조성되었으나 고정화 효소의 interesterification 반응 후 합성물은 주로 POO/SLO, LPO/LOP와 SOO, SOS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생산된 MUIM과 MOIM을 이용하여 interesterification 반응을 온도, 시간을 달리하여 진행하였다. 전체적으로 MOIM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lipase AH, MOIM과 MUIM 모두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Sigma}SFA$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12시간 이후로는 시간대비 효율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sn-2 position의 ${\Sigma}SFA$ 함량이 높아졌다. 한편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Sigma}SFA$의 함량도 증가하였는데, 이는 상온인 $25^{\circ}C$보다 높은 melting point를 가지는 stearic ethyl ester와 palmitic ethyl ester가 semi solid 형태로 존재하여 활성이 저해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lipase AH는 재사용이 불가능하였지만 고정화 효소인 MUIM과 MOIM은 5번을 재사용하여도 그 효소의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음이온계 레진에 PEI를 이용하여 lipase AH를 고정화하였을 경우 비 고정화 효소인 lipase AH보다 MUIM과 MOIM의 활성이 더 높아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세미외의 부위별(部位別) 유효성분(有效成分) 조사(調査) 및 사과락중(絲瓜絡中) 육질제거(肉質除去) 방법(方法) 개발(開發) 연구(硏究) : (I) -수세미외의 부위별 화학성분 분석- (Determination of the effective components in the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 (L.) Roemer and development to remove the flesh from its fruit : (I) -Determination of chemical components in the various parts of Luffa cylindrica(L.) Roemer by GC and GC/MS-)

  • 장기운;문창식;이희덕;이창준;이운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4호
    • /
    • pp.366-372
    • /
    • 1991
  • 관행법에 의해 재배된 수세미외의 잎, 줄기, 미숙과즙, 종실, 수액 등 각 부위에 함유된 휘발성 정유성분, 탄화수소, 유기산 및 비휘발성 지방산을 추출, 분리하였다. 150여개의 분리성분중 37개 정유 성분을 확인한 후 각 부위별로 정량하였다. 또한, 26종의 탄화수소, 5종의 유기산 및 6종의 지방산도 분리정량하여 부위별 분포와 함량을 비교하였다.

  • PDF

팽화처리에 의한 Burley종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urley Leaf Tobacco by Expansion Process.)

  • 김병구;김기환;임광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4-151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hange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the 10 grades of Burley leaf tobacco expanded by $CO_2$. The filling capacity of AB3T was increased from 5.44cc/g to 9.52cc/g with the expansion rate 75.0% and that of CD3W was increased from 5.57cc/g to 10.16cc/g with the expansion rate 82.4%. But the rate of cut tobacco longer than 3.36 mm decreased from 77.2% to 49.9% and from 67.3% to 41.2% in grade B1T and C1W,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nicotine and total volatile base in the of expanded cut tobacco decreased 11.9% and 10.4%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onganic acids, except oxalic and palmitic acid, essential oil, amino acids, nicotine, tar and ammonia contents in the cigarette smoke decreased by expansion proce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anded tobacco was very useful to make less irritative cigarettes.

  • PDF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Four Major Muscles in Korean Native Black Goat

  • Hwang, Young-Hwa;Joo, Sung-Hyun;Bakhsh, Allah;Ismail, Ishamri;Joo, Seon-Te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48-954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four major muscles in Korean native black goat (KNBG). Longissimus lumborum (LL), psoas major (PM), semimembranosus (SM), and gluteus medius (GM) were obtained from five male KNBGs of 36 mon of age and subjected to histochemical analysis and to determine fatty acid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traits. There were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fiber number percentage (FNP) and fiber area percentage (FAP) of fiber types among these four muscles. PM had the highest FNP of type I and the lowest FNP of type IIB, while SM had the highest FNP of type IIB. The highest fat content was observed in LL while SM had the lowest fat content. The proportions of SFA and MUFA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among four muscles due to differences in the majority of fatty acids such as oleic (C18:1) and palmitic (C16:0) acids. The PUFA/SFA ratio was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among four muscles, and the highest PUFA/SFA ratio was observed in PM. Results suggested that LL and PM might be healthful because of higher desirable fatty acid value and PUFA/SFA ratio, respectively. Also, data showed that correlations between muscle fiber types and fatty acids proportion of goat muscles were reversed with those of cattle muscles.

Comparison of Meat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Native Duck and Imported Commercial Duck Raised under Identical Rearing and Feeding Condition

  • Muhlisin, Muhlisin;Kim, Dong Soo;Song, Yeong Rae;Kim, Hong Rae;Kwon, Hyung Joo;An, Byoung Ki;Kang, Chang Won;Kim, Hak Kyu;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9-95
    • /
    • 201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eat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duck and imported commercial duck. The Korean native ducks and imported commercial ducks (broiler duck: Grimaud) were raised under identical rearing and feeding conditions for 8 wk and 6 wk, respectively. At the end of the rearing period, ten ducks from each group were slaughtered, and breast and leg meat were obtained 24 h after slaughtering for analyses of mea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reast of Korean native ducks contained lower moisture and fat, and higher protein and water holding capacity (WHC) than those of imported commercial ducks (p<0.05). The breast of Korean native ducks also had higher CIE $a^*$ and lower CIE $L^*$ (p<0.05). After cooking, the breast meat of Korean native ducks had higher shear-force, sensory attributes of texture, taste and overall likeness (p<0.05). Also, the breast meat of Korean native ducks contained a higher percentage of palmitic acid ($C_{16:0}$) and arachidonic acid ($C_{20:4}$) (p<0.05) than those of imported commercial ducks. Furthermore, the leg meat of Korean native ducks contained higher percentages of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and lower percentages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 (p<0.05). It is concluded that the meat from Korean native ducks, especially breast meat, had better quality parameters and contained higher amounts of unsaturated fatty acids.

산초열매의 채집 시기별 일반성분, 지방산 및 정유성분 조성 변화 (Studies on Proximate Composition, Fatty Acids and Volatile Compound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Fruit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 배성문;진영민;정은호;김만배;신현열;노치웅;이승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11
  •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5 Zanthoxylum schinifolium (Zs) fruits such as Z1 (early August), Z2 (middle August), Z3 (middle September), Z4 (early October) and Z5 (middle October)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were evaluated. As fruits ripened, average weight of Zs increased from 4.8mg (Z1) to 50.7mg (Z5), while moisture contents decreased from 74.6% (Z1) to 55.2% (Z5). Crude fat contents of the fruits during ripening increased from 1% (Z1) to 10.6% (Z5). The major fatty acids in Zs were palmitic (C16:0), palmitoleic (C16:1), oleic (C18:1), and linoleic (C18:2) acids. Linoleic acid (C18:2) was a main fatty acid in Z1 and Z2, whereas oleic acid (C18:1) was found as a main one in the other Zs. The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 to total fatty acids increased from 60% (Z1) to 80% (Z3~Z5) during ripening. Among ripening stages, Z4 ha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fatty acids ($3,355{\mu}g/g$) and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2,753{\mu}g/g$). Forty six volatile compounds in Zs were also identified.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alpha}-pinene$, ${\beta}-myrcene$, ${\beta}-ocimene$, 2-nonanone, estragole, 2-undecanone, and ${\beta}-caryophyllene$. Major volatile components of Z1 were ${\beta}-ocimene$ (20.8 peak area %) and ${\alpha}-pinene$ (9.7 peak area %). In Z2, estragole (30.1 peak area %) was a main volatile compound, but the contents of ${\alpha}-pinene$ (0.4 peak area %), ${\beta}-myrcene$ (0.3 peak area %), and ${\beta}-ocimene$ (0.6 peak area %) were lower than those in Z1. Especially, estragole used as perfumes and as a food additive for flavor was drastically increased to 91.2 (Z3) and 92% (Z4) as fruits ripe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