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scan

검색결과 1,329건 처리시간 0.037초

폐 자궁내막 증식증 1예 (Pulmonary Endometriosis)

  • 김기중;조윤형;최병기;최의영;장윤수;김형중;안철민;조상호;유진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89-393
    • /
    • 1999
  • 자궁내막 증식증은 일차적으로 골반내에 국한된 질환이나 드물게 폐실질에서 발견될 수 있다. 폐 자궁내막 증식증의 진단은 임상적 양상과 월경기간 동안의 객혈이 있으면서 조직학적 확진을 통해서 진단될 수 있다. 폐 자궁내막 증식증은 1956 년 Lattes등에 의해 처음으로 조직학적으로 확진한 후에 전세계적으로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25세 미혼 여성에게서 월경과 연관된 객혈을 한 여성에게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서 병소를 확인한 후에 수술적 치료를 함으로 조직학적으로 확진한 폐실질 자궁내막 증식증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성인에서 발생한 중배엽성 신종의 폐전이 1예 (A Case of Lung Metastasis of Mesoblastic Nephroma in Adulthood)

  • 문진욱;김길동;신동환;한창훈;정재호;박무석;정상윤;이재혁;김영삼;김세규;김성규;장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4호
    • /
    • pp.402-407
    • /
    • 2003
  • 저자 등은 성인에서 드물며, 또한 국내에서 원격전이를 일으킨 예가 보고된 바 없는 중배엽성 신종이 35세 여자 환자에서 발생하여 신적출술 7년 후 폐전이로 하나의 큰 종괴를 형성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관상동맥-폐동맥 누공 1예 (A Case of Coronary-Pulmonary Artery Fistula)

  • 이경해;왕준광;신성준;김미옥;김태형;손장원;윤호주;신동호;박성수;김경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4호
    • /
    • pp.420-425
    • /
    • 2004
  • 관상동맥-폐동맥 누공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선천적 원인이 대부분이나 최근 흉부 시술이나 방사선 치료의 증가로 점차 후천적 원인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증상이 비특이적이어서 진단이 늦어질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저자들이 경험한 환자는 기존의 폐질환 증상 때문에 심장 혈관 질환의 진행을 예측하기 어려웠다. 약간의 논쟁이 있으나 원인에 계 없이 크기가 작은 누공에서는 추적관찰이, 중등도 이상의 크기이거나 확장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누공을 막거나 원인혈관을 제거하는 방법이 장되고 있다. 예후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다.

상부 기관에 발생한 사구 종양 1예 (A Glomus Tumor of the Trachea)

  • 이승민;이정현;황재준;이송암;이정근;김완섭;한혜승;이태훈;유광하;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2호
    • /
    • pp.183-187
    • /
    • 2007
  • 기관 내 사구 종양은 매우 드문 종양이며 일반적인 사구 종양의 증상을 보이지 않다가 크기가 커진 이후에 호흡 곤란이나 객혈, 기침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비특이적인 호흡기 증상을 지속적으로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기관지 내시경 등의 적극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저자들은 호흡 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58세 남자 환자에서 상부 기관 후벽에 발생한 사구 종양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혈관육종의 낭성 폐전이에 의한 기흉 1예 (A Case of Pneumothorax Caused by Cystic Lung Metastasis of Angiosarcoma)

  • 이찬주;최준정;전한호;정경수;박병훈;박선철;신상윤;정우영;변민광;문지애;김영삼;김세규;장준;김성규;박무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5호
    • /
    • pp.374-378
    • /
    • 2008
  • 혈관육종은 매우 드문 악성종양으로 고령 남자의 두피나 얼굴에 주로 발생하며, 폐로 전이되는 경우가 있다. 폐전이의 경우 객혈, 기흉 등의 호흡기계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저자들은 혈관육종의 폐전이가 낭성변화를 일으켜 기흉 및 혈흉을 초래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폐와 중추신경계를 침범한 효모균증(Cryptococcosis) 1예 (A Case of Cryptococcosis involving Lung and CNS without Underlying Disease)

  • 이민수;박상선;고영일;장안수;임성철;양주열;박형관;나현주;김영철;최인선;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618-623
    • /
    • 1995
  • 저자들은 내원 3개월 전부터 발생한 두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검사결과 폐와 중추신경계를 동시에 침범한 효모균증으로 진단된 56세 여자환자에서 amphotericin B로 6주간 치료한 후 fluconazole 200mg/day로 전환하여 3개월간 경구 투여하여, 증상 및 흉부 방사선 소견의 호전과 함께 뇌척수액 추적 검사상 호전되고 두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특이 소견은 발견하지 못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에 보고한다.

  • PDF

폐 격리증을 동반한 기관지내 평활근종 1례 (1 Case of Bronchial Leiomyoma with In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 정보용;김도환;박은서;한승효;김영통;오미혜;이석열;최재성;나주옥;서기현;김용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6호
    • /
    • pp.678-683
    • /
    • 2006
  • 기관지 평활근종과 폐 격리증은 두 질환 모두 희귀한 질환으로 같이 동반된 증례는 현재까지 보고된 적은 없다. 저자들은 호흡곤란, 기침, 화농성 객담을 주소로 개인의원에서 폐렴 치료 후 호전 없어 본원으로 전원 후, 흉부 CT 촬영과 기관지내시경에서 좌폐하엽의 허탈을 동반한 좌측 주기관지의 말단부위에 1.5 cm크기의 종괴와 대동맥에서 나오는 이상 동맥을 발견하여 이상 동맥 결찰과 좌하엽 절제술을 시행하여 호전되었던 폐 격리증을 동반한 기관지 평활근종 1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ne beam CT와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이용한 매복 상악 견치의 3차원적 분석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AND PANORAMIC RADIOGRAPHS)

  • 전상윤;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6-117
    • /
    • 2013
  • 견치의 맹출은 영구치열의 이행에 중요하다. 견치 매복의 원인으로 유치의 조기 상실 또는 만기 잔존, 신생물 등이 있으며 측절치 이상이 상악 견치 매복을 야기할 수 있다. 치료되지 않은 매복 견치는 부정교합, 낭종 등을 야기하고 교정치료를 복잡하게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매복된 상악 견치의 위치를 조사하여 치료 및 합병증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상악 견치 매복으로 진단된 89명의 파노라마사진과 전산화단층영상을 사용하여 견치의 위치를 평가하였다. 시행된 치료와 합병증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가장 흔한 매복 위치는 치열궁 영역이었고 협측과 구개측 순이었다. 교정적 견인이 가장 빈번히 선택되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인접치를 변위시키는 경우가 가장 흔했다. 협측에 매복 시 변위를 일으키는 경향이 높았고, 협측에 매복될수록 교정적 견인이 덜 시행되었다. 중절치 근심에 매복 시 치근 흡수를 일으키는 경향이 더 높았다. 그러므로 상악 견치에 대한 검진을 통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의 시행이 필요하다.

후두전적출술후 기관공재발의 위험요소 분석 (An Analysis of Risk Factors in Stomal Recurrence after Total Layngectomy)

  • 박지훈;김형진;오병훈;최건;정광윤;최종욱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0-86
    • /
    • 2000
  • Background : Stomal recurrence that occasionally follows total laryngectomy is associated with very poor prognosis regardless of treatment modality, so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high risk patients to prevent stomal recurrence. Objectives : We attempted to select an optimal management method to prevent stomal recurrence by analyzing risk factors in each patient who was found to have stomal recurrence following total laryngectomy. Materials and Methods : Risk factors in each of eleven patients who had stomal recurrence out of 159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laryngectomy in the last ten year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Data were gathered on risk factors such as the presence of subglottic extension, extralaryngeal extension, thyroid gland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timing of tracheotomy, tumor stage,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inclusion of the stoma in the radiotherapy field. Results : There were eight cases of subglottic extension, six cases of extralaryngeal invasion, one case of pharyngocutaneous fistula that occurred as a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one case who was taken completion laryngectomy following conservation surgery. With the exception of one case who was taken tracheotomy prior to total laryngectomy, all tracheotomies were performed intra-operatively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There was no evidence of paratracheal lymph node or prelaryngeal lymph node metastasis on preoperative neck CT scan. There were six cases of T4 tumors, four cases of T3 tumors, and one case of T2 tumor. Salvage surgery was performed following radiotherapy in three cases, and aside from one case who was not taken post-operative radiotherapy,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cluding the stoma was performed in the remaining seven cases within one month after surgery. Conclusion : Total laryngectomy with wide paratracheal lymph node dissection, thyroidectomy, and tracheotomy should be performed for patients who have high risk factors such as subglottic extension and advanced stage. We believe that tracheotomy should be precede endotracheal intub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stomal recurrence by utilizing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by minimiz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and fistula.

  • PDF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의 수술 (Operation of Ascending Aorta and/or Aortic Arch)

  • 구본원;허동명;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이응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12-1217
    • /
    • 1996
  • 경북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3년 12월부터 1995년 5월까지 14례(남자 9명, 여자 5명)의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질환을 수술하였으며, 환자들의 나이는 25세 에서 65세로 평균 50.4세였다. 진단은 급성 대동맥 박리가 6례(43%)로 4례는 파열이 되었으며, 상행 대동맥류가 4례(29%)로 1례에서 대동맥궁까지 확장되어 있었고 3례에서 파열이 되었으며, 대동맥 판륜확장이 3례(21%)로 1례에서 파열이 동반되었고, 대동맥궁류가 1례(7%)였다. 전례에서 심초음파와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혈관촬영은 2례에서 시행하였다. 수술의 적응은 파열 5례, 급성 대동맥 박리 5례, 심한 울혈성 심부전 2례, 진행성의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1례 및 동맥류가 커서 파열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 1례였다. 수술은 10례(71%)에서 응급으로 시행하였다. Cabrol 수술 6례, 대동맥궁 치환을 겸한 Cabrol 수술 1례, 변형된 Bentall수술 1례, 상행 대동맥 치환 4례, 대동맥궁 치환 1례 및 대동맥궁 치환을 겸한 상행 대동맥 치환의 경우가 1례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순환정지를 62분 시행한 환자가 경련을 보였고, 심방세동이 2례, 흉골 열개가 1례 그리고 종격동염이 1례 있었다. 술후 조기사망은 2례(14%)에서 있었으며 각각 과다 출혈과 다발성 장기부전이 원인이었다. 심실 부정맥으로 인한 만기사망이 1례(7%)에서 있었다. 11명의 생존 환자들의 추적관찰기간은 2개월에서 20개월로 전례에서 경과는 양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