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scan

검색결과 1,323건 처리시간 0.032초

종합병원 영상의학과 CT 검사실의 조도 측정에 의한 향상 방안 (The Method of Improvement by Illuminance Measurement of the CT Scan Room in a General Hospital Radiology)

  • 권대철;양성환;강영식
    • 대한설비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56
    • /
    • 2018
  • Computed tomography (CT) scan room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is very necessary to maintain pleasant and proper illuminance to relieve fatigue and inconvenience because it affects the work environment to the radiologist. Accordingly, this paper describes the method for measurement of illuminance that exposed to an environmental elements in a CT scan room of the hospita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optimal environment of CT scan room based on the measurement of illuminance. In addition, the 5 point method by KS C7612 was applied to measure the illuminance with illuminometer (Unfors xi light probe) in the CT scan room. In result of this paper, minimum value and maximum value of illuminance in the CT scan room was measured 212.7 lux and 354.8 lux, respectively. The illuminance of CT scan room was lower than KS A 3011. Finally, the work environment in CT scan room should provide higher illuminance for the comfortable environment of radiologists and patients.

일 지역 종합병원 영상의학과 MDCT선량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MDCT of Radiation dose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of general hospitals in the local area)

  • 신정섭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81-290
    • /
    • 2012
  • 경상북도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 영상의학과의 MDCT 검사 중 두부, 복부, 흉부 각 10건씩 30건을 대상으로 CTDIl, DLP, Slice 수, DLP/Slice 수를 조사하여 병원 간 프로토콜의 차이로 인한 MDCT의 피폭선량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CT검사의 가장 많은 검사건수를 차지하고 프로토콜이 비교적 단순한 두부 CT를 Helical Scan과 Normal Scan으로 2회 실시하여 영상의 화질, CTDI, DLP, 안구의 피폭선량, 갑상선의 피폭선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두부CT에서 조사대상 병원의 3분의 2에서 CTDI 참조준위(IAEA 50mGy, 우리나라 60mGy)를 초과하지 않은 A병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1). DLP에서 조사병원의 3분의 1은 참조준위 IAEA 1,050mGy.cm, 우리나라 1,000mGy.cm의 권고량 보다 높았고, 3분의 2가 우리나라의 권고량을 초과하고 있었다. 참조준위를 초과하지 않은 A병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1). Abdomen CT에서도 3분의 1은 CTDI 참조준위 IAEA 25mGy, 우리나라 20mGy보다 높은 119mGy를 보였고, DLP에서는 모든 조사대상 병원이 우리나라 권고량 700mGy.cm보다 높았다. 조사대상 병원 중 모든 검사에서 높은 선량을 보인 C병원은 MPR, 3D 검사의 비중이 높아 낮은 pitch, 높은 관전류 검사로 인한 피폭선량이 높았다. Scan 방법에 따른 피폭선량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동일환자의 두부CT를 Normal scan과 Helical scan으로 각각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CTDI 및 DLP에서 Helical CT가 Normal scan에 비해 63.4%, 93.7% 높은 선량을 보였다(p<0.05, p<0.01). 그러나 갑상선의 피폭선량은 Normal scan이 87.26% 높았다(p<0.01). Helical CT의 선속은 종심부와 변연부의 모양이 종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 두부CT에서 갑상선은 중심선속에서 벗어난 적은 선량으로 피폭된다. 또한 Helical scan시 Gantry 각을 수직으로 사용하였고, Normal scan시에는 Orbitomeatal line에 평행으로 정렬된 Gantry 각을 사용하여 Helical scan에서 갑상선은 피폭선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토콜은 식약청의 표준준위에 비해 높은 피폭선량을 보여 식약청의 권고량을 지키기 위해서는 낮은 관전류 높은 Pitch의 사용이 요구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Normal scan과 Helical scan에 따른 화질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Normal scan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갑상선의 보호장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번 연구는 일지역의 CT검사 중 일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므로 CT검사의 전체를 평가하는데 무리가 있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환자피폭선량의 가이드 권고량을 초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병원 간의 피폭선량 편차도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영상의학과 의사 및 방사선사는 CT 방사선량을 줄이는 최적화된 프로토콜로 CT검사를 시행해야 하고, 환자의 알권리를 위하여 피폭선량은 공개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많은 의사들과 방사선사는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개선을 위하여 CT선량 저감화의 교육프로그램, CT검사에 따른 피폭선량의 공개, 병원의 서비스평가 및 병원인증제 평가항목에 CT검사 피폭선량관리 및 공개항목을 추가 등의 관련기관의 노력과 의료종사자가 CT검사에서 행위의 최적화를 실현하는 최선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노력이 필요하였다.

Comparison of different radiographic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the mandibular canal

  • Kim Eun-Kyung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4호
    • /
    • pp.199-205
    • /
    • 2003
  • Purpose: To compare the visibility of the mandibular canal at the different radiographic methods such as conventional panoramic radiographs, Vimplant multi planar reformatting (MPR)-CT panoramic images, Vimplant MPR-CT paraxial images and film-based DentaScan MPR-CT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Data of 11 mandibular dental implant patients, who had been planned treatment utilizing both panoramic and MPR-CT examination with DentaScan software (GE Medical systems, Milwaukee, US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rchived axial CT data stored on CD-R discs were transferred to a personal computer with 17' LCD monitor. Paraxial and panoramic images were reconstructed using Vimplant software (CyberMed Inc., Seoul, Korea). Conventional panoramic radiographs, monitor-based Vimplant MPR-CT panoramic images, monitor-based Vimplant MPR-CT paraxial images, and film-based DentaScan MPR-CT images were evaluated for visibility of the mandibular canal at the mental foramen, 1 cm, 2 cm, and 3 cm posterior to mental foramen using the 4-point grading score. Results: Vimplant MPR-CT panoramic, paraxial, and DentaScan MPR-CT images revealed significantly clearer images than conventional panoramic radiographs. Particularly at the region 1 em posterior to mental foramen, conventional panoramic radiographs showed a markedly lower percentage of 'excellent' mandibular canal images than images produced by other modalites. Vimplant MPR-CT and DentaScan MPR-CT imag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ibility of the mandibular canal.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Vimplant and DentaScan MPR-CT imaging systems offer significantly better images of the mandibular canal than conventional panoramic radiograph.

  • PDF

전산화단층촬영 주사시간(Scan Time)이 폐종양운동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of the Planning CT Scan Time on the Reflection of the Lung Tumor Motion)

  • 김수산;하성환;최은경;이병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55-63
    • /
    • 2004
  • 목적 : 방사선치료계획용 전산화단층활영(computerized tomography, 이하 CT) 시 주사시간이 종양부피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공호흡기의 환기작용에 의해 세로방향의 왕복 운동을 하는 N자형 모형을 제작하였고, 호흡주기를 T로 하였을 때 주사시간을 상대적으로 각각 0.33, 0.50, 0.67, 0.75, 1.00, 1.33, 그리고 1.53 T로 설정하고 CT촬영을 시행하였다. 또한 2002년 3월 19일부터 2002년 5월 21일까지 서울아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정위방사선수술(stereotactic radiosurgery)을 시행받은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3명을 대상으로, 주사시간이 빠른 CT (LightSpeed, GE Medical Systems, 주사시간 0.8초)와 느린 CT (IQ Premier, Picker, 주사시간 2.0초)를 각각 $1\~4$회 시행하였다. 각각의 slice에서, N자형 모형의 왕복 운동이 CT 영상에 반영된 좌우방향 선분의 길이를 측정하여 치료계획용 CT 촬영이 모형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정위적 체부 고정틀을 이용하여, 빠른 CT 및 느린 CT의 종양을 하나의 CT 영상조합에서 재구성하여 종양의 체적과 장경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모형실험에서 주사시간에 비례하여, 세로방향 운동을 CT 촬영에서 반영하는 정도는 증가하였으며 1.00 T 이상에서는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주사시간 1.00 T 이상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준으로, 1.00 T 미만의 주사시간을 가지는 CT촬영에서 모형운동을 반영하지 못하는 비율이 각각 $0.33\;T:\;30\%,\;0.50\;T:\;27\%,\;0.67\;T:\;20\%,\;0.75\;T:\;7.0\%$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시검사로 측정한 종양의 세로 방향 움직임이 각각 3 mm, 5 mm, 10 mm이었던 각각의 환자에서 느린 CT에서 얻어진 종양의 세로방향 장경이 빠른 CT에 비해 $5.3\%\;17\%,\;23\%$ 증가하였다. 결론 : 주사시간을 환자의 호흡주기 이상으로 하는 경우 setup margin만을 고려하여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을 정의할 수 있으므로 정상 폐조직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줄여 치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두경부 토모테라피 치료 시 CT scan range에 따른 치료계획의 정확성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treatment plan according to CT scan range in Head and Neck Tomotherapy)

  • 권동열;김진만;채문기;박태양;서성국;김종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24
    • /
    • 2019
  • 목 적: 두경부 토모테라피 치료 시 다양한 이유로 CT scan range가 부족한 상황이 발생한다. CT scan range는 정확한 선량 계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Re-CT Simulation이 좋지만 환자의 피폭선량 증가와 불편함, 치료일정 변경 등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저자는 기존 CT scan range에서 Plan setup parameter 변화를 통해 Re-CT Simulation 없이 정확한 치료계획에 필요한 최소한의 CT scan range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CT simulator(Discovery CT590 RT, GE, USA)와 In House Head & Neck Phantom을 이용하였고, Target의 끝단에서 0.25~3.0cm까지 0.25cm씩 증가시켜 CT scan range 별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Target과 정상 장기를 Head & Neck Phantom에 등록하고 ACCURAY Precision®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설계하였다. 처방 선량은 Daily 2.2Gy, 27 Fxs, Total Dose 59.4Gy, Target은 처방 선량의 95~107%, 정상 장기는 SMC Protocol에 맞춰 치료계획을 설계하였다. 동일한 치료계획 조건에서 Field Width(FW)와 Jaw 모드를 고려한 5가지 방법(Fixed-1cm, Fixed-2.5cm, Fixed-5cm, Dynamic-2.5cm Dynamic-5cm)과 2가지 Pitch(0.43, 0.287)의 Plan Setup parameter로 치료계획을 설계하였다. 각 치료계획에 대한 선량 전달의 정확성은 EBT3 film과 RIT(Complete Version 6.7, RIT,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Target의 처방 선량과 정상 장기의 견딤선량(Tolerance dose)을 만족한 치료계획(SMC Protocol)은 Fixed-1cm은 0.25cm 이상, Fixed-2.5cm는 0.75cm 이상, Dynamic-2.5cm는 1cm 이상, Fixed-5cm과 Dynamic-5cm인 경우는 1.75cm 이상의 Scan range가 있어야 정확한 치료계획을 할 수 있었다. 선량 전달의 정확성은 RIT로 분석한 결과 SMC Protocol을 만족한 치료계획에서 3% 미만의 오차였다. 결 론: 두경부 토모테라피 치료 시 CT scan range가 부족한 경우 Plan Setup Parameter 중 Field Width(FW)를 조절하여 정확한 치료계획을 설계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저자가 추천한 Plan Setup Parameter를 CT scan range에 따라 적용하고 Re-CT 여부를 판단한다면 업무의 효율성 및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Head & Neck 환자의 방사선 치료시 Metal Artifact의 감소를 위한 Gantry Tilt Scan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ing Gantry Tilt Scan to Head & Neck of Patients during Radiation Therapy for Reduction of Metal Artifact)

  • 이충환;윤인하;홍동기;백금문;권경태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5-95
    • /
    • 2010
  • 목 적: 두경부 환자의 CT simulation시 metal artifact가 발생하여 영상의 질 저하와 선량계산의 오차를 유발 할 수 있어 metal artifact를 줄이기 위한 gantry tilt scan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Metal artifact를 줄이기 위하여 $20^{\circ}$ gantry tilt scan하여 $0^{\circ}$로 재구성한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AAPM CT performance Phantom을 이용하여 CT number를 비교 분석하고, 아크릴 팬텀을 이용하여 체적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였다. Metal artifact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Intensity volume Histogram (IVH)을 통한 CT number의 균질성 및 Dose Volume histogram (DVH)을 통한 선량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 CT number와 체적의 비교에서는 차이가 0.5% 이하로 나타났다. IVH를 비교 분석결과 gantry tilt scan에서 artifact에 의한 영향이 감소되어 CT number의 균질도가 향상되고, DVH 비교결과는 양쪽 이하선의 0.2~6%의 평균선량 오차를 감소시켰다. 결 론: Head & Neck 방사선치료 시 metal artifact 때문에 체표윤곽의 구별이 어렵고 선량의 오차가 발생한다. Gantry tilt scan을 이용하면 정확한 조직의 묘사가 가능하고, CT number 균질도가 향상되어 선량의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Gantry tilt scan 은 Head & Neck 방사선치료 시 정확한 방사선치료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Temporal bone CT 검사 시 conventional scan 방식과 helical scan방식에 따른 선량 비교분석 (Dose Comparison Analysis of Temporal bone CT scan to conventional scan method during helical scan method)

  • 강수홍;박용성;이래곤;황선광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9-56
    • /
    • 2015
  • Temporal bone CT scan side skull fracture. In addition to the confirmation of the ossicles, such as fractures and dislocations, temporomandibular facial fractures, deformities surgery helps to establish a science plan. Cochlear implant surgery has been performed in the state before and after identifying purposes. Test methods are being implemented by the Conventional direct axial and Direct coronal scan, the basic method of Temporal bone CT. Helical scan is a fast Volumetric data obtain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can, the patient reduced the dose, and there are some advantages, such as reduced Beam hardening streak artifacts caused by dental fillings.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by dose reduction for patients with a dos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can method and then effective from 2015 by helical scan method performed in 2014 through the retrospective survey, which was then optimized for the purpose of inspection.

  • PDF

폐절제술후의 폐기능 예측에 대한 나선식 정량적 CT의 유용성 (나선식 정량적 CT와 폐관류스캔과의 비교) (Use of Quantitative CT to Predict Postoperative Lung Function (Comparison of Quantitative CT and Perfusion Lung Scan))

  • 이조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0호
    • /
    • pp.798-805
    • /
    • 2000
  • Background : the prediction on changes in the lung function after lung surgery would be an important indicator in terms of the operabilit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order to predict the postoperative FEV1 - the commonly used method for measuring changes in lung function- a comparison between the quantitative CT and the perfusion lung scan was made and proved its usefulness. Material and Method : The subjects included 22 patients who received perfusion lung scan and quantitative CT preoperatively and with whom the follow-up of PFT were possibles out of the pool of patients who underwent right lobectomy or right pneumonectomy between June of 1997 and December of 1999. The FEV1 and FVC were calibrated by performing the PFT on each patient and then the predicted FEV1 and FVC were calculated after performing perfusion lung scan and quantitative CT postoperatively. The FEV1 and FVC were calibrated by performing the PFT after 1 week and after 3 momths following the surgery.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mutual scan and the actual postoperative FEV1 and FVC at 1 week and 3 months. The predicted FEV1 and FVC(pneumonectomy group : r=0.962 and r=0.938 lobectomy group ; r=0.921 and r=913) using quantitative CT at 1 week postoperatively showed a higher mutual relationship than that predicted by perfusion lung scan(pneumonectomy group : r=0.927 and r=0.890 lobectomy group : r=0.910 and r=0.905) The result was likewise at 3 months postoperatively(CT -pneumonectomy group : r=0.799 and r=0.882 lobectomy group : r=0.934 and r=0.932) Conclusion ; In comparison to perfusion lung scan quantitative CT is more accurate in predicting lung function postoperatively and is cost-effective as well.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quantitative CT is an effective method of replacing the perfusion lung scan in predicting lung function post-operatively. However it is noted that further comparative analysis using more data and follow-up studies of the patients is required.

  • PDF

이중시간 PET/CT 검사에서 췌장암 판별을 위한 최적의 Scan time 분석 (Optimal Scan time Analysis for Pancreatic Cancer Distinction in Dual time PET-CT Exam)

  • 장보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05-31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이중 시간 PET/CT 검사에서 지연검사 시간이 다른 두 그룹의 40명의 췌장암 환자에 대한 SUV 데이터의 통계 분석을 통해 최적의 지연검사 시간을 제시하였다. 췌장암의 유무를 확인해야 될 이중 시간 PET/CT 검사에서 새로운 수학적 예측 모델을 만들어 정확도 높은 최적의 지연검사 시간을 제시하였다. 시간에 따른 포도당 대사를 적용한 방사능 붕괴식을 예측 모델로 제시하였다. 지연검사 시간이 다른 두 그룹의 데이터를 가지고 시뮬레이션한 결과 PET/CT에서 췌장암 판별을 위한 최적의 지연검사 시간이 131.5분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지연검사 시간은 췌장암 결정에 적용될 수 있는 통계적 유의 수준을 보였다(p<0.05). 제안된 지연 검사 시간 131.5분을 결정하여 검사를 진행할 때, 췌장암 조기 판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췌장암 Dual Time Point PET/CT 검사에서 Scan Position Change의 유용성 평가 (Usefulness of Scan Position Change on Dual Time Point PET-CT in Pancreas Cancer)

  • 장보석;김재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99-305
    • /
    • 2016
  • 의료장비와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췌장암만 유일하게 기타 암질환과 비교하면 오진률이 높고 생존률이 낮은 질환이다. 따라서 췌장암은 조기 발견만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며 췌장암의 정확한 위치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Dual Point PET/CT 검사를 이용해서 췌장암의 조기 발견을 위한 최적의 Scan method를 제안하였다. PET/CT 검사의 Supine position에서 놓칠 수 있는 해부학적 영역을 환자의 position을 $0^{\circ}$, $30^{\circ}$, $45^{\circ}$, $60^{\circ}$ $75^{\circ}$ 변화에 따른 영상의 특징 및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90^{\circ}$ lateral recumbent position Scan에서 Pancreas tail 판별의 유용성을 발견하였다. Dual Point PET/CT 검사에서 상복부 특히 해부학적 구조상 췌장처럼 인접 장기와 중첩이 있는 경우, 췌장암이 의심될 때 PET/CT 지연검사에서 환자에게 충분한 수분섭취를 한 후 환자의 Position을 테이블과 수직 상태로 돌려 Lt 또는 Rt lateral Recumbent position 상태에서 PET/CT Scan을 시행하므로 위장, 간, 담낭 십이지장, 췌장 등의 장기를 이격시켜 해부학적 판별에 이점을 주는 검사방법 (JJ-Projection: lateral recumbent position scan)을 개발하였다. ROC curve 분석에서 JJ-Projection방법이 기존의 Supine scan 방식에서 얻은 영상보다 민감도가 95.2% 나타났다. 이것은 기존의 검사방식과 비교해볼 때 4.6 % 증가 하였다. 특이도는 87.5%로 6.9% 증가하였다. 조직검사로 생물학적 암으로 확정된 결과치와 비교해 볼 때 정확도는 94.1%로 기존 방식 86%에 비해 8.41 %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Dual Time Point PET/CT를 이용한 췌장암 판별 검사를 할 때 Delay scan에서 lateral recumbent position로 변경해서 Scan 하는 것이 기존의 일반적인 방법인 Supine position Scan보다 췌장암 조기 판별에 유용한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