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SR type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1초

기업 연상이 기업신뢰와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유형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Corporate Association on Corporate Trust and Attitude: Focusing on Comparison of Corporate Type)

  • 신범식;방광수;김유경;박종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87-101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 연상이 기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신뢰의 매개역할을 고찰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자들은 신뢰의 차원을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로 구분하고, 이러한 두 가지 신뢰가 감정적 신뢰를 매개로 기업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기업 능력 연상은 전문성 신뢰에, 사회적 책임 연상은 호의성 신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국내 기업과 해외 기업 모두에서 '기업 능력 연상 ${\rightarrow}$ 전문성 신뢰', '사회적 책임 연상 ${\rightarrow}$ 호의성 신뢰' 두 경로 간에 긍정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는 감정적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유형별 추가분석 결과에 의하면, 전문성 신뢰는 기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을 하였으나, 이러한 경로결과는 해외기업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기업의 유형에 관계없이, 기업에 대한 감정적 신뢰가 형성되면, 해당 기업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이 기업에 대해 연상을 하고 이러한 연상으로 인하여 해당 기업에 대한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두 가지 신뢰는 해당 기업에 대한 감정적 신뢰를 유발하고, 나아가 기업태도로까지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소비자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韓)·중(中) 소비자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the Formation of Trust: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Korean-Chinese Consumers)

  • 박종철;방광수
    • 소비문화연구
    • /
    • 제15권4호
    • /
    • pp.101-121
    • /
    • 2012
  •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에 대한 평가와 제품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고 있으며, 나아가 이들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고찰하고 있다. 기존 연구와 다르게 본 연구는 신뢰의 차원을 세 차원으로 구분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네 차원이 각각의 신뢰차원에 미치는 차별적인 효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의 인식차이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분석결과, 한국 소비자의 경우 기업의 경제적 책임활동은 정직성 신뢰, 전문성 신뢰, 호의성 신뢰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경제적 책임활동이 전문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정직성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법률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한국 소비자든 중국 소비자든 기업의 법률적 책임 활동은 정직성 신뢰와 전문성 신뢰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소비자들과 다르게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법률적 책임활동이 호의성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윤리적 책임활동이 신뢰형성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한국 소비자들의 경우, 기업의 윤리적 책임활동이 정직성 신뢰, 전문성 신뢰, 호의성 신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기업의 윤리적 책임활동이 전문성 신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끝으로 기업의 자선적 책임활동이 소비자 신뢰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모두 기업의 자선활동 노력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정직성 신뢰와 호의성 신뢰 모두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 소비자 모두에게서 기업의 자선적 책임활동 노력이 전문성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dental implants with micro-threads: a long-term retrospective study

  • Dong-Hui Nam;Pil-Jong Kim;Ki-Tae Koo;Yang-Jo Seol;Yong-Moo Lee;Young Ku;In-Chul Rhyu;Sungtae Kim;Young-Dan C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4권1호
    • /
    • pp.53-62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long-term cumulative survival rate (CSR) of dental implants with micro-threads in the neck over a 10-year follow-up period an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rvival rate of dental implant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based on radiographic and dental records. In total, 151 patients received 490 Oneplant® dental implants with an implant neck micro-thread design during 2006-2010 in the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Implant survival was evaluated using Kaplan-Meier analysis.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implant failure. Results: Ten out of 490 implants (2.04%) failed due to fixture fracture. The CSR of the implants was 97.9%,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SR between external-and internal-implant types (98.2% and 97.6%, respectively, P=0.670). In Cox regression analysis, 2-stage surger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implant failure (hazard ratio: 4.769, P=0.03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luencing factors, including sex, age, implant diameter, length, fixture type, location, surgical procedure, bone grafting, and restoration type.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micro-thread design of the implant neck was found to be favorable for implant survival, with stable clinical outcomes.

Clinical outcomes of rigid and non-rigid telescopic double-crown-retained removable dental prostheses: An analytical review

  • Seo, Jeong-Gyo;Cho, Jin-Hyu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1호
    • /
    • pp.38-48
    • /
    • 202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literature review was to analyze the cumulative survival rates (CSRs) of rigid and non-rigid double-crown-retained removable dental prostheses. MATERIALS AND METHODS. Screening of the literature published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19 was performed by using electronic data base (Pubmed) and manual search. The CSRs of rigid and non-rigid double crown removable dental prostheses were investigated. RESULTS. A total of 403 articles were reviewed and 56 relevant articles of them were selected. Subsequently, 25 articles were included for data extraction. These art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rigid and non-rigid type double crowns and further subdivided into teeth, implants, and teeth-implant combination types. The CSRs of rigid type double crown ranged from 68.9% to 95.1% of 5 to 10 years in tooth abutments, 94.02% to 100% over a 3-year mean observation periods in implant abutments, and 81.8% to 97.6% in tooth-implant combination. Non-rigid type double crowns had various CSR ranges from 34% to 94% maximum during 10 years observation in teeth abutment. The CSRs of non-rigid type had over 98% in implant abutments, and ranged from 85% to 100% in tooth-implant combination. CONCLUSION. The CSRs of double crowns varies according to types. With accurate evaluation of the remaining teeth and plan of the strategic implant placement, it could be successful treatment alternatives for partially or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Comparative Port Performance Analysis of Italian Ports

  • D'agostini, Enrico;Ryoo, Dong-Keun;Jo, So-Hyu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93-399
    • /
    • 2015
  • Recently, the fierce competitions in the shipping industry and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have heavily influenced ports' operational strategies. In order for port authorities to remain competitive at an international level and to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to develop National policies, ports are required to analyse and improve operations' efficiency. In this paper, the efficiency of 19 Italian ports in 2013, handling different types of cargoes, is assess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ith constant return to scale (CRS) and variable return to scale (V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Italian ports and evaluate whether differences in size and specialization of each port (or cargo handled) are directly correlated with ports' efficiency.

Condition assessment of raking damaged bulk carriers under vertical bending moments

  • Kim, Do Kyun;Yub, Su Young;Choi, Han Suk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6권5호
    • /
    • pp.629-644
    • /
    • 2013
  • This paper concerns about the raking damages on the ultimate residual hull girder strength of bulk carriers by applying the modified R-D diagram (advanced method). The limited raking damage scenarios, based on the IMO's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grounding accidents, were carried out by using sampling technique. Recently, innovative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condition assessment, which covers the residual strength and damage index diagram (R-D diagram), was proposed by Paik et al. (2012). This concept is applied in the present study and modified R-D diagram, which can be considered vessel size effect, is then proposed. Four different types of bulk carrier structures, i.e., Handysize (37K), Supramax (57K), Kamsarmax (82K) and Capesize (181K) by Common Structural Rule (CSR), were applied to draw the general tendency. The ALPS/HULL, intelligent supersize finite element method, was employed for the ultimate longitudinal strength analysis. The obtained empirical formulas will be useful for the condition assessment of bulk carrier structures. It can also cover different sizes of the bulk carriers in terms of ultimate longitudinal strength. Important insights and findings with useful guideline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Social Business in An Emerging Economy: An Empirical Study in Bangladesh

  • CHOWDHURY, Fatema Nusrat;MUSTAFA, Jasia;ISLAM, K.M. Anwarul;HASAN, K.B.M. Rajibul;ZAYED, Nurul Mohammad;RAISA, Tahsin Sharmil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931-941
    • /
    • 2021
  • The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B,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the emerging economy. Thereafter it highlights the types, principles, and funding cycle of SB with the evidence from Grameen Bank, which is a globally well-recognized microfinance venture in Bangladesh established by the Nobel Laureate Dr. Muhammad Yunus. This study employs qualitative analysis to illustrate an architectural overview of the SB model by collecting secondary data from various publications related to the topic and published data of Grameen Bank. Finally, this paper illustrates the SB model along with specified characteristics, systematic framework, and main approaches for sustainable context, which could be applied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SB in any context of the emerging econom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B model is the workflow having a hierarchy of five phases namely need identification, goal setting, solution-based business plan, business plan assessment, and business plan execution. Analyzing a range of social business interventions in a developing country, Bangladesh, through the lens of five key aspects demonstrates that social business is the most efficient way to sustainably maximize the social benefits and minimize specific social issues poverty of the people affected.

국내 500대 기업의 산림분야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의 유형과 추진방식 (The Types and Processes of Corporate Philanthropy Programs on Forestry in Korea 500 Companies)

  • 김재현;장주연;태유리;김해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16-826
    • /
    • 2010
  • 본 연구는 대한상공회의소에 등록되어 있는 매출액 기준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산림분야 사회공헌활동의 현황과 참여유형 및 추진방식을 조사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국내 500대 기업 중 75개 기업(15.0%)이 산림분야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고 있었으며, 75개 기업이 시행하고 있는 108개의 산림분야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자원봉사형(55.6%)과 숲조성 관리형(29.6%)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프로그램 추진 방식은 각 유형별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자원봉사형"과 "1회성 나무심기"의 경우, 기업 내 자원봉사조직을 중심으로 한 직접사업방식이 많은 반면, "숲조성 및 관리활동"과 "교육활동" 분야에서는 지자체, 정부기관, 비영리단체 등의 파트너십을 통한 공동사업방식을 주로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기부에 의한 1회성 나무심기 헌수 활동보다 임직원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한 정기적인 자원봉사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고, 기업의 사회공헌팀과 정부, 지자체, 시민단체 등 다양한 주체들간의 파트너십을 통한 도시림 및 생활림 조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국내 기업의 산림분야 사회공헌활동은 전략적 사회공헌활동 단계에 있으며, 이는 향후 교육활동형, 인재양성 및 일자리 창출형과 함께 지역사회투자활동(Corporate community investment)으로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병동간호업무 전산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구축;간호업무기록지를 중심으로 (Database Design in Ward Nursing Information System)

  • 나지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3-96
    • /
    • 1996
  • In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modern societ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information system which can systematically collect, manage and analyze data. Especially in the discipline of nursing, a nursing informarion system is necessary to maximize nursing resources and improve nursing care in the present system which is faced with increases in client needs and multiple changes in hospital environments. This research was done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ive nursing information system for the future, by designing dababases items which were extracted from an analysis of the ward nursing information system on general wards excluding the OPD, ICU, OR and CSR with functions using a different system from the wards, and the design of output screen used the database items. The ward nursing information system was analysed through analysis of nursing practice related to recordings, such as the worksheet, kardex, and other nursing practice recordings, on 25 wards. The development of the database was the part of the construction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used the database development life cycle which is related to the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The database development steps included selection of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design of a physical database following the principles of the order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been developing at Y University Hospital. Conceptual database and Logical database were designed using the base of 25 data items and fields derived from analysing the worksheet, the data items and fields derived from the kardex and other nursing practice recording, from these 19 data base tables were framed through transforming the relational database. Through this process, four types of output material for nursing practice recording which nurses can carry and use during their nursing practice were produced.

  • PDF

국유림 경영제도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mander's Consciousness of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System)

  • 박경석;이성연;최수임;김현식;정세명;안기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80-390
    • /
    • 2010
  • 본 연구는 국유림 경영제도(공동산림사업 및 국민의 숲 제도)에 대한 수요자의 인지정도 및 참여의사, 제도에 대한 중요성 정도, 제도 참여에 대한 원하는 수혜, 국유림 역할에 대한 중요도, 제도의 목적달성도 등 변수 측정을 통해 국유림 경영제도에 대한 수요자의 의식 차이를 규명하고 동시에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국유림 경영제도의 수요자인 제도 미참여 환경단체(158, A Type), 제도 참여 환경단체(181, B Type), 사회 공헌활동 관련 환경백서를 발간하는 기업(169, C Type), 지자체(249, D Type)의 4 Type으로 분류하였다. 조사 결과, C Type의 62.7%는 제도에 참여할 의사를 나타냈고, 참여 희망분야는 나무심기와 숲 가꾸기(56.2%) 등 직접 참여를 선호하였다. 참여 의사가 없는 37.3%는 산림을 활용한 사회공헌보다는 타 분야 사회공헌활동의 이점이 더 크기 때문(72.2%)에 국유림 활용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단, 다양한 국유림 관련 시설(사원 연수 등)이나 산림청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책이 제공된다면 산림을 활용한 사회적 참여를 고려하겠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A Type의 61%는 국유림 경영제도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를 활용하지 않은 주요인으로 참여장소의 확보문제, 현지 참여에 대한 번거로움을 제시하였고, D Type은 국민의 숲 제도(3.69)의 산림휴양 교육 문화시설(4.15), 산림레포츠의 숲(3.90) 참여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경기/강원권 지자체에서는 체험의 숲을, 전라/충청권 및 경상권 지자체에서는 산림레포츠 숲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수요자 의사를 반영하는 국유림 경영제도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참여대상, 범위를 확대하는 법적 요건의 정비, 기업의 사회공헌요구에 의한 자발적 참여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방안, 제도 운영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담 비정부 전문기관의 설립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