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SF2

검색결과 591건 처리시간 0.031초

형질전환된 담배 세포 현탁배양을 이용한 hGM-CSF 생산에서 ultrasound가 미치는 영향

  • 명현종;이기용;김동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284-28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hGM-CSF를 생산하는 형질전환된 담배세포배양에서 ultrasound가 세포생장과 hGM-CSF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의 생장은 ultrasound에 노출된 직후 약간의 저해를 보이지만 2일후에 정상의 세포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hGM-CSF는 ultrasound에 노출된 직후 증가하고 그 이후 감소하다 배양후반에 증가를 보였다. 세포내부에서 생산되는 hGM-CSF는 ultrasound 처리 이후 전반적으로 대조구보다 많이 생산됨을 보였다. 총 생산된 hGM-CSF는ultrasound에 노출 시킨 배양 6일째 $34.9\;{\mu}g/L$로 최대였으며 대조구보다 31.5%의 증가를 보였다.

  • PDF

Secretory Production of hGM-CSF with a High Specific Biological Activity by Transgenic Plant Cell Suspension Culture

  • Kwon, Tae-Ho;Shin, Young-Mi;Kim, Young-Sook;Jang, Yong-Suk;Yang, Moon-Si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8권2호
    • /
    • pp.135-141
    • /
    • 2003
  • The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hGM-CSF) gene was introduced into tobacco plants. The cell suspension culture was established from leaf-derived calli of the transgenic tobacco plants in order to express and secrete a biologically active hGM -CSF. The recombinant hGM-CSF from the transgenic plant cell culture (prhGM-CSF) was identified as a yield of about 180 ${\mu}$g/L in the culture filtrate, as determined by ELISA. The addition of 0.5 g/L polyvinylpyrrolidone (PVP) to the plant cell culture medium both stabilized the secreted prhGM-CSF and increased the level of production approximately 1.5-fold to 270 ${\mu}$g/L.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prhGM-CSF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proliferation of the hGM-CSF-dependent cell line, TF-1. Interestingly,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prhGM-CSF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7 times higher than that of a commercially available preparation from E. coli.

Contractile Effects of Hemoglobin-Free Human Cerebrospinal Fluid on Isolated Porcine Cerebral Arteries

  • Baik, Yung-Hong;Kang, Seon-Young;Kook, Hyun;Chyung, Sang-Keun;Kook, Young-Johng;Kang, Sam-Su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2호
    • /
    • pp.193-199
    • /
    • 1998
  • To elucidate the mechanism involved in the cerebral vascular spasm following subarachnoid hemorrhage (SAH), the effects of the cerebrospinal fluid (CSF) obtained from the SAH patients on the resting tension and its influence on the contractile responses to various vasoactive agents and to hypoxia were investigated in isolated porcine cerebral arteries. All the CSFs containing hemoglobin (Hb) produced contraction and some Hb-free CSFs also elicited contraction. When the Hb-free CSF was separated by microfilter, the filtrate of <30,000 MW did not produce contraction, while the fraction above 30,000 MW elicited more marked contractile responses than the unfractionated CSF. The CSF contraction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in the presence of indomethacin or nimodipine, whereas the contractions induced by KCl, prostaglandin $F_{2{\alpha}}$ ($PGF_{2{\alpha}}$), or endothelin-1 (ET-1) were not affected by the CSF pretreatment. However, the contractile responses induced by 5-hydroxytryptamine (5-HT) and phenylephrine (PE) were markedly potentiated by the pretreatment. Hypoxia-induced vasoconstriction was significantly potentiated by the pretreatment with either unfractionated CSF or the CSF fraction of above 30,000 MW.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known vasocontractile substance(s) exists in the Hb-free CSF and that the substance, with its MW above 30,000, is activated by hypoxia and acts synergistically with 5-HT and PE, and that extracellular calcium influx and cyclooxygenase are also involved in the cerebral vasoconstrictory effect of Hb-free CSF.

  • PDF

A2B Adenosine Receptor Stimulation Down-regulates M-CSF-mediated Osteoclast Proliferation

  • Oh, Yoon Taek;Lee, Na Ky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4-200
    • /
    • 2017
  • Bone-resorbing osteoclasts play a major role in maintaining bone homeostasis with bone-forming osteoblasts. Although it has been reported that A2B adenosine receptor (A2BAR) regulates osteoclast differentiation, its effects on apoptosis or proliferation of osteoclasts have been less-defined. Here, we demonstrate that A2BAR stimulation regulates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mediated osteoclast proliferation. Stimulation with a specific agonist of A2BAR, BAY 60-6583, significantly reduced M-CSF-mediated osteoclast proliferation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A2BAR stimulation induced both apoptosis of the cells and cell arrest in the G1 phase with a decrease of cell number in the G2/M phase. Stimulation with BAY 60-6583 inhibited the activation of Akt by M-CSF, whereas M-CSF-induced ERK1/2 activation was not affec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hibition of M-CSF-mediated Akt activation by A2BAR stimulation increases apoptotic response of osteoclasts and induces cell cycle arrest in the G1 phase, thus contributing to the down-regulation of osteoclast proliferation.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혈장내 G-CSF와 GM-CSF의 농도 및 과립구에서의 이들 수용체의 발현 (Plasma G-CSF and GM-CSF Concentrations and Expression of their Receptors on the Granulocyte in Children with Leukocytosis)

  • 최원석;유경환;김유정;김소영;김현희;이원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3호
    • /
    • pp.271-276
    • /
    • 2003
  • 목 적 : G-CSF와 GM-CSF는 과립구생성에 중요한 사이토카인으로서, 각각의 수용체 G-CSFr과 GM-CSFr에 결합하여 기능을 하게 되며, 이들 수용체들은 미성숙 골수 세포로부터 성숙 된 말초 과립구까지 발현된다. 일반적으로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 및 이들 수용체의 발현은 과립구가 증가하는 감염질환에서 변화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백혈구 증가증에서 과립구수 증가와 관련된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백혈구 증가증 환아와 정상아의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를 측정하고 말초혈액의 과립구 표면에 존재하는 이들의 수용체를 정량분석하였으며, 활동성이 있는 수용체 발현 양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를 분석하여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과립구 수 증가와 G-CSF와 GM-CSF 및 이들 수용체 변화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상 대조군으로서 비감염성 질환으로 입원한 같은 연령대의 아동 중 말초혈액 백혈구 수 및 중성구 수가 정상인 아동 13명과 급성기 초기의 백혈구 증가증 환아 14명, 총 27명의 혈중 G-CSF와 GM-CSF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세포표면 G-CSFr와 GM-CSFr의 발현양은 각각 항 G-CSF 수용체 단 클론항체, 항 GM-CSF 수용체 단클론항체와 혼합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활동성 G-CSFr, GM-CSFr의 양적변화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총 백혈구 수는 $24,100{\pm}6960/{\mu}L$로 정상 대조군 $8,680{\pm}378/{\mu}L$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중성구 수는 백혈구 증가증 환아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20,800{\pm}2120/{\mu}L$ vs $3,360{\pm}2,120/{\mu}L$) 단구수는 차이가 없었다. 혈중 G-CSF의 농도 $164.0{\pm}187.5pg/mL$는 정상 대조군 $71.9{\pm}94.1pg/mL$과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217) 혈중 GM-CSF의 농도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968).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중성구의 G-CSFr 발현양 $963.6{\pm}575.7$은 정상대조군 $1711.1{\pm}452.6$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12), 백혈구 증가증 환아의 중성구의 GM-CSFr의 발현양 $471.7{\pm}217.0$은 정상 대조군의 $854.8{\pm}383.0$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20). 항 G-CSFr항체는 수용체가 G-CSF와 결합하고 나면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는 epitope에 대한 항체로 보여지며, 수용체를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과량의 CSF와 배양시킨 후 포화농도에도 결합하지 않은 수용체의 양을 측정하면 남은 수용체 즉, 활동성 수용체 수는 감소하게 되는데, 백혈구 증가증 환아에서 과량의 G-CSF에 배양한 후 감소된 중성구 G-CSFr의 발현양은 $407.8{\pm}405.1$로 정상 대조군의 $1,012.2{\pm}488.5$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50), 혈중 G-CSF 농도 및 혈중 GM-CSF 농도와 무관하였다(P=0.735, P=0.087). 백혈구 증가증 환아와 정상대조군에서 수용체를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과량의 GM-CSF에 배양한 후 중성구의 GM-CSFr의 발현양을 분석한 결과는 발현이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증가된 중성구의 GM-CSFr의 발현 양은 정상아 및 백혈구 증가증 환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828). 결 론 : 백혈구 증가증에서는 중성구 수 증가에 의하여 총 백혈구 수가 증가되고 혈중 G-CSF의 농도는 중성구 증가의 원인으로 생각되며 G-CSFr과 결합하여 백혈구 증가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GM-CSF 농도 및 GM-CSFr은 백혈구 증가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유전자 재조합 인간의 G-CSF의 생리활성과 EGFP-hG-CSF유전자가 도입된 체세포의 분리 (Biological Activity of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and Isolation of the Somatic Cell Transfected EGFP-hG-CSF Gene)

  • 박종주;민관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12-917
    • /
    • 2008
  • 유전자재조합 hG-CSF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편상의 암세포로부터 분리되어진 cDNA를 이용하여 hG-CSF 유전자를 분리하여 동물세포(CHO cell lines)를 이용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였다. 재조합 단백질의 체내 생리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0일과 2일에 피하주사 후 5일에 혈액을 채취하여 백혈구 수를 분석하였다. 투여 전과 비교하여 5일째에 백혈구 수는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pEGFP-mUII-hG-CSF벡터를 소 태아로부터 분리되어진 체세포에 형질전환을 시켜서, EGFP signal을 나타내는 세포를 confocal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수립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유전자재조합 hG-CSF는 체내에서 강력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당쇄가 첨가되어지고 이중으로 연결되어진 새로운 돌연변이체를 포함하여 고 활성 재조합체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pEGFP-mUII-hG-CSF벡터는 복제 형질전환 가축 생산을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Sodium Arsenite ($NaAsO_2$)가 G-CSF에 의해 neutrophilic granulocyte계열 세포로 성장, 분화가 촉진된 골수 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dium Arsenite ($NaAsO_2$)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Cell Stimulated by G-CSF to Neutrophilic Granulocyte Lineage Cells)

  • 한성수;박재현;정혜주;김영옥;정승태;김진호;최경백;강선경;조대현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255-261
    • /
    • 2000
  • To investigate what kinds effect arsenic exert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cells to the neutrophilic granulocytes lineage cells, we treated sodium arsenite to murine bone marrow cells without or with the stimulation of G-CSF. When we added the various concentrations oj sodium arsenite to bone marrow cells without the stimulation of G-CSF for I, 3, 5 or 7 days, sodium arsenite did not make an any effect up to 2.5 $\mu\textrm{M}$$\mu\textrm{M}$$\mu\textrm{M}$$\mu\textrm{M}$$\mu\textrm{M}$$m\ell$ of G-CSF was induced by the co treatment of 12.5 $\mu\textrm{M}$

  • PDF

재조합 인간 GM-CSF의 수용체에 관한 연구

  • 이부연;최상운;이정옥;공재양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48-148
    • /
    • 1993
  • 본 실험에서는 유전자 재조합으로 제조한 [$^{125}$ I]-labeled human GM-CSF을 사용하여 GM-CSF의 HL-60 (promyelocytic leukemic cell)의 표면에 존재하는 GM-CSF의 수용체의 특성을 알고 GM-CSF의 수용체에 어떤 parameter로 결합하는지를 밝히고 나아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전자 재조합으로 제조된 Prokine(Sargramostim)과 Lucky에서 제조된 GM-CSF (LDB-005)의 수용체에 대한 결합율을 측정,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보면 유전자 재조립으로 제조된 Human[$^{125}$ I] GM-CSF가 HL-60 cell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표면수용체에 saturable하게 결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scatchard analysis 결과한 종류의 GM-CSF의 K3값은 2.03$\times$$10^{9}$/M로($IC_{50}$/=~493pM) 세포당 결합부위의 수는 75개 정도로 J. DiPersio et al과 Linda S. Park et al.의 보고와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 PDF

대장균에서 증식속도 조절에 의한 수용성 재조합 인간 과립구 콜로니 촉진인자의 생산 (Production of Soluble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in E. coli by Control of Growth Rate.)

  • 박세철;고인영;강희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1
    • /
    • 2004
  • 인간 과립구 성장인자(hG-CSF)는 골수에서 생산되는 단백질로 호중구의 분화 및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재 재조합 hG-CSF는 암화학요법에 의한 호중구감소증, 골수이식시 호중구 감소증, 재생불량성 빈혈에 수반되는 호중구 감소증 등으로 적응증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mpA signal sequence를 삽입하여 인간 과립구 성장인자(hG-CSF)가 분비발현되도록 고안된 T7 promoter 에 의하여 발현되는 pYRCl 발현백터를 제조하였다. E. coli BL2l (pYRCl) 발현시 $37^{\circ}C$에서 배양하는 경우 많은 양의 봉입체(aggregates)를 형성한다. 이에 비하여 $10\mu$M ucose를 포함하는 변형된 MBL배지에서 10 g/$\ell$IPTG를 유도물질로 7시간동안 $25^{\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전체 periplasm단백질의 15%가 soluble rhG-CSF이었다. 또한, 유가식 배양방법을 사용하여 E. coli BL2l(pYRCl)에서 soluble rhG-CSF의 생산조건을 조사하였다. 유가식 배양에서 rhG-CSF의 발현량이 비증식속도를 $0.43 h^{-1}$ 에서 0.14 $h^{-1}$ 으로, 유도 배양시간을 최적화함으로써 rhG-CSF의 발현량이 4.4mg/$\ell$에서 24mg/$\ell$ 로 증가하였다.

40MHz의 대역폭과 개선된 선형성을 가지는 Active-RC Channel Selection Filter (Active-RC Channel Selection Filter with 40MHz Bandwidth and Improved Linearity)

  • 이한열;황유정;장영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395-240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40MHz의 대역폭과 개선된 선형성을 가지는 active-RC channel selection filter (CSF)가 제안된다. 제안되는 CSF는 5차 butterworth 필터로써 한 단의 1차 low pass 필터와 두 단의 biquad 기반의 2차 low pass 필터, 그리고 DC offset 제거를 위한 DC 피드백 회로로 구성된다. CSF의 선형성을 개선하기 위해 스위치로 사용되는 MOSFET의 body를 source 노드로 연결한다. 설계된 CSF의 대역폭은 10MHz, 20MHz, 그리고 40MHz로 선택될 수 있으며, 전압 이득은 0dB에서 24dB까지 6dB의 단위로 조정된다. 제안된 CSF는 1.2V 40nm의 1-poly 8-metal CMOS 공정에서 설계된다. 설계된 CSF가 40MHz의 대역폭과 0dB의 gain을 가질 때, OIP3는 31.33dBm이고 in-band ripple은 1.046dB, IRN는 39.81nV/sqrt(Hz)로 시뮬레이션 검증되었다. CSF의 면적과 전력소모는 각각 $450{\times}210{\mu}m^2$와 6.71mW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