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B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초

Experimental Study on Fire Hazard of Residential Fires Before and After Sprinkler Activation

  • Sekizawa, Ai;Yanai, Eiji;Takemoto, Akio;Kozeki, Daisuke;Suzuki, Keiko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376-383
    • /
    • 1997
  • Fi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real scale room which is assumed to be a residential living room under the various opening conditions and locations of wood crib fire source to study on fire hazard before and after sprinkler activation. Concentrations of oxygen and carbon monoxide, smoke density, and temperature were measured to look into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room of fire origin. The response time of residential sprinklers was also examined in relation to distance between sprinkler heads and a fire source.

  • PDF

제품생산을 위한 공구이송장치의 이용횟수 최소화 (Minimizing the number of tool transporter's movements for processing parts)

  • 송창용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3권54호
    • /
    • pp.45-5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공구이송장치(Tool Transporter)의 이용횟수를 최소화하는 공구교환문제(Tool Switching Problem)를 다룬다. 한 기계에서 생산해야 하는 제품들이 요구하는 공구의 총수가 기계에 장착할 수 있는 공구의 수보다 많은 경우 각 제품을 생산할 때마다 공구이송장치를 이용한 공구교환이 필요하다. 공구저장소(Tool Crib)와 기계간에 한 번에 이송할 수 있는 공구의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공구이송장치의 이용률에 따라서 기계의 생산성이 크게 달라진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공구이송장치의 능력을 배제하고 공구교환횟수만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구이송장치의 이용횟수의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하는 공구교환문제를 수리적으로 모형화하고 이 문제에 대해 기존의 최적 공구교환방법을 적용하여 얻어지는 해는 최적해를 보장할 수 없다는 점과 공구가 필요한 시점보다 먼저 장착하는 경우(Early Insertion)를 고려할 때 기존 방법에 의한 해보다 좋은 해를 얻을 수 있다는 특성을 간단한 예를 통하여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공구교환방법을 제시하고 다양한 유형의 예제를 통하여 기존의 방법과 비교한다.

  • PDF

2011-2012년 인플루엔자 국내 유행시기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집단발병 (Influenza A Outbreak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During the 2011-2012 Influenza Season in Korea)

  • 손옥성;오지은;공섬김;정유진;홍유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2호
    • /
    • pp.87-93
    • /
    • 2016
  • 목적: 신생아 중환자실(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집단 발병의 보고는 흔하지 않으며 그 증상은 다양하다. 저자들은 국내 단일기관 NICU에서 발생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집단발병에 대해 보고하고 신생아 특히 미숙아에서의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2012년 국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유행 시기에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NICU에 입원한 환자들 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T-PCR 검사를 시행한 29명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중 11명에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양성이었는데(37.9%), 모두 미숙아였고 이들 중 3명(27%)은 증상이 없었으며 상기도 감염 증상 없이, 발열(18%, 2/11), 호흡곤란(72.7%, 8/11), 소화기 증상(27.3%, 3/11)이 있었다. 증상 소실까지 기간의 중앙값은 5일이었다. 이들은 모두 합병증 없이 생존하여 퇴원하였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T-PCR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에 검체 채취시 재원기간, CRIB 점수, 기계환기 과거력, 덱사메타손 사용 과거력의 차이가 있었다. 결론: 신생아 특히 미숙아에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은 비특이적이므로 지역 내 인플루엔자 유행시기에는 NICU 입원 중인 신생아에서 감염질환의 원인 병원체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고려해야 한다.

미분무수 첨가제의 소화효과 비교 (Comparison of Fire Extinguishing Effects for Water Mist Additives)

  • 김승일;신창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3-28
    • /
    • 2013
  • In order to improve extinguishing performance of water mist, many studies of additives have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viscosity agent which has the ability to improve extinguishing performance by adhering to the surface on fire was used and fluorine-free surfactant was also added to water to enhance water's wetting ability. This study aimed to verify optimal concentration of extinguishing of additives according to fire source and extinguishing performance by comparison with pure water. In case of wood crib fire, the results show that flame suppression and extinguishing time of sodium alginate 0.4 wt.% are 3.4 times and 2.2 times shorter than those of pure water in 0.2 MPa respectively. It seems that large amount of water adhere to surface on fire, thus cooling effect on surface was enhanced. Also water consumption of sodium alginate 0.4wt.% is up to 65% lower than that of pure water. In case of heptane fire, extinguishing time of cocobetaine 0.1 wt.% is 9.7 times shorter than that of pure water in 0.2 MPa. It is thought that because cocobetaine can block oxygen and suppress oil mist by making emulsion film on fire surface due to a low surface tension. On the other hand, water consumption of cocobetaine 0.1 wt.% is 92% lower than that of pure water.

불활성 가스계 청정 소화약제의 방출 및 소화 (Discharge and Fire Extinguishing Test of Inert Gas Clean Agent)

  • 송은석;김재덕;박양원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9-36
    • /
    • 2005
  • 지구의 오존층 보호를 위한 몬트리얼의정서에 의해 생산과 사용이 규제되는 할론을 대체할 소화약제로 질소 $92\%$와 이산화탄소 $8\%$의 조성을 갖는 소화약제를 개발하여 방출 및 소화시험을 수행하였다. 방출 및 소화시험은 부피가$27m^3$$190m^3$인 모형을 제작하고 저장용기로부터 모형 내에 약제를 이송시키는 배관을 설치하여 수행하였다. 방출시험은 오리피스 직경, 배관길이 등을 변수로 법에서 규정된 시간인 60초 이내에 약제량의 $95\%$이상 방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소화시험은 n-헵탄을 연료로 하는 유류 화재와 목재를 사용한 심부 화재에 대하여 수행되었으며 방호구역의 크기나 배관의 길이에 상관없이 모두 우수한 소화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규모 실험에 의한 고체가연물의 화재특성 연구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Solid Combustible Materials Based on Real Scale Fire Test)

  • 김성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62-68
    • /
    • 2011
  • 본 연구는 고체가연물의 초기 점화 및 화재성장과정에서의 발열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가연물에 따른 화재성장특성 파악하고자 한다. 실험에 적용된 고체가연물은 단일/이중 목재크립, 단일/이중 쿠션, 카페트/목재크립이며 화재발달 단계에서 화재성장특성을 시간 제곱 화재성장 시나리오와 비교분석하고 고체가 연물의 화재성장 계수를 정량화 하였다. 고체가연물의 연소과정에서 소모되는 연료의 질량과 방출되는 총열에너지 개념을 이용하여 가연물의 평균 유효연소율을 평가하였으며 환기 및 화재조건의 영향을 분석하여 화재해석시 화재시나리오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안정해석을 통한 공동 일체식 옹벽의 최적높이 평가 (Evaluation on Optimal Height of the Bin Wall using Stability Analysis)

  • 배우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8-54
    • /
    • 2009
  • Structures to support against slop failures or resist earth pressure like masonry retaining walls or retaining walls have continued to advance and evolve to new eco-friendly, easy-to-construct, crib retaining walls with varied forms and construction methods,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Researches until now, however, have focused on the analyses of site displacement or stability of the whole site including structures like retaining walls, and thus, researches on rational design or method for stability analysis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number of stability analyses, such as the visual power line or stability on sliding, being presented for bin walls, which enable vegetation to grow and were developed and applied in varied forms, meeting the development demands for eco-friendly retaining wall structures. This study compared the results of stability analyses, determined their feasibility, and evaluated their stability according to the height and facade slope of retaining wal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raditional masonry retaining wall analysis showed rather conservative stability evaluation results in the stability evaluation of bin walls, and the method using the visual power line seems to be objective because it produced similar results to the stability evaluation method on sliding or turnover.

쏘일네일의 토압분담효과를 고려한 그린월 시스템의 설계 및 시공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Green Wall System considering Distribution Effect of Earth Pressure by Soil Nail)

  • 박시삼;조성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7
    • /
    • 2006
  • 1960년대 초 오스트리아에서 개발된 그린월(green wall) 공법은 독립식 콘크리트 보형식의 옹벽으로, 전, 후면 가로보와 세로방향으로 버팀보를 연속적으로 쌓아 올려 내부에 다짐성토를 시행, 구조체가 일체 거동하도록 강성벽체(rigid body)를 형성시키는 옹벽 구조물이다. 국내의 경우, 옹벽 전면 가로보 사이의 공간에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적 장점이 있어, 1999년 이후 국내실정을 고려 원지반의 토공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쏘일네일 등으로 보강하여 절토 공사현장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그린월 옹벽과 배면에 보강된 쏘일네일이 합벽시공될 경우, 네일에서의 토압분담효과 등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Rankine 토압으로 설계, 시공하여 이중으로 보강공사비용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ddot{a}$ssler(1988)가 제안한 'Two-Body Translation Mechanism(TBTM)'을 이용한 안정해석기법을 수정하여, 네일의 토압 분담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설계기법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계기법을 적용하여 그린월의 보수, 보강공사 비용을 상당부분 감소한 현장설계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계기법을 토대로 계산된 토압을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 검토해 보았다.

  • PDF

전면벽체 강성에 따른 그린월 시스템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Green Wall System due to Facing Rigidity)

  • 박시삼;김홍택;김승욱;김용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9-15
    • /
    • 2006
  • 그린월 공법은 독립식 콘크리트 보형식의 옹벽으로, 전, 후면 가로보와 세로 방향으로 버팀보를 연속적으로 쌓아 올려 내부에 다짐성토를 시행함으로써 구조체가 일체 거동하도록 강성벽체(rigid body)를 형성시키는 옹벽 구조물이다. 최근의 그린월공사는 원지반 절취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절토 공사현장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주로 앵커 및 쏘일네일 등과 함께 시공하는 추세이다. 이처럼 그린월과 함께 쏘일네일이 시공되는 경우에는 전면벽체의 강성이 크기 때문에 연성전면벽체의 경우 보다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증대가 예상되나 실제 설계에서는 이를 반영하지 않고 쏘일네일만 설계하므로 비경제적인 요소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린월과 같은 강성전면벽체와 쏘일네일 공법이 함께 시공되는 경우에 대하여 강성전면벽체로 인한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증대효과를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면벽체의 강성변화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증대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한계평형해석을 시행하여 그린월과 같은 전면벽체의 강성이 전체 활동에 대한 안전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Revisiting Apoplastic Auxin Signaling Mediated by AUXIN BINDING PROTEIN 1

  • Feng, Mingxiao;Kim, Jae-Yean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10호
    • /
    • pp.829-835
    • /
    • 2015
  • It has been suggested that AUXIN BINDING PROTEIN 1 (ABP1) functions as an apoplastic auxin receptor, and is known to be involved in the post-transcriptional process, and largely independent of the already well-known SKP-cullin-F-box-transport inhibitor response (TIR1) /auxin signaling F-box (AFB) ($SCF^{TIR1/AFB}$) pathway. In the past 10 years, several key components downstream of ABP1 have been reported. After perceiving the auxin signal, ABP1 interacts, directly or indirectly, with plasma membrane (PM)-localized transmembrane proteins, transmembrane kinase (TMK) or SPIKE1 (SPK1), or other unidentified proteins, which transfer the signal into the cell to the Rho of plants (ROP). ROPs interact with their effectors, such as the ROP interactive CRIB motif-containing protein (RIC), to regulate the endocytosis/exocytosis of the auxin efflux carrier PIN-FORMED (PIN) proteins to mediate polar auxin transport across the PM. Additionally, ABP1 is a negative regulator of the traditional $SCF^{TIR1/AFB}$ auxin signaling pathway. However, Gao et al. (2015) very recently reported that ABP1 is not a key component in auxin signaling, and the famous abp1-1 and abp1-5 mutant Arabidopsis lines are being called into question because of possible additional mutantion sites, making it necessary to reevaluate ABP1. In this review, we will provide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y of ABP1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