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PR education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2초

패드부착장갑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질 향상 연구 (A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ing Pad Attachment Glove)

  • 김예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89-295
    • /
    • 2019
  • 본 연구는 패드가 부착된 장갑의 유용성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은 G광역시에 위치해 있는 G대학교의 심폐소생술 강의를 이수한 응급구조과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2019년 4월 30일까지 시행하였으며,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패드부착장갑 착용 전보다 착용 후가 가슴압박총점수, 가슴압박수, 가슴이완율, 손위치정확도, 압박속도 영역에서 심폐소생술 질이 더 높게 나타남에 따라 패드부착장갑의 착용이 기존의 맨 손 심폐소생술보다 가슴압박질을 더 향상시키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심폐소생술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 및 실무 중심 프로그램을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of School Safety Education Utilization with Educational Game Elements

  • Kim Seung U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81-87
    • /
    • 2023
  • In order to create and utilize experiential equipment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in school safety education, this paper uses the Korean Safety Education Association's CPR simulator to utilize the elements of educational games: goals, rules, competition, challenge, fantasy, safety, and fun. When the content that combines game elements with general educational equipment was utilized in school education sites,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with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선상 의료교육의 만족도와 효과에 대한 분석 - 승선 전 선원 및 의료관리자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On-board Medical Education - For Crew and Medical Managers before Boarding -)

  • 이창민;박태현;최병관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91-298
    • /
    • 2018
  • 본 연구는 선상 의료교육의 도움정도가 선원 및 의료관리자에게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효과성의 측정치로 의료교육을 받고나서 느끼게 되는 선원 및 의료관리자의 주관적 평가인 만족도를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기간은 2015년 10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약 2년 6개월 동안이었고, 총 310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표본으로 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 회귀분석 시 설문문항의 추가 및 수정으로 인해 96개의 표본만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상 의료교육의 도움 정도(외상교육의 도움정도, 간호관리 교육의 도움정도, 심폐소생술 교육의 도움정도, 전반적인 교육내용의 도움정도)와 통제변수(총 승선경력, 연령, 최종학력, 교육년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려고 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i) 외상교육의 도움정도가 높을수록 만족도는 높았다, ii) 전반적인 교육내용의 도움정도가 높을수록 만족도는 높았다, iii) 심폐소생술 교육의 도움정도가 높을수록 만족도는 높았다. iv) 총 승선경력이 많을수록 만족도가 낮았다, v)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만족도는 높았다.

보건교사의 응급처치 교육 필요도 및 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Needs and Demands for First Aid Education of School Health Educator)

  • 최욱진;조근자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41
    • /
    • 2008
  • Purpose : With increasing number of school accidents, it is crucial to find out necessity of first aid training among school health educato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have an clear idea on the demands and necessity for first aid training and what kind of training is most required from school health educator. Method :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from 87 school health educator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ealth educator in the city D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arned out from May 26, 2008 to June 7, 2008 and from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paired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onducted with SPSS 14.0. Result: 1. 51.61 % of nurse-teachers experienced emergency situation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necessity they felt from experiencing those situations and demands for first aid training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t=1.87, p= .175). 2. Necessity and demands for the first-aid training were checked with three point scale and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with $2.44{\pm}.47$ and $2.24{\pm}.47$ respectively(t=3.275, p= .000). 3. 86.20%(75 persons) of the respondents have had received first aid training and the training they received were CPR 82.75%(72 persons), primary survey 81.60%(7l persons), contact to 911 79.30%(69 persons) and wounds treatment(lacerated wounds, bum and chilblains) 75.86%( 66 persons) in order. 4. As for the questions that ask on confidence of first-aid treatment, 80% answered they are confident on some limited kinds of treatments, 16% said they are confident and 4% answered they lack confidence. As for the treatment that they can show the highest confidence, wounds treatment topped the list with 93.24%, nose bleed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 and stanching followed the list with 82.43% and 81.08% respectively. 5. 97.67% of respondents said they were willing to take training and 89.62% answered to take the training to deal with emergency situations that are taking place in their schools. As for the question that asks for the most wanted treatments, CPR topped the list with 32.18%(28 persons) and treatment for obstruction of airway and shock followed the list with 35.63%(31 persons) and 27.59%(24 persons). Conclusion : Currently, first aid treatment has been centered on CPR, primary survey, contact to 119 and wounds treatment. However, since most of school health educator are fairly confident with wounds treatment, stanching and other first aids, in future training it will be more desirable to focus on CPR and treatment for obstruction of airway and shock that were shown to be most wanted by school health educator.

  • PDF

스마트 러닝을 활용한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pea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using Smart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y.)

  • 김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61-269
    • /
    • 2018
  • 본 연구는 스마트 러닝을 활용한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지 6개월이 지난 간호대학생으로 총 102명이었다. 심폐소생술 재교육을 스마트 러닝, 강의식 교육, 실습교육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부터 12월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2$-test, t-test,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심폐소생술 재교육 후 지식은 강의식 교육이 스마트 러닝과 실습 교육보다 높았고, scheffe의 사후검정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8.23, p=<.001). 자기효능감은 실습교육이 스마트 러닝과 강의식 교육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2.46, p=.091). 수행능력은 실습교육이 가장 높았으며, 스마트 러닝과 강의식 교육 순으로 나타났으며, scheffe의 사후검정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59.90,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간호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재교육을 위해서는 복합적인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고등학교 남학생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전통적교실학습과 영상자가학습의 교육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Traditional Classroom Instruction and Video Self-instruction (VSI)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in Boy's High School Students)

  • 박상섭;백홍석;안주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1호
    • /
    • pp.13-24
    • /
    • 2011
  • 본 연구는 고등학교 남학생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전통적교실학습과 영상자가학습의 교육효과를 통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에 효과적인 교육방법 선택에 도움을 주며,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도 소재 G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두 반의 학생으로 1개 반은 실험군, 1개 반은 대조군으로 임의 배정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폐소생술 교육 전 후 지식 차이는 대조군(2.38)이 실험군(2.32)에 비해 높게 증가하였지만, 태도 차이는 실험군(2.18)이 대조군(2.06)에 비해 높게 증가하였다. 지식과 태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심폐소생술 교육 전 후 자신감 차이는 실험군(2.40)이 대조군(2.01)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술기수행 정확도 차이도 실험군(2.67)이 대조군(2.54)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심폐소생술의 자신감, 술기수행 정확도에서 영상자가학습이 전통적교실학습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영상자가학습 교육 방법을 심폐소생술 교육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심폐소생술 시 구조자의 hand technique에 따른 가슴압박의 질 및 피로도 비교 (Comparisons of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and fatigue levels of the rescuer for different hand techniques used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박유진;정지원;김병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7-81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compression quality and fatigue levels in a rescuer for three different hand techniques used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paramedic students at the basic life support provider level. The hands-only CPR was performed for 10 minutes for each of the three hand techniques without disruption, and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s and fatigue level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in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and the physiologic parameters before and after compression. Among the quality indexes of chest compression with each of the techniques performed for 10 minutes, the mean depth (p<.01) and mean accuracy (p=.000) of the compression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five finger fulcrum technique, while the mean compression rate and relaxation accurac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fatigue levels, the five finger fulcrum technique caused lesser subjective fatigue as compared to other techniques (p<.05), although the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revealed no difference. Conclusion: The five finger fulcrum technique was found to be better than the other techniques in terms of chest compression quality and subjective levels of fatigue, indicating that it should be used in CPR education.

간호대학생의 영아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관계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about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to Infan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강지순;오재우;이미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91-10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영아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수행자신감의 정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은 3개 대학의 3학년 간호대학생 15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 작성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Win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지식과 수행자신감(r=0.45, p=<.001), 태도와 수행자신감(r=0.35, p=<.001)의 관계가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이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기도폐쇄나 심정시 상황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심폐소생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정확한 지식, 긍정적인 태도,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영아심폐소생술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성인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지, 교육경험이 그 시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warenes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Ability to Execut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Korean Adults)

  • 이재광;김정우;김건일;김근형;김동필;김유리;문성균;민병주;유화영;이채림;정원영;한창훈;허인호;박정희;이무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4호
    • /
    • pp.234-249
    • /
    • 2018
  • 이 연구는 심폐소생술의 인지, 교육경험, 시행능력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인구학적요인, 지역적 요인, 의료 현황, 교육적 경험 등이 심폐소생술 시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4년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했다. 이 자료는 대한민국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2014년 7월 기준 시, 군, 구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중, 조사에 참여한 228,712명에서 보건소별로 평균 900명(목표오차 ${\pm}3%$)으로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해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R 통계프로그램 3.1.3.을 사용하여 카이제곱검정, 상관분석,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등으로 이루어졌다. 심폐소생술의 시행능력은 남성에서(3.34배), 젊은 층에서(1.06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1.61배), 화이트 칼라 직업일수록(1.14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1.07배), 급만성질환 및 사고중독의 비경험자일수록(0.91배), 고혈압 비진단자 일수록(1.12배), 당뇨병 비진단자 일수록(1.16배, 이상지질혈증 비진단자 일수록(0.86배), 뇌졸중 비진단자 일수록(1.54배), 주관적 건강이 높을수록(1.08배, 1.16배), 비고령사회일수록(0.90배), 심폐소생술 교육경험이 높을수록(3.25배), 심폐소생술 마네킹 실습경험이 있을수록(4.30배) 유의하게 더 높았다. 분석결과, 개인 및 지역사회 요인과 심폐소생술 인지, 교육경험 등은 심폐소생술 시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환경에 적합한 심폐소생술 교육정책 마련에 적극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병원 전단계 심폐소생술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구급차 내에서의 심폐소생술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s in Ambulance)

  • 신소연;김지희;김경용;강신우;방성환;윤종근;노상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04-111
    • /
    • 2014
  • 이 연구는 소방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에 의해 시행되는 구급차 내 심폐소생술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관할 780명으로 2012년 보수교육 종료 후 설문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일반적 특성, 가슴압박 방법(한 손 가슴압박 VS 두 손 가슴압박), 심폐소생술 방법(표준심폐소생술 VS 가슴압박소생술) 등에 대하여 Chi-square test,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한 손을 이용한 가슴압박 14.0%, 두 손을 이용한 가슴압박 86.0%를 보였고, 표준심폐소생술(가슴압박 VS 인공호흡)은 28.3%, 가슴압박소생술 71.7%를 보였다.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을 위해서는 심정지 환자의 구급 출동만이라도 운전자 포함 3명 이상의 응급구조사가 출동할 수 있도록 탄력적인 인력 운영 방안이 필요하며, 역량 강화를 위한 심폐소생술의 정기적인 교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