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ON OF NATURAL HABITAT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3초

제주도에서의 외래종 돼지풀잎벌레 분포 및 외래종 돼지풀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방제 대상종으로의 활용 가능성 (The Distribution of the Exotic Species, Ophraella communa LeSage (Coleoptera, Chrysomelidae) and Their Applicability for Biological Control against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L. on Jeju Island)

  • 김도성;오기석;이영돈;이수영;이희조;김현정;김동언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437-445
    • /
    • 2017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외래종 돼지풀잎벌레의 분포와 생태계 교란식물인 돼지풀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야외조사와 최근에 연구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에서 돼지풀잎벌레는 기주식물인 돼지풀이 있는 모든 곳에서 관찰되었으며, 기주식물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강하고, 다화성으로써 온도에 대한 내성과 비행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연구되었다. 돼지풀은 제주특별자치도 전역에 이미 광범위하게 퍼져 있고 점차 서식지를 넓혀 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돼지풀 제거를 위해서 돼지풀잎벌레를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특히 제주도와 같이 천연보호구역이 많고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감안하면 돼지풀을 제거하기 위하여 농약이나 직접 제거보다는 돼지풀잎벌레를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내 초령목 개체군의 분포특성과 보전지위평가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and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Michelia Compressa on Korea)

  • 김종갑;김대신;김수경;정현미;송영기;손성원;고정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82-191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희귀 및 멸종위기야생식물 II 급인 초령목의 자생지에서의 분포와 생육 특성을 파악하고 보전지위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초령목은 흑산도와 제주도에서 자생지가 확인되었는데, 4개의 개체군으로 구분되었다. 자생지에서 314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약 45.9%(144개체)가 해발고도 401m~500m 범위에 분포하였다. 수고는 평균 2.7(±4.8)m였으며, 흉고직경은 12.6(±13.9)cm였고 분지는 평균 1.0(±0.5)개로 나타났다. 초령목의 어린나무 개체들은 어미목에서 반경 30m 이내에 54.3%가 분포하였고, 31m~40m 사이에서 25.8%가 분포하였으며, 반경 60m 이내에 대부분(90.1%)이 확인되었다. 초령목의 어린나무 개체들이 일부 성숙목 주변에서도 확인되지 않고, 극히 한정된 지역에서만 출현하는 것은 자생지 환경뿐만 아니라 생육조건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령목의 종자 산포는 천연하종과 더불어 조류가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천연하종의 범위 이상에서 발견되는 자생지는 조류가 쉴 수 있는 물웅덩이가 근처에 존재하는 공통적인 특징을 지녔기 때문이다. 초령목의 지역 및 국가수준의 IUCN 적색목록 평가기준의 범주는 위급(Critically Endangered) 범주에 해당하며 국내 개체군은 "CR B2ab(v); C2a(i); D" 범주로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 이론에 대한 검토 및 제언 (A Review of Ecological Niche Theory from the Early 1900s to the Present)

  • 구경아;박선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6-33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 지위 이론(개념과 정의)의 시대별 변화를 검토하여 이를 바탕으로 동식물의 서식지 관련 연구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00년대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국내·외 생태적 지위에 대한 시대별 주요 논의 동향을 검토하고 분석·정리하였다. 생태학이 발달한 미국, 유럽 등에서는 생태적 지위 이론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가 190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900년대 초를 생태적 지위 개념이 태동한 시기라고 한다면 1900년대 중반은 개념이 성장한 시기고, 1900년대 중반에서 후반까지는 개념이 고도화된 시기다. 이렇게 고도화된 개념은 2000년대 접어들어 다양한 기술과 연구 방법 및 분야의 발달에 따라 적용 분야에 따라 다양화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면, 한 종의 생태적 지위를 정의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1) 대상종의 개체군 동태, 2)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든 생물적 환경 조건(먹이망 상의 먹이 관계와 물질 흐름), 3)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든 비생물적 환경 조건(물리적 환경 조건), 4) 대상종과 생물, 비생물 환경 인자와 이들 환경 인자 간의 모든 직·간접적 상호작용, 5) 대상종의 이동 능력이나 유전적 다양성과 변화에 의한 적응력 등을 포함하는 대응 및 적응 메커니즘 등이었다. 국외의 상황과 달리 국내에서는 생태적 지위에 대한 충분한 이론적, 철학적, 실증적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린넬, 엘튼, 허친슨에 의해 제시된 개념과 정의가 선택적으로 일부만 소개되거나, 용어에 관한 설명 없이 단순히 차용되고 있었다. 생태적 지위 이론이 서식지 기반의 생물종 보전과 복원을 위한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생태적 지위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와 연구 방법의 다양화와 고도화 그리고 기술적 발전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생태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뿐만 아니라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정책 수립과 시행의 중요한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MaxEnt 모형 분석을 통한 남북한 접경지역의 금강초롱꽃 자생가능지 예측 (Predicting Potential Habitat for Hanabusaya Asiatica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 Region Using MaxEnt)

  • 성찬용;신현탁;최송현;송홍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69-477
    • /
    • 2018
  •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은 한반도 중동부에서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고유종으로, 분포범위가 좁고 개체수가 적어 서식지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중요 생물다양성 보호지역(key biodiversity areas: KBAs)으로 지정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maximum entropy(MaxEnt) 모형을 통해 남북한 접경지역 내 금강초롱꽃 자생가능지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KBAs 후보지를 설정하였다.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의 하나인 MaxEnt 모형은 생물종의 출현지점만 기록한 데이터(presence-only data)로도 생물종 분포를 편향되지 않게 예측할 수 있는 생물종 분포 모형으로, 본 연구의 연구대상지처럼 현장 조사가 어려운 경우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집한 38개 금강초롱꽃 출현 위치와 기후, 지형, 식생 등을 측정한 11개 환경변수를 이용하여 MaxEnt 모형을 학습하여 남북한 접경지역의 모든 지점에 대해 금강초롱꽃 출현확률을 추정하였다. MaxEnt 모형 분석 결과, 금강초롱꽃 출현확률이 0.5를 넘어 금강초롱꽃 분포가능지로 분류된 지역은 $778km^2$이었고, 추정된 서식가능지와 기지정된 보호지역 경계를 고려하여 설정한 최종 KBA 후보지는 $1,321km^2$이었다. 또한 11개 환경변수 중 표고와 연평균 강수량, 생장기 평균 강수량, 최한월 평균 기온이 금강초롱꽃 출현확률에 영향을 미쳐, 금강초롱꽃은 고도가 높은 서늘한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금강초롱꽃의 분포지 선호도 분석 결과는 KBA 후보지 설정 뿐 아니라 남북한 통일이나 기후변화와 같은 시나리오에 대비한 금강초롱꽃 보존 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yclic variations of gonad development of an air-breathing fish, Channa striata in the lentic and lotic environments

  • Al Mahmud, Nasim;Rahman, Hassan Md. Hafizur;Mostakim, Golam Mohammod;Khan, Mohd. Golam Quader;Shahjahan, Md.;Lucky, Nahid Sultana;Islam, M. Sadiqu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5.1-5.7
    • /
    • 2016
  • The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cyclic changes in gonadal maturation an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stages of oocytes and testicular germ cells of an air-breathing fish, Channa striata. Fish were sampled monthly from lentic and lotic environments of three geographical locations of Bangladesh from December to November and the histological analysis of their gonad was done to evaluate the objectives. The highest mean GSI was $5.95{\pm}0.20$ for female in July and $0.14{\pm}0.01$ for male also in July showing that the gonadal development reached its peak during this month. The highest mean oocyte diameter was $1257.50{\pm}24.17{\mu}m$ observed in July implying that the oocyte reached maturity in this month. Histological study of ovary revealed the evidence of early yolk granule stage and late yolk granule stage from April to July. In case of male four stages of spermatogenesis were distinguished and spermatozoa were highly abundant in June and July. So the monthly pooled values of GSI and the analysis of gonadal histology indicated that the peak breeding season of C. striata occurred in July in the lentic and lotic environments. Samples collected from lentic and lotic habitats are suggestive of no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gona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useful for selective breeding programm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fishery management of C. striata in its natural habitat.

대체서식지 조성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Alternative Habitats - Based on the Projects Subject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심윤진;정규종;어양준;유윤진;박현경;김동환;조영호;윤주덕;우승현;박수곤;장은혜;추연수;박용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7-85
    • /
    • 2018
  • The intensive habitats loss of natural organisms as a consequence of anthropogenic activities has lead to the use of alternative habitats for species conservation.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alternative habitats and suggest the improvement of alternative habitats. Most of alternative habitats regarded in this study are not following the pre-arranged consultation a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se alternative habitats are rendered useless due to the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and lack of detailed plans. A number of alternative habitats are influenced by disturbance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onstruction. Post-monitoring of alternative habitats are needed to estimate immigration rate of species. Post management is also needed to assess the status of population stability. Overall, low effectiveness of alternative habitats is presen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tatus survey, methods for improvement of alternative habitats are required such as detailed guidelines, establishment of post-monitoring system, improvement of habitat restoration techniques, and guidelines for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설악산, 지리산, 한라산 산정부의 식생과 경관 특성 (Vegeta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t the Peaks of Mts. Seorak, Jiri and Halla)

  • 공우석;김건옥;이슬기;박희나;김현희;김다빈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01-414
    • /
    • 2017
  • Vegeta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t the three highest summits of Republic of Korea, i.e. Seoraksan, Jirisan and Hallasan,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species composition, physiognomy,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alpine plants, along with landform, geology, soil and habitat conditions. Dominant high mountain plants at three alpine and subalpine belts contain deciduous broadleaved shrub,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31.6%), and evergreen coniferous small tree, Pinus pumila (26.3%) at Seoraksan, deciduous broadleaved tree, Betula ermanii (35.3%), evergreen coniferous tree, Picea jezoensis (23.5%) at Jirisan, and evergreen coniferous tree, Abies koreana (22.6%), deciduous broadleaved shrub,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and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19.4%) at Hallasan, respectively. Presence of diverse landscapes at the peak of Seoraksan, such as shrubland, grassland, dry land along with rocky areas, and open land may be the result of hostile local climate and geology. High proportion of grassland and wetland at the top of Jirisan may related to gneiss-based gentle topography and well developed soil deposits, which are beneficial to keep the moisture content high. Occurrence of grassland, shrubland, dry land, conifer vegetation, and rocky area at the summit of Hallasan may due to higher elevation, unique local climate, as well as volcanic origin geology and soil substrates. Presences of diverse boreal plant species with various physiognomy at alpine and subalpine belts, and wide range of landscapes, including rocky, grassland, shrubland, wetland, and conifer woodland, provide decisive clues to understand the natural history of Korea, and can be employed as an relevant environmental indicator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tability.

Spatial heterogeneity in macroinvertebrate density from Lake Hövsgöl, Mongolia

  • Hayford, Barbara;Goulden, Clyde;Boldgiv, Bazartsere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159-166
    • /
    • 2013
  • Typical of large, oligotrophic lakes, Lake H$\ddot{o}$vsg$\ddot{o}$l, Mongolia, exhibits complex morphometry which should support a spatially heterogeneous community of benthic macroinvertrates. The lake also exhibits a broad range of land uses. Based on the variation in land use and complex physical habitat of the lake (e.g. substrate variation and presence of affluent streams in bays), we asked two questions. First, does density of total benthic macroinvertebrates vary between different bays in Lake H$\ddot{o}$vsg$\ddot{o}$l? Second, does density of individual benthic taxa vary by bay? Samples collected in 1997, the last year for benthic sampling of the lake, were designed to test for variation in macroinvertebrate density between bays and can now be used to establish baseline variation in density for future studies. A total of 56 Ponar grab samples were analyzed from six bays in Lake H$\ddot{o}$vsg$\ddot{o}$l. Results of a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total density of macroinvertebrates varied only slightly between bays of the lake, but that most individual taxa showed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bays. Variation in density for most taxa was linked to substrate composition rather than other geographic or physical variables in the lake. Recent increases in grazing intensity and ecotourism along the shores should be managed to reduce the nutrient load into the lake to avoid impairment of the benthic biota of this unique, ancient ecosystem.

희귀식물 꼬리진달래의 자생지 생육환경 및 삽목, 종자번식 (Habitat Environment and Cutting, Seed Propagation of Rare Plant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 김남영;배기화;김영설;이학봉;박완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165-172
    • /
    • 2013
  • The habitats characteristics of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were investigated to compil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Natural habitats were located at altitudes of 100-500 m with inclinations of $10-35^{\circ}$. Rhododendron micranthum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dominant population.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sod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4.10-8.64%, 0.18-0.46%, 8.69-26.70 $mgkg^{-1}$, 0.10-0.23 $cmol^+kg^{-1}$, 0.06-0.10 $cmol^+kg^{-1}$, 0.85-4.10 $cmol^+kg^{-1}$, 0.24-0.64 $cmol^+kg^{-1}$, 12.76-20.90 $cmol^+kg^{-1}$, 4.34-5.15. Rooting rate is too low, cutting propagation, breeding methods are not good. Also, this study was investigated seed germination of R. micranthum depends on soaking treatment. R. micranthum was soaked with tap water for four days, the average values of germination day were represented of 70%/1 week.

먹이식물·흡밀식물·식생이 나비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st plant, Nectar plant and Vegetation types on Butterfly Communities)

  • 김도성;조영복;정종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31-342
    • /
    • 2012
  • 본 연구는 먹이식물과 흡밀식물의 수 그리고 식생이 나비의 개체수 및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8-09년까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지역을 4개 구간으로 나누어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비 개체수와 식물종수, 흡밀식물 그리고 먹이식물 수를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에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서식지 면적이 클수록 개체수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순회귀 분석 시 나비의 종수와 다양도지수는 먹이식물 수 및 구간면적과 각각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보다 다양한 식생을 보이는 구간에서 나비 종수가 증가하였다. 나비의 다양성과 개체군 보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수종의 식물과 함께 나비의 먹이식물과 흡밀식물이 복합적으로 분포하고, 식생은 각각의 요소들이 서로 보완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른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