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D$NH_3-N$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4초

경산시 지하수의 오염특성

  • 송성숙;박병윤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90-293
    • /
    • 2004
  • 경산시 지역의 지하수를 분석한 결과 pH는 5.2~8.3, COD는 0~l.6 mg/$\ell$, ${NH_4}^{+}$-N은 0~6.30 mg/$\ell$의 범위로 나타났다. 특히 ${NH_4}^{+}$/-N은 전체 채수 지역 중에서 86 % 정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당 지역이 분뇨, 하수, 폐수, 비료 등으로 오염되어 있었다. 또한 가정하수, 분뇨오수 등의 인위적 오염원과 관계가 있는 Cl도 상당히 검출되었다. 지하수의 깊이에 따른 각 성분을 분석한 결과 DO는 150m이하에서 7.9 mg/${\ell}$, 150m이상에서 8.1 mg/${\ell}$로서 역시 깊이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OD, ${NH_4}^{+}$/-N, ${NO_3}^{-}$/-N, ${NO_2}^{-}$/-N, T-N도 지표면에 가까운 150m이하 지하수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토지 이용별 지하수질의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DO는 공업지역에서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COD는 공업지역에서 평균 농도가 0.6 mg/${\ell}$로서 주거 및 상업지역 0.3 mg/${\ell}$, 농촌지역 0.5 mg/${\ell}$보다 비교적 높았다. 질소성분인 ${NH_4}^{+}$/-N, ${NO_2}^{-}$/-N, T-N 등은 주거 및 상업지역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총질소의 경우 주거 및 상업지역의 평균이 7.35 mg/${\ell}$로써 공업지역 4.05 mg/${\ell}$, 농촌지역 5.31 mg/${\ell}$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 PDF

SBR에서 충격부하에 따른 완충효과 (Buffering effects of shock loads in sequencing batch reactor)

  • 지대현;이광호;이재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81-587
    • /
    • 200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buffering effect with different COD, $NH_4{^+}-N$ and TP shock loads on the performance of lab-scale Sequencing Batch Reactor(SBR) using synthetic wastewater. This study was operat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 HRT, 12 hrs : MLSS, 2,000 mg/L : F/M ratio, $0.2kgCOD/kgMLSS{\cdot}d$ : SRT, 20days, and was increased by a factor, COD : ranging from 200-2000 mg/L, $NH_4{^+}-N$ : ranging from 30-300 mg/L, T-P : ranging from 5-50 mg/L in the reactor. As results, COD removal rate at different shock loads was decreased until 42.1%(stable state : 95%) and concentration with effluent was higher than 695 mg/L(at Run 6). In case of $NH_4{^+}-N$ removal rate was decreased until 35.8% from 97.0% and also T-P removal rate was decreased until 5.0%. Effluent concentrations of COD, $NH_4{^+}-N$ and T-P were rapidly increased according to shock loads and needed 3, 4 and 6 additional cycle times for recovering the stable condition.

호수 퇴적물의 호기 및 혐기조건에서의 용출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ease Characteristics of Lake Sediments under Oxic and Anoxic Conditions)

  • 윤미해;현준택;허남수;권성현;조대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1003-1012
    • /
    • 2007
  • 호수 퇴적물의 용출로 인한 수질오염을 예측하고 퇴적 위치에 따른 용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환경 조건에 따른 용출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질소계열, 인계열, COD를 분석하였으며, 모든 시료의 분석 방법은 호수 내부수의 염도가$(Cl^-)$ 2,000 ppm 이상이므로 해수 수질공정 시험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COD는 혐기조일 경우 A지점에서 C지점으로 갈수록 용출율이 증가한 반면, 호기조일 경우 증 감의 경향성이 없었다. $NH_3$-N의 호기조일 경우 A지점에서 C지점으로 갈수록 용출율이 감소하였고, 반대로 질산화 작용으로 인해 $NO_3$-N과 T-N은 A지점에서 C지점으로 갈수록 용출율이 증가하였다. $NH_3$-N, $NO_3$-N의 혐기조는 A지점에서 C지점으로 갈수록 용출율이 증가하였으나 탈질화 작용으로 인하여 T-N의 용출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O_4$-P, T-P의 경우 호기조에서 B지점의 용출율이 가장 낮았으며, 이는 용존 산소의 함량이 많아 무기물이 산화되면서 인의 용출이 억제된 것으로 판단된다. $PO_4$-P의 혐기조일 경우 A지점부터 C지점의 용출율이 서로 유사하였다. COD와 $NO_3$-N의 경우 혐기조보다 호기조에서 용출율이 높았으며, 그 외의 항목에서는 호기조보다 혐기조에서 용출율이 높았다.

침출수 성분에 따른 난지도 매립지의 안정화 평가 (Evaluation of Nanjido Landfill Site Stabilization by Leachate Component)

  • 이제승;서미연;김현국;이승주;김광진;신정식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3호
    • /
    • pp.13-21
    • /
    • 2004
  •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Nanjido landfill site by leachate analysis. Several parameters, for example pH, BOD, $COD_{Mn},\;COD_{Cr}$, SS, TP, $NH_3-N$, Color, were selected as major leachate quality parameters. $BOD/COD_{Cr}$. was used to estimate the biodegradable portion in organic mat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leachate storage wells and leachate treatment facility inflow in each quarter of 200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flow quality of treatment plant in 2003 was analysed as $pH\;7.3\~8.0,\;BOD\;12.4\~30.0mg/L,\;COD_{Mn}\;101.2\~130.3mg/L,\;COD_{Cr}\;122.5\~238.0mg/L,\;SS\;16.1\~115.3mg/L$, $T-P\;0.27\~0.80mg/L,\;NH_3-N\;208.0\~~354.0mg/L$, Color $110.3\~129.0$ unit. 2. $BOD/COD_{Cr}$ of inflow ranged between $0.07\~0.16$ indicating that the landfill had the properties of old-fill and organic portion in leachate was mostly persistent organic matter. 3. Though concentrations of BOD, COD, $NH_3-N$, Color in leachate storage wells were mostly higher in first landfill than in second landfill, $BOD/COD_{Cr}$ ranging from 0.03 to 0.20, showed reversely. 4. Correlation coefficient$(R^2)$ between color and other parameters related to organic matter showed mostly above 0.7 and especially highest value with $COD_{Mn}$ of 0.7985.

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

  • 정효기;김중곤;김시욱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272-276
    • /
    • 2005
  • 음식물 폐기물을 3단계 메탄발효 공정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을 때 배출되는 발효폐액은 거의 액상으로 고농도의 sCOD, T-N and $NH_{3}-N$를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단계 메탄 발효 후 최종 유출되는 고농도의 유기성 폐수를 물리${\cdot}$화학적 응집 및 침전을 이용하여 전처리 한 후 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후속 처리를 하고자 하였다. $FeCl_{3}$를 이용하여 전처리하였을 때 최적 pH 및 농도는 4와 2000 mg/L로 52.6%의 COD제거율을 보였다. 고효율 자외선/광촉매 시스템의 경우 24시간 동안 COD는 2890 mg/L에서 184 mg/L로 감소하였으며, T-N은 2496 mg/L에서 914 mg/L로 감소하였다.

  • PDF

경남 시설원예지 농업용 지하수의 수질 현황 (Ground Water Pollution Status of Agricultural Water Source of Greenhouse Area in Gyeongnam)

  • 이성태;조주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31-540
    • /
    • 1998
  • To examine water pollution status of agricultural water source of greenhouse area in Gyeongnam, the ground water quality was investigated six times at five areas in Gyeongnam from October in 1995 to March in 1996. pH of ground water were generally in the range of 5.9∼7.6. But a site in Changnyeong area was out of the range In 6.0∼8.5 which is water quality standard for agriculture. COD of ground water was below 2.8mg/l. NH4+-N contents in ground water was very low in all areas and the average of NO3'-N contents in Changnyeong and Chinju area was high with 13.2 and 11.5mg/l respectively. Hardness, SO42- and EC of ground water In Hmm were higher than any other area. Fe and Mn contents of ground water in Kimhae were higher than any other area with 7.17 and 0.95wt, respectively. Heavy metals such as Cu, Cd, Pb and Zn of ground waker were below water Quality standard far agriculture but some sites were over. Between COD and SS in ground water were not correlated with rInG.338,'but between COD and NH4+, -N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E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2+, Mg2+ and SO42-. Ground water pollution status of agricultural water source of greenhouse area in Gyeongnam was genrrally high in order of Sacheon < Chinju < Hmn < Kimhae < Changnyeong.

  • PDF

분리막과 증발기를 이용한 매립지 침출수 처리에 관한 연구 (Lab test) (A Study on the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using Membrane and Evaporator (Lab Test))

  • 강신경;박영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2125-2134
    • /
    • 2000
  • 본 연구는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배출허용기준 이내로 처리함은 물론 경제적인 처리 공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장 pilot test 이전에 최적 공정 선정과 장치 설계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하는 처리공정은 역삼투시스템을 이용하는 공정인데 전처리로서 침지형분리막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였으며, 역삼투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농축수는 매립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직화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공정이다. 실험결과 침지형분리막 생물반응기에서 SS, $BOD_5$, $COD_{cr}$, $NH_4{^+}-N$은 각각 99.0%, 43.0%, 12.9%, 48.5%, 18.7%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역삼투시스템온 $BOD_5$, $COD_{cr}$, $NH_4{^+}-N$, T-N을 각각 97.5%, 97.6%, 79.7%, 85.4% 제거할 수 있었다. 증발기는 $COD_{cr}$, $NH_4{^+}-N$, T-N을 각각 90.5%, 50.6%, 63.3% 제거할 수 있었으나 배출허용기준 이내로 처리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응축수는 역삼투시스템 전단으로 보내서 전처리수와 함께 처리되어야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reatment of produced water in a floating carrier bioreactor

  • Ezechi, Ezerie Henry;Sapari, Nasiman;Menyechi, Ezerie Jane;Ude, Clement M.;Olisa, Emmanuel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210-215
    • /
    • 2017
  • Produced water is the largest wastestream of oil and gas exploration. It consists of various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that hinder its beneficial use. This study compared the treatment of produced water in a batch suspended and biofilm activated sludge process. The biofilm carrier material was made from Gardenia Carinata shell. COD, $NH_4{^+}-N$ and $NO_3-N$ removal was monitored in both the suspended (control) and floating carrier bioreactors. The results show a rapid reduction of produced water constituents in the floating carrier bioreactor. COD, $NH_4{^+}-N$ and $NO_3-N$ removal was in the range of 99%, 98% and 97% for the floating carrier bioreactor whereas it was 88%, 84% and 83% for the control bioreactor. The rapid reduction of COD, $NH_4{^+}-N$ and $NO_3-N$ clearly indicate that the floating carrier materials served as an attached growth medium for microorganisms, improved the breakdown of produced water constituents and reduced inhibition of microbial metabolic activities.

수도권 매립지 주변의 지표수 오염에 관한 연구 (Surface Water Contamination around the Sudokwon Landfill Site)

  • 이인현;장원;백영;도갑수;최재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679-688
    • /
    • 1997
  • In order to analyze the water quality variation of surface water around the Sudokwon landfill site,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temperature, pH, DO. HOD, COD, SS, NH3-N, NO2-N, and NO3-N were examined at 10 sites from January to December, 1996. It was found that the estimates of COD, DO. SS, and $NH_3-N$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arried out In 1988. Higher estimates of COD, DO, and SS were due to Industrial and agricultural wastewater, and the Increase of NH3-N at Jangdo reservoir strate was due to the leachate from the landfill. In particular, the estimate of 55 was found to be increased by the soil wash from the landfill during the heavy rainy days.

  • PDF

대구시(大邱市) 도시하천(都市河川)의 수질조사(水質調査) 연구(硏究) (Studies on the Water Quality of Urban Streams in Daegu City)

  • 이정재;박병윤;최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99-104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대구시(大邱市)의 주요 하천(河川)인 이천(梨川), 범어천(汎魚川), 칠성천(七星川), 신천(新川), 달서천(達西川) 및 공단천(工團川)의 오염상태(汚染狀態)를 조사(調査)하여 도시하수(都市下水)의 효과적(效果的)인 처리(處理)와 금호강(琴湖江)의 오염방지책(汚染防止策)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코자 하였다. 시기별(時期別) 각(各) 하천(河川)의 pH, DO, COD, 질산염 및 인산염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각(各) 지점별(地點別) 평균치(平均値)는 pH 7.3~8.2, DO 흔적~6.5ppm, COD 20.4~116.9ppm, T-N 23.2~31.7ppm, $NH_4$-N 18.3~27.7ppm, $NO_2$-N 0.08~1.89ppm, $NO_3$-N 0.19~1.51ppm, $PO_4$-P 2.50~17.28ppm이었다. 2) 지점별(地點別) 오염도(汚染度)가 가장 높은 곳은 공단천(工團川)이었으며 12개월(個月)동안의 평균치(平均値)는 pH 8.2, DO 흔적, COD 116.9ppm, T-N 23.2ppm, $NH_4$-N 18.3ppm, $NO_2$-N 1.89ppm, $NO_3$-N 1.51ppm, $PO_4$-P 17.28ppm이었다. 3) 시기별(時期別)로 비교(比較)하면 pH, DO, COD, T-N, $NH_4$-N의 함량(含量)과 pH는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높았으며 $NO_2$-N and $PO_4$-P의 함량(含量)은 여름철이 다소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