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M Scope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5초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일회용 미세먼지 마스크 디자인 연구 (A study of disposable micro dust-mask design for bicycle users)

  • 권준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571-577
    • /
    • 2018
  • 자전거 이용자가 안경 및 선글라스를 쓴 상태에서 마스크를 착용 할 때 여러 가지 불편함을 호소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불편함을 보완하여 자전거 라이더들에게 필요한 일회용 미세먼지 마스크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세먼지 마스크의 특성상 일회성 정전기 발생 섬유와 마스크의 형태적 문제로 연구범위를 제한하고 기존 미세먼지 마스크를 간결한 제작공정으로 디자인한다. 이렇게 개발된 일회용 미세먼지 마스크는 세로방향 접힘으로 입 앞 마스크 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였고 거친 숨에도 입에 닿지 않게 접힘 부위형태가 유지 되게 하여 답답함을 최소화 하였다. 코지지대에 유선형 스폰지를 부착하고 안면 볼 부위를 일반마스크 보다 2.5cm 정도의 확장하여 측면 밀착성을 높였다. 또한 기존에 없던 일회용 미세먼지 스카프 마스크를 제작하여 안면과 목 부위 자외선을 차단하고 밀착성 높은 미세먼지 마스크를 개발하였다.

A FRAMEWORK FOR ACTIVITY-BASED CONSTRUCTION MANAGEMENT SIMILATION

  • Boong Yeol Ryo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732-737
    • /
    • 2009
  • Due to various project delivery methods and the complexity of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eveloping the framework of construction management for critical, highly complex projec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come problematic. Currently, a set of construction manuals play a pivotal role in planning and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as subcontractors try to complete their scope of work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a general contractor. It is challenging for general contractors to write a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dure manual to cover various types of project delivery methods and construction projects. In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procedure manuals describe specific actions to be taken through the project. In reality a few contactors own such manuals and their construction schedules include more construction operation activities. Thus, it is hard to estimate the workload and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managers because the manual and the schedule do not present the amount of management efforts required to complete a project.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to present construction management tasks according to project delivery methods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projects. Actions for management tasks were mapped and were integrated with construction activities throughout the project life cycle. The framework can then be used to give specific instructions to project participants, collect management actions, and replicate management actions throughout the project life cycle. The framework can also be can used to visualize complete construction project to analyze and manage construction management activities in each phase of a project in order to enhanc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e studies of existing construction manual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construction managers' responsibiliti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CLIPS (C-Language Integrated Production System) was used to search for appropriate actions for impending tasks from a set of predefined actions to be performed for a given situation. The framework would significantly help construction managers to understand interrelations among management tasks or actions within a project. Furthermore, the framework can be embedded in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or Facility Management Systems (FMS) so that designers and constructors would execute constructability review before construction begins.

  • PDF

건설사업관리업무 효율화를 위한 대가 산출기준 개선방향 (Improvement of CM Fee Estimation Criteria for Efficient CM Service)

  • 조영준;성용모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05-112
    • /
    • 2019
  • 2015년에 건설기술진흥법이 전면 시행되면서 책임감리라는 표현이 없어지고 대신에 건설사업관리가 포함되었다. 건설사업관리 대가를 산정할 때는 국토교통부의 건설기술용역 대가기준에 명시된 실비정액가산방식에 근거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업에서는 기획재정부의 예산편성지침에 따라 공사비요율에 근거하고 있다. 이로 인해 현장에서는 단일화된 정부기준에 따라 건설사업관리 대가가 산출되고, 건설기술용역 대가기준이 합리적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근로기준법령의 변경은 건설현장의 근무환경에 큰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이 법령에 건설현장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이에 건설기술진흥법령상의 대가산정 관련 규정이 검토되었고, 실비정액가산방식과 공사비요율방식에 의한 건설사업관리 대가가 검토되었으며, 근로기준법령의 적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 업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부에서 건설사업관리 대가를 산출시 관계기관 협의 후 정부차원의 단일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점, 국토교통부의 건설기술용역대가기준의 적용범위가 명확하게 되어야 한다는 점, 건설사업관리 기술자 투입수량과 함께 기술자의 능력을 고려하여 대가를 산출해야 한다는 점, 근로일수와 근로시간이 결정시 건설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흙 수로내에서의 용수손실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Loss of Irrigation Water Flowing in the Earth Channel)

  • 김철회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03-2715
    • /
    • 1972
  • 본 실험 연구는 흙수로내에서의 용수손실에 관한 연구로서 물을 필요로 하는 논과 밭까지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양만큼을 보급해 주어야 하는 관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매년 높아져 가는 사수위에 늘어가는 필요 수량과의 함수관계를 해결하는 지표를 주는데 목표을 두었다. 시험은 용수계통인 간선, 지선, 분선수로로 구분하여 간선수로에서는 1,000m 구간을 잡아 유속계측정 방법으로 지선수로에서는 500m 구간을 잡아 상 하류에 파야샬후륨을 설치하여 측정하였으며 분선수로에서는 200m 구간을 상 하류에 사각예언웨어를 설치하여 손실을 측정하였으며 기타손실에 영향을 주는 제요인들도 조사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1,000m 구간의 간선수로에서는 9.64%의 통수손실을 보였으며, 500m 구간의 지선수로에서는 15.55%. 200m 구간의 분선수로에서는 12.34%의 통수손실율을 보였다. (2) 삼투량조사는 지선수로를 40m 간격으로 3번 반복조사에서 2.08cm/day 또 200m 간격의 지선수로에서는 1일 평균 3.37cm/day의 삼투량을 얻었다. (3) 단 1회의 결과치를 객관성 있게 취급은 곤난하며 종래에 사용해 온 결과치보다는 손실과 삼투가 공히 상당히 큰 값을 보여주고 있어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친환경 무시멘트 황토결합재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non-cement Hwang-to binder for Environment-friendly)

  • 황혜주;강남이
    • KIEAE Journal
    • /
    • 제8권1호
    • /
    • pp.81-86
    • /
    • 2008
  • Due to the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lots of studies on the solution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s are on the way.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concrete that we are currently consuming approximately 1 ton each year is the most common and cheap building material. We must cut down on this preoccupied use of this material and develop an alternative material as recommended by the late environmental standards.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 the 'yellow soil' as the main substance that composes the final state, 'yellow soil concrete'. This study also aims to analyze the physical and chemical performances of this concrete mixed with the yellow soil by comparing it with the cement and assesses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the cemen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s that, assuming the solidity of the cement concrete to be around $210kg/cm^2$ (20.58MPa), the solidity of the yellow soil combined material may be around 45%~55% in terms of the range of W/B use, 200 to 400 in the per unit fission amount and less than 2% in the addition proportion of admixing agents. But the scope of the optimal concoction amount of the yellow soil concrete should better be limited as following. 40% to 50% in W/B, 300 to 400 in the per unit fission amount and less than 2% in the addition of admixing agents.

의궤에 기록된 건축도(建築圖) 물매(勿每, 水每)에 관한 연구 - 단면도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ulmae, Architectural Drawing Recorded on Uigwes - Focusing on the Possibility as a Cross-sectional Drawing -)

  • 이상명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6호
    • /
    • pp.57-65
    • /
    • 2020
  • This study covered the Mulmae, architectural drawing recorded on Yeonggeon-uigwes and Sanleung-uigw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 uigwes, the term 'Mulmae' was used as a mixture until the 17th century, but from the 18th century, the term 'Mulmae(勿乙每, 勿每, 水每)' was unified into 'Mulmae(水每)'. The paper of the Mulmae was made to be used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by using a thick oil paper called Yudun. Four Yudun were connected, and its size was 197.4×141cm, which was rather large. The Yingzaofashi(營造法式) of Song Dynasty describes how to draw a longitudinal section on a scale of 1/10. The scale of 1/10 was the maximum when comparing the size of the Mulmae with the buildings in uigwes. A sectional drawing of Gongpo in Geunjeongjeon was drawn on a scale of 1/10. There is a testimony that a senior carpenter drew a cross-section on a scale of 1/10.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scal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drawn on the Mulmae paper was 1/10. The term 'the Mulmae' was used equally by carpenter active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scope of the painting was clarified from pillar to rafter. Uigwes records that the Mulmae was made for wood processing. Through th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Mulmae painted the entire structure as a longitudinal section.

Convergence Modeling and Reproduction of a Bigyeokjincheolloe (Bomb Shell) Based on Three-dimensional Scanning and 𝛾-ray Radiography

  • Kim, Da Sol;Jo, Young Hoon;Huh, Il Kwon;Byun, Sung Moon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5-63
    • /
    • 2022
  • The Bigyeokjincheolloe (bomb shell), a scientific cultural heritage, has outstanding historical value for sustaining a gunpowder weapon of Joseon. In this study, the bomb shell was modeled through three-dimensional (3D) scanning centered on the external shape and 𝛾-ray radiography-based on the internal shape. In particular, to improve the contrast in the radiographic image, optimization and image processing were performed. After these processes, the thickness of the inner wall (2.5 cm on average) and the positions of the three mold chaplets were clearly revealed. For exhibition purposes, the 3D model of the bomb shell was output to a 3D printer and the output was rendered realistic by coloring. In addition, the internal functional elements, such as Mokgok, fuse, mud, gunpowder, and caltrops, were reproduced through handwork.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digital heritages in two ways. First, the internal and external shapes of the bomb shell were modeled by fusing two different technologies, namely, 3D scanning and 𝛾-ray radiography. Second, the internal shape of the bomb shell was constructed from the original form data and the reproduction was utilized for museum exhibitions. The developed modeling approach will greatly expand the scope of museum exhibitions, from those centered on historical content to those centered on scientific content.

Single-balloon enteroscopy-assiste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in patients with surgically altered anatomy: a technical review

  • Yuki Tanisaka;Masafumi Mizuide;Akashi Fujita;Rie Shiomi;Takahiro Shin;Kei Sugimoto;Shomei Ryozawa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6호
    • /
    • pp.716-725
    • /
    • 2023
  •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n patients with surgically altered anatomy is technically challenging. For example, scope insertion, selective cannulation, and intended procedures, such as stone extraction or stent placement, can be difficult. Single-balloon enteroscopy (SBE)-assisted ERCP has been used to effectively and safely address these technical issues in clinical practice. However, the small working channel limits its therapeutic potential. To address this shortcoming, a short-type SBE (short SBE) with a working length of 152 cm and a channel of 3.2 mm diameter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Short SBE facilitates the use of larger accessories to complete certain procedures, such as stone extraction or self-expandable metallic stent placement. Despite the development in the SBE endoscope, various steps have to be overcome to successfully perform such procedure. To improve success, the challenging factors of each procedure must be identified. At the same time, endoscopists need to be mindful of adverse events, such as perforation, which can arise due to adhesions specific to the surgically altered anatomy. This review discussed technical tips regarding SBE-assisted ERCP in patients with surgically altered anatomy to increase success and reduce the risk of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ERCP.

건설사업관리기업의 BIM 활용수준 평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BIM Utilization Level Evaluation Model in Construction Management Company)

  • 정서희;김광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4-33
    • /
    • 2024
  • 최근 스마트건설이 활성화됨에 따라 기업의 스마트 건설기업으로 전환을 위해 건설회사에서는 스마트건설에 관한 역량 평가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건설의 활성화는 건설회사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발주자, 설계자, 건설사업관리자, 시공자 등 건설 프로젝트 참여자 전체의 활용수준이 평가되어 향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수행에서 CM기업의 BIM 활용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BIM 활용수준에 대한 평가모델을 제시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BIM 활용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기 위해 BIM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산정된 결과를 평가 모델에 활용하기 위해 점수화 시켜 BIM 활용수준 평가모델을 구축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 결과 중 정량 평가에서는 BIM 사용 가능 인력수에서 기업별 차이를 보였고 정성평가에서는 간섭검토, 시공성 검토, 설계변경관리에 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IM 활성화를 위해서는 건설사업관리자를 대상으로 별도의 전문 교육을 실시하여 BIM 활용능력을 강화시키고 건설사업관리업무 수행에 있어 BIM활용에 대한 명확한 활용기준 및 업무범위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을 활용하여 더 많은 기업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며, 평가 결과는 CM기업의 스마트건설의 전환과 BIM 도입 활성화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토양 정밀 조사에 의한 고로폐광산 주변 비소오염 토양 및 하천퇴적토의 오염도 평가 및 오염 토양 복원 규모 설정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Decision of Remediation Scope for Arsenic Contaminated Farmland Soils and River Deposits Around Goro Abandoned Mine, Korea)

  • 차종철;이정산;이민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6호
    • /
    • pp.457-467
    • /
    • 2003
  • 경상북도 군위군에 위치한 고로 폐아연광산에서 폐광산과 연결된 주 하천을 따라 저수댐 건설 예정지까지 직선 길이 약 12km 구간에서 농경지 토양 및 하천 퇴적토에 대한 중금속 오염(비소, 납, 카드뮴, 구리) 토양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조사 면적은 약 950,000$m^2$ 이고 1,500$m^2$ 당 1지점의 조사 밀도를 유지하여, 총 545개 지점에서 표토(0∼10cm 깊이)를 채취하였으며, 192개 지점에서 심토(10∼30cm 깊이)를 채취하였다. 비소를 제외한 구리, 카드뮴, 납 항목은 모든 지점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 이하를 나타내었으나, 비소는 표토의 경우 토양오염우려기준 이상의 농도를 나타내는 지점이 104지점으로 전체 표토 조사지점의 20.5% 정도이었으며, 토양오염대책기준을 초과하는 지점은 34지점으로 전체 표토 조사지점의 6.7% 이상이어서 조사 지역 중 상당 부분이 비소로 오염되어 있었다. 심토의 경우 토양오염 우려기준 이상 농도를 나타내는 지점이 18지점으로 전체 심토 조사지점의 약 10.4% 정도이었으며, 토양오염대책기준을 초과하는 지점은 1지점으로 전체 심토 조사지점의 약 0.6%를 나타내고 있어 비소오염이 주로 30cm 이내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별 비소농도를 기준으로 토양오염대책기준 농도(15mg/kg) 이상 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 농도(6mg/kg) 이상 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의 40% 농도(2.4 mg/kg) 이상 지역, 주변배경농도(1.23mg/kg) 이상 지역으로 구분하여 하천퇴적토 및 농경지 토양에 대한 오염지도를 자성하였다. 오염지도 결과로부터, 오염 토양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 목표를 토양오염우려기준 농도 이상, 우려기준의 40% 농도 (토양오염확인기준 농도)이상, 배경치 농도 이상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토양 복원 면적과 물량을 산출하였다. 토양오염우려 기준 농도 이상의 경우 총 복원 면적과 물량은 264,000$m^2$, 79,200$m^3$이였으며, 우려기준의 40% 농도 이상의 경우 복원 면적과 물량은 779,000$m^2$, 233,700㎥, 배경치 농도 이상의 복원 목표 설정의 경우에는 각각 969,200$m^2$, 290,760$m^3$ 이였다. 토양오염 우려기준 농도의 40%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와 배경치 농도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 복원 물량은 우려기준 농도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의 3.0배와 3.7배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복원 목표치 설정시 우려기준 농도의 40%와 배경농도의 차이에 다른 복원 물량의 차이는 적어서, 복원 목표 설정시 배경치 농도로 복원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