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M Function

검색결과 1,490건 처리시간 0.027초

$^{99m}Tc$-DMSA 신장검사에서 획득 계수의 차이에 따른 기능 및 형태 평가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Renal Function and Size by Differences of Acquisition Counts in $^{99m}Tc$-DMSA Renal Scan)

  • 심동오;김호성;정은미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17-121
    • /
    • 2010
  • 핵의학 검사에서 정적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은 총 계수 설정법(preset count method)과 시간 설정법(preset time method)이 있다. $^{99m}Tc$-DMSA를 이용한 정적 신장 검사는 총 계수 설정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시간 설정법을 사용하는 곳도 있다. 총 계수 설정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매번 동일한 계수를 획득하게 되지만 검사 시간은 차이가 있고, 시간 설정법의 경우는 검사 시간은 일정하지만 동일하지 못한 계수가 획득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획득되는 계수에 따른 좌우 신장의 기능 및 형태 정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0년1월11일부터 3월31일까지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에서 $^{99m}Tc$-DMSA 신장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한쪽 신장의 상대적 기능이 40~60%인 30명(남:여=11:19)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장 내에 냉소나 열소가 존재하여 신장 피질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는 제외하였다. 대상자의 나이는 $14.83{\pm}22.07$세로서 성인과 소아를 따로 구분하지 않았으며, 검사 시 이용한 장비는 PHILIPS사의 BrigthView 감마카메라를 사용하였다. 신장의 기능 및 형태 분석을 위해서는 동일 회사의 JET stream release 3.0 version을 이용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대응 표본 t 검정 (paired t-test)을 시행하였다. 영상은 다른 검사인자들을 모두 동일하게 설정하고 획득 계수를 10만 계수와 30만 계수, 그리고 획득 시간을 7분 (30만 계수 초과)으로 변경하여 연속적으로 획득하였고, 신장의 기능 및 형태 정보를 평가하기 위해서 좌우 신장의 상대적 기능(renal relative function)과 기하평균(geometric mean) 그리고 신장의 크기(Size)를 측정하였으며 그에 따른 각각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좌우 신장의 상대적 기능(좌측 신장 기준)의 경우 10만 계수는 $50.52{\pm}3.61%$, 30만 계수는 $50.38{\pm}3.66%$, 7분 획득은 $50.31{\pm}3.64%$였으며 각 방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기하 평균(좌측 신장 기준)의 경우 10만 계수는 $50.08{\pm}3.25%$, 30만 계수는 $49.89{\pm}3.40%$, 7분 획득은 $49.91{\pm}3.24%$였으며 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장의 크기 중 좌측의 경우 10만 계수는 $8.23{\pm}1.96$ cm, 30만 계수는 $8.35{\pm}1.97$ cm, 7분 획득은 $8.45{\pm}2.01$ cm이었고, 각 방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우측 신장의 경우 10만 계수는 $7.91{\pm}1.88$ cm, 30만 계수는 $8.12{\pm}1.90$ cm, 7분 획득은 $8.25{\pm}1.96$ cm이었으며, 각 방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획득 계수에 따른 좌우 신장의 상대적 기능과 기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신장의 형태는 획득 계수가 증가할수록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적 신장 검사의 신뢰성 있는 정량 평가를 위해서는 시간 설정법보다 총 계수 설정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추적검사의 경우는 시간 설정법을 사용하면 검사 시마다 획득되는 계수가 다르게 되어 신장의 형태 평가에 차이를 발생시킬 것이다.

  • PDF

Mapping Snow Depth Using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Satellite Images: Application to the Republic of Korea

  • Kim, Daeseong;Jung, Hyung-Sup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25-638
    • /
    • 2018
  • In this paper, we derive i) a function to estimate snow cover fraction (SCF) from a MODIS satellite image that has a wide observational area and short re-visit period and ii) a function to determine snow depth from the estimated SCF map. The SCF equation is important for estimating the snow depth from optical images. The proposed SCF equation is defined using the Gaussian function. We found that the Gaussian function was a better model than the linear equation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malized difference snow index (NDSI) and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SCF. An accuracy test was performed using 38 MODIS images, and the achieve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was improved by approximately 7.7 % compared to that of the linear equation. After the SCF maps were created using the SCF equation from the MODIS images, a relation function between in-situ snow depth and MODIS-derived SCF was defined. The RMSE of the MODIS-derived snow depth was approximately 3.55 cm when compared to the in-situ data. This is a somewhat large error range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generally has less than 10 cm of snowfall.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rrected the calculated snow depth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and calculated values for each single image unit. The corrected snow depth was finally recorded and had an RMSE of approximately 2.98 cm, which was an improvement. In future, the accuracy of the algorithm can be improved by considering more varied variables at the same time.

마우스 공간지각과 기억 형성에 미치는 전정 유래 정보의 규명 (Identification of Vestibular Organ Originated Information on Spatial Memory in Mice)

  • 한규철;김민범;김미주
    •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134-141
    • /
    • 2018
  • Objectives: We aimed to study the role of vestibular input on spatial memory performance in mice that had undergone bilateral surgical labyrinthectomy, semicircular canal (SCC) occlusion and 4G hypergravity exposure. Methods: Twelve to 16 weeks old ICR mice (n=30)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divided into 3 groups. One group had undergone bilateral chemical labyrinthectomy, and the other group had performed SCC occlusion surgery, and the last group was exposed to 4G hypergravity for 2 weeks. The movement of mice was recorded using camera in Y maze which had 3 radial arms (35 cm long, 7 cm high, 10 cm wide). We counted the number of visiting arms and analyzed the information of arm selection using program we developed before and after procedure. Results: The bilateral labyrinthectomy group which semicircular canal and otolithic function was impaired showed low behavioral performance and spacial memory. The semicircular canal occlusion with $CO_2$ laser group which only semicircular canal function was impaired showed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activity and spatial memory. However the hypergravity exposure group in which only otolithic function impaired showed spatial memory function was affected but the behavioral performance was spared. The impairment of spatial memory recovered after a few days after exposure in hypergravity group. Conclusions: This spatial memory function was affected by bilateral vestibular loss. Space-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seems to be determined by otolithic organ information rather than semicircular canals. Due to otolithic function impairment, spatial learning was impaired after exposure to gravity changes in animals and this impaired performance was compensated after normal gravity exposure.

Comparison of the Permeability of Stilbene Analogues in Caco-2 Cells

  • Kim, Su-Na;Ahn, Ji-Yun;Shon, Dong-Wha;Kim, Ji-Sun;Kim, Mi-Hye;Ha, Tye-Yo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675-678
    • /
    • 2008
  • Permeability of resveratrol, piceid, rhapontigenin, and rhaponticin in Caco-2 cell assay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ere compared. Caco-2 cell monolayers were used to evaluate the transport rates of stilbene analogues from the apical to the basolateral sides. All stilbenes experimented in this study were transported to the basolateral side by times. For comparing the permeability of 4 stilbenes, we calculated the slope of the cumulative concentration of each stilbene in basolateral sides over time, resulting in those values of resveratrol, piceid, rhapontigenin, and rhaponticin with $3.766{\times}10^{-5}$, $4.330{\times}10^{-6}$, $5.430{\times}10^{-5}$, and $2.458{\times}10^{-5}\;{\mu}M/sec$, respectively. Apparent permeability coefficient of resveratrol and rhapontigenin were calculated to $9.994{\times}10^{-6}$ and $1.441{\times}10^{-6}\;cm/sec$, respectively, while those of piceid and rhaponticin were to $1.149{\times}10^{-7}$ and $6.523{\times}10^{-7}\;cm/sec$,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lycones would be absorbed more effectively than glycosides in stilbenoids.

시각기능 개선을 위한 시기능훈련이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sual Perception by Vision Therapy for Improvement of Visual Function)

  • 이승욱;이현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1-499
    • /
    • 2015
  • 목적: 시각이상을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시기능훈련을 통한 시각기능이상의 개선 전후 시지각점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시각기능이상을 가진 13세 미만($8.75{\pm}1.66$)의 아동 23명을 대상으로 시기능훈련 전후에 시지각기능검사(TVPS_R; test of visual perceptual skills-revised)를 실시하여 시기능훈련에 따른 시각기능의 변화와 시지각 평가점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기능훈련을 통해서 원거리 PRC(positive relative convergence) 분리점은 평균 $3.39{\pm}2.59{\Delta}$(prism)에서 $13.87{\pm}6.04{\Delta}$로 증가되었고, 근거리 P.R.C 분리점은 평균 $5.48{\pm}3.42{\Delta}$에서 $18.44{\pm}7.58{\Delta}$로 증가하였다. NPC(near point of convergence)는 $25.87{\pm}7.33cm$에서 $7.48{\pm}2.83cm$로 개선되었고, NPA(near point of accommodation)는 $19.57{\pm}7.16cm$에서 $7.09{\pm}1.88cm$로 개선되었다. 시지각평가에서 시각기억분야를 제외하고는 대응차가 시각완성에서 $17.74{\pm}16.94$(p=0.000), 시각적순차기억에서 $15.65{\pm}17.11$(p=0.000), 배경식별에서 $13.65{\pm}16.63$(p=0.001), 형태향상성에서 $12.74{\pm}18.41$(p=0.003), 시각구별에서 $6.49{\pm}10.07$(p=0.005), 시각적공간지각에서 $4.17{\pm}9.33$(p=0.043) 순으로 개선되었고, 이를 종합한 시지각점수는 대응차가 $15.22{\pm}8.66$(p=0.000)로서 더욱 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시기능훈련을 통해서 시각기능의 개선과 시각기억분야를 제외한 시지각점수의 향상이 시각완성, 시각적순차기억, 배경식별, 형태향상성, 시각구별, 시각적공간지각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기능향상을 위한 시기능훈련은 시각의 기능뿐만 아니라 시지각의 기능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시각훈련의 중요성을 인식 할 수 있었다.

노인의 구강기능 향상에 미치는 구강운동의 효과 (Effects of Mouth Excercise on the Improvements of Oral Function in Elderly Men)

  • 장경애;황인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57-263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 건강 향상의 방안으로 구강운동프로그램을 47명에 대하여 시행하여 39명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타액분비량은 실험군이 0.075 ml로 대조군 0.046 ml 보다 0.029 ml 증가하여 구강운동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최대 개구량은 실험군이 4.12 cm로 대조군 3.92 cm 보다 0.20 cm 증가하여 구강운동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구강 교호 운동량은 실험군이 초당 1.69회에서 초당 2.03회보다 0.34회 증가하여, 구강운동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구강운동이 노인의 구강건강 뿐만 아니라 추후 구강운동을 고령화 시대 노인의 건강 증진 방안의 일환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Exercise Using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Equipment and Physical Function Improvement

  • Hyon-Min Tae;Su-Yeong Eom;Byoung-Kwon Lee;Dae-Sung Park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8-1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and the enhancement of phys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It also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equipment. Method: This study randomly divided twenty healthy adults into two groups.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over a four-week period.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exercise regimen. We assessed several outcome measures including physical functions (sit-to-stand test, flexibility, Timed Up and Go test), grip strength, balance, thigh circumference,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WOMAC).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s self-perceived improvement in lower limb condition was evaluated using the Global Rating of Change (GROC) scal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various aspects: reduced sit-to-stand test duration (7.00±2.05 seconds), increased flexibility (4.69±3.90 cm), improved grip strength (1.54±1.74 kg), increased thigh circumference (left: 1.29±1.19 cm, right: 1.19±1.27 cm), enhanced Timed Up and Go test performance (-1.47±0.86 seconds), better balance (eyes open stance: -8.08±4.03 cm, eyes closed stance: -0.27±0.13 cm/s), and a decrease in depression severity (-0.15±1.51 points). Furthermore,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maximal isokinetic strength at 90°/s for both flexion (19.62±7.03 Nm) and extension (19.60±14.65 Nm) over the study period.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equipment can significantly enhance physical functions in seniors when incorporated into an exercise regimen.

제2고조파 발생특성을 통한 MgO가 2 mole% 첨가된 $LiNbO_3$ 단결정의 poling 조건연구 (Study of poling condition in 2 mole% MgO-doped $LiNbO_3$ using second harmonic generation)

  • 이종수;이범구;주기태
    • 한국광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377-381
    • /
    • 1997
  • MgO가 2 mole% 첨가된 LiNbO$_{3}$ 결정을 3 V/cm, 5 V/cm, 7 V/cm의 전기장에서 poling하여, 5 V/cm의 전기장이 최적의 조건임을 제2고조파발생의 온도의존도특성을 관찰하여 알 수 있었다. 결정에 공간적으로 변조된 전기장을 인가하여 온도 위상 정합 모양이 찌그러짐을 관찰하였으며, 이 결과와 잘 일치하는 계산값을 정량적으로 구할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제2고조파의 온도위상정합모양을 이용하여 결정의 균일성을 판단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5 V/cm로 poling된 단결정의 온도 위상 정합 모양으로부터 온도에 따른 복굴절의 변화율, c-축으로 전기장을 인가하여 변화된 위상 정합 온도로부터 전기장에 따른 복굴절의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 PDF

QAM 신호 전송에서 CM-MMA와 RMMA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A Performance Comparison of CM-MMA and RMMA Blind Equalization Algorithm in QAM Signal Transmission)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79-84
    • /
    • 2019
  • 본 논문은 QAM 신호의 전송시 비선형 통신 채널에서 발생되는 부호간 간섭을 최소화시켜 Qos를 개선할 수 있는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인 CM-MMA (Constellation Matching-MMA)와 RMMA (Region-based MMA)의 성능 비교에 관한 것이다. 적응을 위한 탭 계수 갱신에서 CM-MMA는 기존 MMA 비용 함수에 sinusoidal power function의 constellation matching error 항을 부가되어 nonconstant modulus 신호의 오차를 이용하며, RMMA는 nonconstant modulus 등화기 출력 constellation을 4-QAM의 constant modulus 신호로 변환한 후 오차를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오차 신호에 의해 이들은 상이한 적응 성능을 가지므로, 논문에서는 이들 알고리즘의 적응 등화 성능을 비교하며 이를 위하여 등화기 출력 성상도, 잔류 isi, 최대 찌그러짐과 SER을 적용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RMMA가 CM-MMA 보다 수렴 속도, 잔여량 및 잡음 강인성의 모든 성능에서 우월함을 알 수 있었다.

남성 스노보드 하의의 여유량 설정에 관한 연구 (Appropriate Ease of Men's Snow-board Lower Wear)

  • 류신아;박길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82-59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snow-board lower wear with improved functionality. The study consisted of figure out appropriate ease amount of snow-board lower wear and make products by applying it to pattern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snow-board lower wear on market, 2 pieces of experimental snowboard lower wear were designed, produced, and evaluated the patterns of with different ease, and snowboard lower B for experiment was proved to be better. Snowboard lower wear was produced and evaluated for experiment 2 by giving additional ease to specific parts. Therefore experiment 2 was presented pattern, ease, and size of snowboard lower wear with improved functionality. Sizes and ease of snow-board lower wear for presentation. waist circumference - 96.0cm(l6.4cm, 17.1%); hip circumference - 127.0cm(31.3cm, 24.4%); pants length - 112.0cm(9.6cm, 8.6%); crotch length - 90.0cm(26.8cm, 36.4%); thigh circumference - 78.0cm(23.4cm, 30.0%); knee circumference - 62.0cm(24.7cm, 39.8%); turnup circumference - 62.0cm(36.0cm, 58.1%). Above mentioned sizes and ease of lower wear are medium size(M) for m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