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E $L^*a^*b^*$ color spac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CIE L*a*b* 칼라 공간의 성분 영상 a*을 이용한 효과적인 여드름 검출 (Effective Acne Detection using Component Image a* of CIE L*a*b* Color Space)

  • 박기홍;노희성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397-1403
    • /
    • 2018
  • 오늘날 현대인들은 피부 관리를 신체적 건강관리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얼굴에서 발견되는 피부 질환 문제는 여드름이다. 본 논문에서는 CIE $L^*a^*b^*$ 칼라 공간을 이용한 효과적인 여드름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성분 영상$a^*$의 값이 양수일 경우에 적색이므로 피부 영상에서 적색 계통의 여드름 검출에 적합하다. 먼저 RGB 칼라 공간 기반의 피부 영상은 칼라 밸런싱을 통해 광 보상을 수행하고, CIE $L^*a^*b^*$ 칼라 공간으로 변환한다. 추출된 성분 영상 $a^*$을 정규화하고, 임계값 처리를 통해 피부 영역과 여드름 영역을 추정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밝기 정보를 이용한 방법보다 효과적으로 여드름을 검출하였고, 반사되는 광원에 강인함을 보였다.

적록 색각 이상자를 위한 색 공간 변환 (Color space's conversion for the color vision deficiency)

  • 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
    • /
    • 2005
  • 색각 이상자의 색지각은 색 이미지의 색 공간 변환을 사용하여 가능하다. 적록 색각이상자에게, G채널를 극대화(+100)한 경우, G채널를 최소화(-100)한 경우, R채널만 극대화(+100)한 경우, R 채널을 CIE $L^*a^*b^*$ 색 공간에서 $b^*$ 좌표의 (-)값인 황색(Y) 채널로 변환 시킨 경우, B채녈(청)과 G채널(록)로 만 분리하고 다시 명암차로 나타낸 경우, RGB 채널 변환 및 채도를 분리시킨 후 명암만으로 이미지를 얻는 경우 등에 의해 색지각이 가능하다.

  • PDF

인간의 시감 특성에 기반 한 Display 색역 분석 (Color Gamut Analysis of Various Displays based on Human Perception)

  • 김일도;이상진;신윤철;김문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Ⅳ
    • /
    • pp.1827-1830
    • /
    • 2003
  • 본 논문은 인간의 Perception을 기준으로 인간이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Display들의 Color Gamut 체적들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Color Gamut의 크기를 구하는 방법은 CIE-u'v' 좌표계에서 R, G, B Primaries의 좌표에 해당하는 꼭지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넓이를 구함으로써 표현할 수 있는 Color의 개수를 구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CIE-UCS Chart 자체가 2 Dimension이고, Non-Uniform Color Space이므로 정확하게 구했다고 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Uniform Color Space 인 CIE-L/sup */a/sup */b/sup */ 좌표계에서 3 차원 공간에서 Color의 개수를 구함으로써, 구분할 수 있는 Color Gamut의 체적을 인간의 Perception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정량적인 기법에 대해 논하였고, 이를 4종류의 다양한 Display Type들에 적용,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색역 사상과 색공간 변환을 위한 칼라 참조표 설계 (Color Look-Up Table Design for Gamut Mapping and Color Space Conversion)

  • 김윤태;조양호;이호근;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2호
    • /
    • pp.1-1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연산을 거치지 않고 칼라 참조표만으로 색역 사상과 색공간 변환을 동시에 처리하는 칼라 참조표를 설계하였다. 스캐너와 프린터의 색역을 구성하는 참조표를 만들고 스캐너에서 계산된 색역 데이터를 색역 확장하여 칼라 참조표의 입력 CIEL/sup */a/sup */b/sup */ 값으로 사용한다. 칼라 참조표 생성을 위한 입력 CIEL/sup */a/sup */b/sup */ 값들은 가변 다중 닻점 색역 사상 방법을 사용하여 색역 사상된 CMY 값으로 계산된다. 제안한 칼라 참조표는 칼라 운영 시스템에 적용하여 스캐너 RGB 입력영상을 다항 회귀 방정식을 이용하여 CIEL/sup */a/sup */b/sup */ 색공간으로 변환한 후에 제안한 칼라 참조표를 이용하여 색역 사상과 동시에 색공간 변환을 처리하게 된다. 실험에서는 제안한 방법이 직접 계산에 의한 색역 사상 방법에 비해서 색차는 유사하면서 연상의 복잡도는 줄이는 결과를 얻었다.

천연색소 혼합과 매염기법을 이용한 모발염색 색채공간의 확장 (Expansion of Color Space in Hair Dyeing by Using Mixed Natural Colorants and Mordanting Technique)

  • 정찬희;신윤숙;류동일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8-275
    • /
    • 2017
  • As the substitute of synthetic coloring materials for hair dyeing, we selected some natural ones of three primary colors such as sappan wood, logwood(red), gardenia blue(blue) and amur cork tree(yellow). Mixed colorants and metallic mordanting technique were used to widen the color space of dyed samples. In view of similarity in morphological and chemical structure, wool was adopted as the reference material for human hair to evaluate the color properties of hair dyeing. The color properties of the dyed samples were evaluated by using CIE $L^*a^*b^*$ and Munsell color systems. The addition of an alum or ferrous mordants was effective to expand the color space of hair and to increase the colorfastness to washing and light more than the rating of 1. Displaying the dyed samples by using Munsell color system, better linearity of hue values between the dyed samples of wool and human hair was shown when alum mordant was used.

Construction of Confusion Lines for Color Vision Deficiency and Verification by Ishihara Chart

  • Cho, Keuyhong;Lee, Jusun;Song, Sanghoon;Han, Dongil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4권4호
    • /
    • pp.272-280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color databases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people with a color vision deficiency (CV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oup colors within the sRGB gamut into the CIE $L^*a^*b^*$ color space using the Brettel algorithm to simulate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each group into colors visible to people with a CVD, and to establish a confusion line database by comparing colors that might cause confusion for people with different types of color vision deficiency.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ed confusion lines were verified by using an Ishihara chart. The different colors that confuse those with a CVD in an Ishihara chart are located in the same confusion line database for both protanopia and deutanopia. Instead of the 3D RGB color space, we have grouped confusion colors to the CIE $L^*a^*b^*$ space coordinates in a more distinctive and intuitive manner, and can establish a database of colors that can be perceived by people with a CVD more accurately. Editor - Highlight - Do these changes reflect the intended meaning? If not, please rephrase as intended.

Forest Fir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ing Image Processing and SVM

  • Mahmoud, Mubarak Adam Ishag;Ren, Hong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1호
    • /
    • pp.159-168
    • /
    • 2019
  • Accurate forest fires detection algorithms remain a challenging issue, because, some of the objects have the same features with fire, which may result in high false alarms rate. This paper presents a new video-based, image processing forest fires detection method, which consists of four stages. First, a background-subtraction algorithm is applied to detect moving regions. Secondly, candidate fire regions are determined using CIE $L{\ast}a{\ast}b{\ast}$ color space. Thirdly, special wavelet analysis is used to differentiate between actual fire and fire-like objects, because candidate regions may contain moving fire-like objects. Finally, support vector machine is used to classify the region of interest to either real fire or non-fire. The final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at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identifies the forest fires.

Color display evaluation vs. viewing angle using $L^*a^*b^*$ color space and Fourier-optics measurements

  • Boher, Pierre;Leroux, Thierry;Bignon, Thibault;Blanc, Pierre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12권4호
    • /
    • pp.179-190
    • /
    • 2011
  • A complete analysis of the color-viewing-angle properties of different displays is presented herein using color-viewing-angle measurements made with a Fourier-optics system. The color gamut in the CIE u'v' chromatic plane was computed for all the viewing angles. The introduction of the lightness using the $L^*a^*b^*$ color space allowed a more precise analysis of the emissive properties of each display. The displays can be directly compared using a common reference. The viewing-angle dependence can be analyzed in full detail using the on-axis values as reference. The gravity center behavior and area of the color hull were computed for a more precise evaluation and comparison.

국내 패션업계에서 활용되는 대표색의 Color Data Base 구현 (Data Base Construction of Representative Practical Colors of Domestic Fashion Industry in Korea)

  • 추선형;조주연;김영인
    • 복식
    • /
    • 제55권8호
    • /
    • pp.144-15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Web Color Data Base for practical design system for domestic fashion industry. The market segmentation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nsumers. Finally, the 14,121 color samples a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55 manufacturers of domestic fashion industry and 116 fashion brands of major department stores. These color samples are analyzed by the Munsell's H V/C and CIE L*a*b* value. The representative colors are selected concerning the density in CIE L*a*b* color spa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lor samples. As a result, We suggested 2213 representative colors. Also, this color data was constructed on Web site. The data were sorted by the market, season and color code. In addition, the representative color sample book was made for the prototype of .

돈육 등심의 육색과 보수력 측정치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s of Color and Water-Holding Capacity in Pork Loin)

  • 문상훈;정진연;김갑돈;조인철;전진태;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4호
    • /
    • pp.329-336
    • /
    • 2009
  • 본 실험은 돈육의 육색과 보수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동일한 품종(Landrace $\times$ Jeju native black pig, $F_2$), 동일한 사양방법, 동일한 도축방법으로 생산된 419두의 등심을 시료로 이용하여 사후 24시간에 육색, 보수력, 일반성분 및 p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측정치들은 큰 변이를 보여 시험군의 돈육질의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육색측정치 중 명도가 육즙손실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hue(h) 값과 황색도도 육즙손실과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하지만 적색도와 Chroma는 육즙손실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육즙손실을 추정하는데 CIE $L^*$, $a^*$, $b^*$ 체계보다 CIE $L^*$, $b^*$, h 체계가 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명도 단독으로 육즙손실을 추정하면 정확도가 27% 밖에 되지 않아 보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hue 값과 황색도를 포함한 다중회귀 방정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pH도 명도와 육즙손실과 유의적으로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pH 단독으로 명도와 육즙손실을 추정하면 정확도가 각각 44% 및 17%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pH 단독으로 육색과 보수력을 동시에 고려하는 돈육질을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동일한 품종, 사양방법, 도축방법으로 생산된 돈육이라도 육색과 보수력의 큰 변이로 돈육질의 변이도 크게 나타나며, 비록 명도, 육즙손실 및 pH가 상호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단독으로 돈육질의 추정에 이용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