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DR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4초

다양한 발정제어 방법이 한우의 분만성적과 분만후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Synchronization Methods on Postpartum Reproduction in Hanwoo)

  • 이명식;박정준;정영훈;박수봉;서국현;강만종;문승주;김창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9-53
    • /
    • 2005
  • 다양한 발정유기 방법의 반복처리에 따른 분만율은 평균 $90.7\%(236/260)$로 나타났고 생시체중에 있어서 자연 발정구와 발정 유기구에서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송아지 육성율은 농가의 사육경험이 많을수록 우수한 경향이었고 발정 동기화의 반복처리가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1. 발정 유기구와 자연 발정구에서 출생한 송아지의 생시체중은 암송아지에서 각각 23.9kg, 24.0kg이었고, 수송아지에서 26.2kg, 24.9kg로써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2. 산차에 따른 생시체중은 초산에서 23.4kg, 2산에서 25.3kg, 3산에서 26.2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5산 이후에서는 비슷하였다. 3.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대조구에서 80.7일, $PGF_{2}{\alpha}$구에서 92.3일, PRID구에서 78.5일, CIDR구에서 64.5일,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65.6일로 나타났다. 4. 분만후 수태일수는 대조구에서 137.1일, $PGF_{2}{\alpha}$구에서 147.6일, PRID구에서 141.3일, CIDR구에서 116.6일, $GnRH-PGF\_{2}{\alpha}-GnRH$처리구에서 118일로 나타났다.

재래산양의 과배란처리에 있어서 회수시간이 난자의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

  • 박희성;홍승표;김선훈;정수영;진종인;김택석;이지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59-59
    • /
    • 2003
  • 재래산양은 우리나라 고유의 유전자원으로서 보존뿐만 아니라 개량이 절실히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첨단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극히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재래산양에 있어서 과배란처리에 의한 미수정 난자의 회수율 개선과 최적의 quality를 확보하기 위하여 과배란 처리 후 회수시간이 난포의 발달과 난자의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동물은 체중 15kg 전후의 성숙한 미경산 재래산양으로서 발정동기화를 위하여 CIDR(Eazi Breed, InterAg, New Zealand)를 10일간 질내에 삽입하고 과배란 처리는 FSH를 CIDR 삽입 8, 9, 10일째에 12시간 간격으로 70mg을 감량법으로 투여하였으며, PGF2$\alpha$는 8일째에 FSH와 함께 투여하고 CIDR제거는 10일째에 제거와 동시에 hCG 400IU를 투여하였다. 수정란회수는 외과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난관에서 관류방법으로 난자를 회수한 다음 난포에서 흡입방법으로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hCG 투여 후 29~34시간과 46~50시간에 관찰된 난포수는 두당 10.29개(144/14) 및 7.83개(47/6)였다. 또한 난포로부터 난포란의 채란율은 각각 66.0%(95/144) 및 53.2%(25/47)였으며, 두당 6.79$\pm$0.9개 및 4.17$\pm$1.1개의 난자를 채란하였다. hCG 투여 후 회수시간에 따른 난관에서 회수한 난자 수는 29~34시간 및 46~50시간 후 채란시 배란점은 평균 4.36개(61/14) 및 7.33개 (44/6)였으며, 난관에서 난자 채란율은 39.3%(24/61) 및 29.5%(13/44)였으며, 재래산양 한마리당 평균 1.71$\pm$0.5개 및 2.17$\pm$1.4개의 난자를 채란하였다. 난관으로부터 회수한 난자의 회수율은 29~34시간째에는 61개의 배란점을 확인하였으나 회수한 난자수는 24개로서 39.3%의 회수율을 보였고 두당 회수율은 1.71$\pm$0.5개였으며, 46~50시간에서는 29.5%의 회수율과 2.17$\pm$1.4개의 두당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한 난포란의 등급에 있어서 29~34시간에 등급별 회수율이 각각 GI(27.4%), GII(14.7%), GIII(43.2%), GIV(14.7%)로 나타났으며, 46~50시간에는 GI(12.0%), GII(12.0%), GIII(28.0%), GIV(48.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미성숙 난자의 회수는 hCG 투여 후 29~34시간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우의 반복 과배란 처리에 의한 체내 수정란의 생산과 이식 (Production and Embryo Transfer of In Vivo Embryos by Repeated Superovulation Treatment of Hanwoo Cattle)

  • 신상민;김용준;이해리;신동수;김용수;김수희;이영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7-55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peated superovulation treatment at interval from 27 days to 41 days in Hanwoo cattle and to compare with superovulation effect between doses of FSH 200 mg and FSH 400 mg. Different doses of FSH (200 mg or 400 mg) were injected at Day 8 after 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 (CIDR) treatment for superovulation of Hanwoo donors following CIDR treatment (Day 8 after the estrus). Superovulation was repeated four times for one donor and number of corpus luteum (CL), number of embryos,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and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fer (ET) were investigated. 5 cows were used for each FSH treatment (10 cows in total). Average number of CL were $10.16{\pm}3.85$ and $11.56{\pm}2.35$ for the donors treated with FSH 200mg and FSH 400mg, respectively. Average number of embryos collected were $8.85{\pm}4.05$ and $8.30{\pm}1.73$ for the donors treated with FSH 200 mg and FSH 400 mg, respectively. Averag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were $5.48{\pm}2.45$ and $4.58{\pm}2.23$ for the donors treated with FSH 200 mg and FSH 400 mg, respectively. The pregnancy rate following ET with embryos collected from 200 mg FSH treated donors and 400 mg FSH treated donors were 61.9% and 53.8% respectively. The numbers of embryos tended to be decreased as the numbers of repeat of superovulation were elaps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uperovulation treatment by about a month to Hanwoo donors is usable and 200 mg of FSH is preferable for simple FSH treatment following CIDR treatment.

흑염소의 인공수정 발정동기화 처리방법에 따른 호르몬 변화분석 (Hormone Analysis during Artificial Estrus Induction in Korean Black Goats)

  • 김관우;전다연;이진욱;김승창;이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24-23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재래흑염소 번식생리의 이해를 돕고자 서로 다른 발정동기화법을 적용하였을 때 혈액내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의 농도변화를 알아본 것이다. 발정동기화법은 소의 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품종의 크기에 따라 호르몬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흑염소에 적용하였을 때 발정동기화 후 인공수정 적기의 판단이 정확하지 않아 효율이 매우 낮게 조사된다. 연구에 조사된 발정동기화 방법으로는 소에서 많이 이용되어왔던 CIDR + $PGF2{\alpha}$, $PGF2{\alpha}$ + GnRH + $PGF2{\alpha}$, 그리고 CIDR + $PGF2{\alpha}$ + PMSG 세가지를 적용하였다. 혈액내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은 발정동기화 각 처치 후와 최종 처치 후 수일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혈액내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 농도를 조사한 결과, 세가지 발정동기화 방법 마지막 처치 전까지는 모두 다른 변화를 보였으나, 그 후로는 서로 유사한 패턴으로 호르몬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발정동기화를 위한 호르몬 주사가 개체에 서로 다르게 작용하여 발정을 유도하고 최종 처치 후로는 유사한 발정이 유도되어 유사한 호르몬 상태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한국 재래흑염소 번식에서 인공수정이나 수정란 이식과 같은 기술에 접목한다면 효율적인 개량유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Changes of Sex Hormones and Cervical Mucus in Estrus-synchronized Himalayan Tahrs (Hemitragus jemlahicus) in Non-breeding Season

  • Yong, Hwan-Yul;Kim, Myoung-Ho;Ha, Yong-Hee;Kim, Han-Woong;Kim, Mi-Young;Cho, Dong-Gil;Oh, Chang-Sik;Kim, Doo-Hee;Lim, Yang-Mook;Yoo, Mi-Hyun;Bae, Bok-Soo;Kim, Seung-Do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9-222
    • /
    • 2011
  • Eight female Himalayan tahrs (Hemitragus jemlahicus) were estrus-synchronized, and transcervically inseminated with frozen-thawed semen in September, 2009, about 2 to 3 months earlier than their natural breeding season. Intravaginal progesterone-releasing devices were inserted into vaginas of six Himalayan tahrs on September 7, and the other two on September 8 to suppress luteal function of ovaries. The devices had been placed deep inside the vagina prior to withdrawal on September 23. A day before CIDR removal, a combination of PMSG 400 IU and hCG 200 IU was intramuscularly injected. Forty hours later, frozen-thawed semen was transcervically inseminated. Pregnancy diagnosis was performed 39 days later by analyzing progesterone level of serum. Every treatment was done under anesthesia inducted by xylazine injection. In conclusion, vaginal discharge of cervical mucus, hormonal changes induced by implant-typed or muscularly injectable hormones and widening of cervix enough to insert an insemination gun into uterine body were achieved in non-breeding season. Moreover, the first inseminated Himalayan tahr, 36 hours after CIDR removal was assumed to be pregnant but the fetus may have been lost due to the use of anesthetic drug.

발정 제어 방법과 계절번식이 한우의 수태에 미치는 영향

  • 이명식;최창용;오운용;조영무;이지웅;양화정;손삼규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4-84
    • /
    • 2001
  • 한우 농가의 다두화 사육규모에 적합한 번식관리모델 제시 및 수태율 증진을 위한 발정제어 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1. 년중 번식구의 분만간격은 412.9일, 수태당종부횟수 1.76회에 반하여 계절번식 I구와 II구는 각각 370.4일과 1.51회, 376.5일과 1.48회로 나타났다. 2. 송아지 생산율에 있어서 년중번식구 78.2%(174/184), 계절번식 I구 71.7%(99/138)에 비해 계절번식 II구에서는 79.2%(172/217)로 효율이 다소 높았다. 3. 발정유기방법별 동기화율에 있어서 PGF$_2$$_{\alpha}$ 2회 투여법에서 68.1%(141/207), PRID 삽입법 71.42%(15/21), CIDR 삽입법 86.3%(33/38)에 비해 GnRH-PGF$_2$$_{\alpha}$-GnRH 처리법은 93.1%(216/232)로 효율이 가장 높았다. 4. 발정유기방법별 1회 수정수태율은 PGF$_2$$_{\alpha}$ 2회 투여법 55.1%(64/l16), PRID 삽입법 54.0%(20/37), CIDR 삽입법 58.6%(17/29), 일괄수태법 58.8%(60/102)로 나타났고, 수태율은 각각 75%(87/116), 81%(30/37), 89.6%(26/29), 91.1%(93/102)였다. 5. 일괄수태 처리후 수정시점에 따른 수태율은 최종 GnRH 투여후 16~20 시간구가 65.3%로 가장 좋았다.

  • PDF

과배란 처리된 한우의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산차와 계절의 효과 (Effects of Parity and Season on Production of Embryos in Superovulated Hanwoo)

  • 송상현;장덕일;민찬식;박준규;주영국;이정규;정기화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7-131
    • /
    • 2012
  • 발정주기와 상관없이 CIDR을 삽입하는 날에 50 mg progesterone, 2.5 mg estradiol benzoate를 근육주사하였다. CIDR 삽입 후 4, 5일에 28 AU FSH (Antorin R10)을 4일 동안 감량법으로 주사하였다. 6, 7회 FSH 주사 후 25 mg, 15 mg $PGF_2{\alpha}$를 각각 주사한 다음, CIDR는 7회 FSH 주사 후 제거하였다. 1회째 $PGF_2{\alpha}$ 주사 후 48시간에 $200{\mu}g$ GnRH를 주사하였다. 공란우는 발정확인 후 12시간 간격으로 3회 인공수정을 실시하였으며, 수정란의 채란은 발정확인 후 7일째 회수하였다. 과배란 처리된 공란우에서 회수된 총 난자수, 이식가능 수정란, 퇴행란 및 미수정란은 각각 $11.6{\pm}7.9$, $5.5{\pm}4.4$, $3.0{\pm}3.3$$2.6{\pm}4.1$개였다. 1~2산의 공란우($8.9{\pm}1.9$)보다 3~5산의 공란우($14.3{\pm}1.3$)에서 총 난자수가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회수된 정상 수정란 수도 3~5산의 공란우($7.3{\pm}0.8$)에서 6산 이상의 공란우($3.7{\pm}1.5$)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회수된 총 난자수와 정상수정란도 각각 가을($10.1{\pm}1.8$, $4.5{\pm}1.1$)과 겨울($6.3{\pm}1.8$, $3.3{\pm}1.1$)보다 여름($16.4{\pm}2.3$, $8.1{\pm}1.4$)에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이식가능 수정란은 겨울($3.0{\pm}1.0$)보다 여름($7.6{\pm}1.3$)에서 유의적으로 많이 회수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공란우의 산차, 과배란 처리계절은 한우수정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와 젖소에서 연속적인 다배란 처리의 효과 (The Effects of Consecutive Superovulation in Hanwoo and Holstein Cattle)

  • 박성재;류일선;손동수;최선호;백광수;박수봉;전병순;안병석;김현섭;김일화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1-105
    • /
    • 2007
  • 본 연구는 한우와 홀스타인 젖소에서 연속적인 다배란 처리 시 효율성 및 부작용에 대한 문제점을 연구하고자 다른 종간 다배란 처리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연속적인 다배란 처리를 위하여 estradiol benzoate(EB)와 CIDR plus, FSH 호르몬을 이용하여 한우에서는 17두, 젖소에서는 9두를 2회 이상 반복 이용하였다. 다난포 발생을 위해서는 FSH 호르몬을 이용하고 호르몬 처리 동기화를 위해서는 CER plus 기구를 질 내 삽입하였으며, 주요 조사 항목으로는 번식기관의 문제점, 배란 효율, 회수된 수정란 수, 우수 수정란 수 등을 분류하고, 종합적으로 종간 연속적인 다배란 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한우에서는 17두 중 4두(23.5%)에서 자궁경관의 협착이 발생하였고, 자궁 내에 손상이 발생하여 채란이 되지 않는 경우도 4두(23.5%)의 발생이 조사되었으나, 상대적으로 젖소에서는 9두 중 4두에서 일시적으로 배란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연속 처리 후 채란된 수정란의 수를 종합해 보면, 젖소에서는 평균 $4.3{\pm}3.4$개, 한우에서는 $2.7{\pm}2.5$개였으며, 종간 호르몬 효율과 연관된 배란율 조사에서는 한우에서는 89.7%, 젖소에서는 80.4%의 성적을 보였다. 또한, 3회까지 연속 다배란 처리를 한 결과, 한우나 젖소에서 채란된 수정란의 수는 비슷한 수준으로 채란되었다. 이와 같은 성적을 종합해 볼 때 EB제나 CIDR plus, FSH를 이용하여 1개월 주기로 연속적인 수정란 채란을 위한 다배란 처리가 소의 종에 무관하게 가능하다고 사료되지만 일시적으로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 소에 대한 문제나 번식기관의 손상, 채란되는 수정란의 수가 적다는 것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00 mg FSH 투여에 의한 한우의 과배란 유도 및 체내 수정란 생산 (Superovulatory Response to 200 mg FSH Level and Production In Vivo Embryos in Korean Native Cattle (Hanwoo))

  • 박정준;유한준;김기원;이승환;박춘근;홍성구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33-238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SH levels for superovulation procedure in Korean Native Cattle (Hanwoo). The effectiveness of 200 mg and 400 mg of FSH to initiate superovulation was examined in Hanwoo. Donors, at random stages of the estrous cycle, received a CIDR 7 days later, 200 mg FSH group was treated with 40, 30, 20, 10 mg FSH levels in declining doses twice daily by intramuscular injection fur 4 days. Also, 400 mg FSH group was treated with 80, 60, 40, 20 mg FSH levels. On the 3rd day administration of FSH, 25 mg $PGF_2$ ${\alpha}$ was administered and CIDR was withdrawn. Donor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twice at 12 hr intervals. The donor cattle received 250 ${\mu}g$ GnRH at time of 1st insemination and embryos were recovered 8 days after the 1st insemination. As a results, average number of CL treated with FSH 200 mg was higher as $20.9{\pm}1.20$ than $15.8{\pm}0.63$ for donors treated with FSH 400 mg, respectively(p<0.05). Treated group of 200 mg FSH level increased (p<0.05) the number of embryos recovered per procedure compared to 400 mg FSH level ($18.2{\pm}1.18$ vs. $12.38{\pm}0.52$, respectively). When treatment of 200 mg FSH was performed, average transferable embryos/ova increased (p<0.05) to $14.1{\pm}1.12$ from $6.8{\pm}0.33$ of treated of 400 mg FSH. Group of 200 mg FSH increased (p<0.05) to $8.3{\pm}0.76$ from $2.0{\pm}0.26$ in morula stage compare to 400 mg FSH group. Mean of total early blastocyst and expanded blastocyst stage embryos was similar (p<0.05) between the 200 mg and 400 mg FSH levels group ($4.7{\pm}1.19$ vs. $2.9{\pm}0.18$ and $1.2{\pm}0.40$ vs. $1.9{\pm}0.17$). These results suggest that 200 mg FSH level-based superovulation protocol with CIDR may be effectively used fur production of superior embryos in Hanwoo. In other words, the less level of FSH may be effectively applied for Hanwoo (Korean Native Cattle), because Hanwoo was smaller body size than beef or daily cow.

한우 공란우의 영양 상태와 이식 가능 수정란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Transferable Embryos in Hanwoo Donors)

  • 정연섭;최창용;조상래;임현주;윤호백;백광수;권응기;손동수;손준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20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body condition score (BCS), blood urea nitrogen (BUN), glucose, cholesterol and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reproductive performance in Hanwoo donors. Seventy five cows, at random stages of the estrous cycle, received a CIDR together with injection of 1mg estradiol benzoate and 50 mg progesterone, and gonadotropin treatment begann. Four days later, the animals were superovulated with a total of 28AU FSH (Antorin, 2AU = 1 ml) administered twice daily in constant doses over 4 days. On the 3rd administration of FSH, CIDR was withdrawn and 25 mg $PGF_2{\alpha}$ was administered. Cow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twice after estrous detection at 12 hr intervals. The cows received $100{\mu}g$ GnRH at the time of 1st insemination. Embryos were recovered 7 days after the 1st insemination. In conclusion, cows with body weight < 400, 400~450 and > 450kg had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of $4.2{\pm}1.7$, $6.1{\pm}2.7$ and $4.8{\pm}2.6$, cows with BCS <2.25, 2.25~2.75 and ${\geq}2.75$ had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of $4.6{\pm}1.6$, $5.7{\pm}2.4$ and $5.1{\pm}2.7$ respectively. These data indicate that a body weight and BCS for superovulation of CIDR-treated Korean native cows does not affect the embryo y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