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DP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초

골반골의 악성 골종양의 재건술에서 체외 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3례 보고 (Recycling Bone Autotransplantation with Extracorporeal Heat-Treatment for Malignant Bone Tumors of Pelvis)

  • 김세훈;이상훈;조환성;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5-123
    • /
    • 2003
  • 연구계획: 골반골의 악성골종양의 재건술에서 체외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3례의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골반골의 악성골종양의 재건술에서 체외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이 골반골의 재건에 있어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증례: 증 례 1~20세 여자 환자로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우측 고관절부와 대퇴부 동통을 주소로 외부 병원에서 우측 장골에 소파술 및 골 시멘트 충전술 시행 후 악성 골종양으로 진단하에 술 후 방사선 치료 6회 시행 후 전원되어 우측 장골 광범위 절제술 및 섭씨 132도에서 2분간 열처리 후 자가골 재삽입술 시행하고 우측 고관절의 인공 관절 치환술 (ABG$^{(R)}$)을 병행하였다. 수술 당시 전이의 증거는 없었으며 술후 조직 병리 검사상 고분화 골육종 진단되었으며 술전 또는 술후 화학 요법은 시행하지 않았다. 증 례2~56세 여자 환자로 약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우측 대퇴부 동통으로 방사선 검사상 이상 발견되어 전원 후 절개 생검 시행하였다. 결과상 골육종 진단되어 우측 골반골 광범위 절제술 후 섭씨 6 5도 하에서 3 0분간 저온 열처리 후 자가골 삽입 고정술 시행하고 우측 고관절에 대하여 인공 관절 치환술 (ABG$^{(R)}$)을 병행하였다. 수술 당시 전이의 증거는 없었으며 술 후 조직 병리 검사상 고등급 섬유모세포형의 골육종이 진단되었다. 술후 화학 요법은 HDMTX, ADR, CDDP으로 시행하였다. 증 례 3~46세 여자 환자로 우연히 발견된 좌측 장골의 종괴로 연골육종 의심 하에 좌측 골반골 광범위 절제술 후 섭씨 65도 하에서 30분간 저온 열처리 후 자가골 삽입 고정술 시행하고 좌측 고관절에 대하여 인공 관절 치환술 (Protek$^{(R)}$)을 병행하였다. 수술 당시 전이의 증거는 없었으며 술후 조직 병리 검사상 II/III 등급의 연골육종이 진단되었다. 결과: 최종 추시상 각 증례의 종양학적 및 기능적 결과는 증례 1은 7년 추시상 국소적 재발이 없는 상태였으며 Ennecking 등에 따른 기능적 평가 지수에서 53%로 평가되었다. 방사선 추시상 약 1년에서 1년 6개월 사이에 골유합이 관찰되었으며 최종 추시시 장골의 재건 금속판의 파괴 소견이 보였으나 환자의 증상과 연관되지는 않았다. 증례 2는 3년 6개월 추시상 국소적 및 원격 재발이 없는 상태였으며 기능적 평가 지수는 60%로 평가되었다. 증례 3은 7개월 추시상 국소적 및 원격 재발이 없는 상태였으며 기능적 평가 지수는 63%로 평가되었다. 결론: 체외 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3례에서 비교적 만족할만한 종양학적 및 기능적 결과를 보였으며 한국에서 동종 골 이식술이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이 방법은 골반골을 재건하는데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와 복합 항암화학요법의 동시치료 결과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A Phase I/II Prospective Study)

  • 강원철;최은경;정원규;김종훈;장혜숙;김용만;김영탁;남주현;목정은;이무송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311-323
    • /
    • 1998
  • 목적 :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와 5-FU, CDDP 복합항암요법의 동시 치료에 의한 종양관해율, 치료부작용, 예후인자, 실패양상과 생존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향적 제 2상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울산대학교 서울중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와 산부인과에서 1992년 5월부터 1997년 1월까지 FIGO병기 IIB, III, IVA의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치료한 환자 73명중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2회의 FP 항암요법을 시행한 6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FIGO병기에 의한 분포는 IIB 46명, IIIA 2명, IIIB 15명, IVA 5명이었고, 이들의 연령분포는 31세에서 77세까지로 중앙값 58세이었다. 방사선치료시 외부조사는 전골반부에 4,140-5,040 cGy를 시행후 192Ir 고선량 근접치료기로 주 3회씩 6-7회의 강내조사를 시행하며 동시에 B점추가 조사를 시행하여 A점에 7,500-8,000 cGy, B점에 6,000-6,500 cGy가 되도록 조사하였다. FP(5-FU; 1,000mg/$m^2$/24 hours, 4 days+CDDP; 20mg/$m^2$/3 hours, 3 days) 항암화학요법은 방사선치료 시작 제 1일과 제 29일에 각각 4일간 투여하도록 하였다. 치료효과는 치료종료시점과 치료후 1개월, 3개월에 시행한 부인과 검사와 MRI로 판정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추적기간은 4개월에서 68개월 (중앙값 24개월)이었다. 생존율을 분석한 환자 64명의 5년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은 각각 52$\%$와 64$\%$였으며, FIGO병기 IIB인 환자의 5년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58$\%$, 71$\%$이었고, FIGO병기 III와 IVA인 환자는 각각 36$\%$, 46$\%$이었다. 재발양상은 전체 재발율이 27.9$\%$ (19/68)로, 국소재발이 5.9$\%$ (4/68), 원격전이가 10.3$\%$(7/68),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같이 있는 경우가 11.8$\%$ (8/68)로 나타났다. 치료종료 한달 후 치료 효과를 판정할 수 있었던 64명중 78$\%$ (50/64)가 완전관해를 보였다. 예후인자는 단변량분석시 5년생존율에 FIGO병기, 치료반응율, 골반내와 대동맥주위 림프절 전이유무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었고, 다변량분석시 치료반응율과 치료중 혈색소 농도가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나타났다. 치료에 따른 독성은 10$\%$내외로 치료후 대부분 자연 회복되었으나, 2차 항암약물투여중 폐부종이 발생한 1명과 치료종료후 8개월에 만성합병증인 장천공이 발생한 1명은 치료에 따른 부작용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와 복합항암요법의 동시치료는 수용 가능한 독성을 보였고, 진행된 경우 생존율의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좀 더 장기적인 추적관찰후 여러 예후인자들을 고려하여 초기 치료반응율을 높이는 치료방법의 선택이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동시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의 종양관해율과 생존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제 3상 무작위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u-erh Tea Powder Preventive Effects on Cisplatin-Induced Liver Oxidative Damage in Wistar Rats

  • Zheng, Xiao-Nan;Wang, Xiao-Wen;Li, Li-Ya;Xu, Zi-Wei;Huang, Hsin-Yi;Zhao, Jin-Sheng;Zhang, Duo;Yin, Xu;Sheng, Jun;Tang, Jin-Ti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7호
    • /
    • pp.7389-7394
    • /
    • 2014
  • Background: Chemotherapy is one of the major means for control of malignancies, with cisplatin (CDDP) as one of the main agents,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malignant solid tumors. However, prevention of hepatotoxicity from cisplatin is one of the urgent issues in cancer chemotherapy.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erh tea on hepatotoxicity through body weight and tissue antioxidant parameters like, liver coefficient,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malondialdehyde(MDA) and glutathione (GSH) levels, and light microscopic evaluation by histological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The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Control (n=10), cisplatin (3 mg/kg p.i., n=10), cisplatin+pu-erh (0.32 g/kg/day i.g., n=10), cisplatin+pu-erh (0.8 g/kg/day i.g., n=10) and cisplatin+pu-erh (1.6 g/kg/day i.g., n=10). Pu-erh tea powder was administrated for 31 consecutive days. The rats were sacrificed at the end on the second day after a single dose of cisplatin treatment for measuring indices. Results: Pu-erh tea powder exhibited a protective effect by decreasing MDA and GSH and increasing the SOD and GSH-PX levels and GSH-PX/MDA ratio in ca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Besides, pu-erh tea was also able to alleviate the pathological damage to some extent. Conclusion: Pu-erh tea powder is protective against cisplatin-induced liver oxidative damages, especially at the medium dosage (0.8 g/kg/d).

시스플라틴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청각유모세포 사멸 효과 (The Effect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Cisplatin on the Death of Sensory Hair Cells.)

  • 이정한;박찬희;박래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42-549
    • /
    • 2008
  • Cisplatin은 임상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종양 치료에 사용되는 중요한 항암제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cisplatin은 이독성, 신장독성, 골수독성, 위장독성 및 말초신경독성 등의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용이 제한적이다. Cisplatin에 의한 청각장애에서 organ of Corti 외측 유모세포(outer hair cells) 손상이 유발한다. Cisplatin에 의한 세포독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pro-inflammatory cytokine과 관련된 청각세포사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 연구에서 cisplatin은 청각세포주 HEI-OC1 세포와 렛트 cochlear explant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lpha}$, $IL-1{\beta}$ 및 IL-6의 유전자 발현과 분비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이들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organ of Corti 청각유모세포에 직접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외측 및 내측 유모세포와 배열을 파괴하였다.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TNF-{\alpha}$를 cisplatin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immunocytochemistry를 통하여 관찰 한 결과 organ of Corti에서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됨을 관찰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중화항체를 처리하여 cisplatin에 의한 세포독성이 현저히 감소됨을 HEI-OC1 세포와 청각유모세포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GSH, NAC와 같은 항산화제를 처리하여 세포독성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cisplatin에 의한 청각유모세포의 죽음에서 $TNF-{\alpha}$, $IL-1{\beta}$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병리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식도암에서 MDM2, p53, pRb 발현과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의 결과 (MDM2, p53 and pRb Expression Prior to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in Esophageal Carcinoma)

  • 윤미선;이재혁;조상희;송주영;안성자;정익주;정웅기;나병식;남택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193-200
    • /
    • 2007
  • 목적: 식도암에서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전 MDM2, p53, pRb 발현양상이 치료반응 및 생존율 등 치료결과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AJCC 병기 $I{\sim}IVa$로 근치적 목적의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받은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8{\sim}2.0$ Gy씩 원발병소에 중앙값 54 Gy를 시행하였고 항암화학요법은 CDDP/5-FU를 4주 간격으로 4회 시행하고 첫 2회는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시행하였다. MDM2, p53, pRb 발현의 검출은 치료 전 내시경하 조직생검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방법을 이용하였다. 단백발현 양성종양세포가 50%이상인 경우를 고발현군으로 정의하였다. 전체 환자의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26개월이었다. MDM2, p53, pRb 고발현군은 각각 19.6%, 27.5%, 66.7% 이었다. 그러나 이들의 발현 정도와 치료반응, 종양특이 생존율, 전체 생존율 등 모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연령(65세 이하 vs. 초과), 종양의 위치(상부, 중앙부, 하부),종양의 길이(5 cm이하 vs. 초과). 병기($I{\sim}II$ vs. $III{\sim}IVa$), MDM2 (저발현 vs. 고발현), p53 (저발현 vs. 고발현), pRb (저발현 vs. 고발현), 병리학적 완전관해여부, 임상적 완전관해여부 등 9개 요인들을 대상으로 종양특성 생존율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 병리학적 완전관해여부(RR 12.100, p<0.001)와 병기(RR 3.300, p=0.028) 만이 유의한 인자들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MDM2, p53, pRb의 치료 전 발현양상과 치료결과와 의미있는 연관성은 발견할 수 없었다. 향후 상기 발현인자들을 포함하여 잠재적인 예후인자로서 새로운 다른 발현인자들을 발굴하고 보다 많은 증례 수를 대상으로 추적기간을 보강하여 이들을 재평가하는 연구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