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98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31초

가공식품 중 중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A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in Processed Food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 이효정;심지연;오현숙;장미란;이윤애;이륜경;김민아;이상민;조태용;강호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1-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주요섭취 가공식품(우유, 식용유지, 마가린) 3개 품목에 대한 납, 카드뮴, 비소의 기준 규격 설정을 위해 가공식품 총 287건을 전국 8개 권역(강원, 경기, 경남, 경북, 충청, 전남, 전북, 경남, 제주)에서 수거하고 각 시료를 microwave 분해법으로 전처리 하였다. 시료의 산분해 전처리 시 보다 객관화된 시료 전처리 방법의 확립을 위해 잔여 $^{12}C$ intensity를 ICP-MS로 측정하여 가장 분해정도가 우수한 조건(검체량, 질산량, 과산화수소량)을 선정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전처리한 시료의 납, 카드뮴, 비소 함량은 ICP-MS로 분석하였다.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LOQ)는 납의 경우, 우유 0.3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61 ${\mu}g/kg$ 이었고, 카드뮴의 경우, 우유 0.15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31 ${\mu}g/kg$이었다. 비소의 경우, 우유 0.45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91 ${\mu}g/kg$이었다. 납, 카드뮴, 비소의 회수율은 납 92.6-98.0%, 카드뮴 91.2-98.9%, 비소 97.9-105.6% 수준 이었다 모니터링 결과, 가공식품의 납의 평균함량은 우유 2.395 ${\mu}g/kg$, 식용유지 7.656 ${\mu}g/kg$이었으며, 카드뮴의 평균함량은 우유 0.483 ${\mu}g/kg$, 식용유지 0.380 ${\mu}g/kg$이었다. 비소의 평균함량은 우유 0.781 ${\mu}g/kg$, 식용유지 1.241 ${\mu}g/kg$이었다. 가공식품의 Codex 납 기준 0.02-0.1 mg/kg, 카드뮴 0.1 mg/kg, 비소 0.1 mg/kg 수준과 비교해 볼 때, 모든 검체에서 기준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2005년 국민건강조사 DB에서 조사대상 인구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위해평가 한 결과 대상 식품들의 납, 카드뮴, 비소의 인체노출수준을 JECFA의 납, 카드뮴, 비소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으로 나누어 위해지수를 산출한 결과, 1.0 보다 훨씬 낮게 나타남으로 위해도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판단된다.

Para-Vinylpyridine-vinylsulfonic Acid 수지(樹脂)의 합성(合成)과 이온 교환능(交換能) (Synthesis and Ion Exchange Capacity of 4-Vinylpyridine-vinylsulfonic Acid Resin)

  • 성낙도;송해영;박병관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584-590
    • /
    • 1982
  • 고분자 킬래이트의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4-vinylpyridine-vinylsulfonic acid-divinylbenzene 이온 교환체를 합성하여 이온 교환 특성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4-vinylpyridine-vinylacetate-divinylbenzene (1)의 합성은 4-vinylpyridine과 vinylacetate의 몰비가 2 : 1 이고 $95{\sim}98^{\circ}C$에서 50분간 가열하였을 경우가 가장 좋은 합성 조건이었으며 4-vinylpyridine-vinylsulfonic acid-divinylbenzene (2) 강산성 이온 교환수지의 양이온과 음이온교환 용량은 4.8meq/g와 2.5meq/g로 양쪽성 이었으며 Dowex 50W-X8과 비슷한 값을 얻었다. (2) pH가 증가할수록 Cd(II), Cu(II) 그리고 Co(II) 금속 이온의 흡착능이 증가하며 흡착력은 금속 양이온의 크기와 전하의 크기가 클수록 Cd(II)>Cu(II)>Co(II)의 순서로 보다 좋은 흡착력을 나타내였다. (3) 알콜의 량이 크다하여도 alkyloxonium이온의 탈수로 인하여 용매의 극성이냐 유전 상수에 미치는 영향이 분자와 이온간의 회합성이 원활하도록 하기 때문에 알콜의 량보다는 알콜의 차수가 흡착에 다소 영향을 미치며 낮은 산 용액과 알콜의 알킬기 차수가 작을수록(t-BuOH

  • PDF

친환경 비스무스 필름 전극을 이용한 중금속 분석 최적조건 도출 및 현장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Field Application and Optimum Operational Condition for Heavy Metals Analysis Using Environment-Friendly Bismuth Film Electrode)

  • 김소연;양용운;전숙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7-142
    • /
    • 2011
  • 본 연구는 실험실 조건에서 비스무스 필름 전극(Bismuth film Electrode)을 사용한 양극산화벗김분석법(Anodic Stripping Voltammetry)에서 비스무스의 첨가 농도와 적정 전해질을 선택하여 최적 조건을 산출하고 최적조건을 기반으로 현장에서 중금속 모니터링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하였다. 비스무스(Bi)와 혼합중금속(Pb, Cd, Zn) 실험을 통해 정확한 중금속의 측정을 위해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중금속보다 1:1 이상의 비스무스가 첨가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해질 테스트에서는 0.1 M acetate buffer (pH 4.5), 0.1 M chloroacetate buffer (pH 2.0), 0.1 M HCl (pH 2.0), 0.1 M $HNO_3$ (pH 2.0) 중 0.1 M acetate buffer가 비스무스 필름전극을 이용한 중금속 분석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적용시, 중금속 표준용액 100 ppb 첨가 테스트 결과 Pb은 36~45 ppb, Cd는 84~91 ppb, Zn은 90~98 ppb가 측정되었다. 첨가한 중금속보다 낮은 농도로 중금속이 측정되는 것은 현장수 매질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추후 현장수 매질과 중금속 측정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천식과 호산구성 기관지염에서 CD4, CD8 림프구 침윤 (Submucosal CD4+ and CD8+T Lymphocyte Infiltrations in Asthma and Eosinophilic Bronchitis)

  • 이상엽;이승룡;김제형;신철;심재정;강경호;유세화;인광호;이지혜;정운용;김한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5호
    • /
    • pp.459-466
    • /
    • 2003
  • 연구배경 : 천식과 호산구성 기관지염은 기도의 호산구성 염증 질환이다. 그러나, 호산구성 기관지염은 천식과 달리 기도의 가역적인 폐쇄와 기도 과민반응이 관찰되지 않는다. 천식은 호산구와 CD4 립프구의 침윤이 특징인데, 최근 천식과 호산구성 기관지염에서 호산구와 림프구 침윤의 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천식과 호산구성 기관지염에서 CD4, CD8 림프구 침윤의 정도를 비교하여 두 질환의 명인기전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방 법 : 천식환자 17명과 호산구성 기관지염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기관지 내시경하 점막 조직 생검을 시행하고, 기관지 조직에서 CD4, CD8 림프구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CD4 림프구의 중위값($cells/mm^2$)은 호산구성 기관지염군에서는 58.6(34.6~92.5), 천식군에서는 50.0(19.9~87.3)이었다. 두 군에서 CD4림프구의 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341). CD8 림프구의 중위값($cells/mm^2$)은 호산구성 기관지염군에서는 46.7(30.0~98.9), 천식군에서는 11.8(5.1~38.5)이었다. CD8 림프구의 수는 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03). 결 론 : 호산구성 기관지염에서 CD8 림프구의 침윤이 현저하며, CD8 림프구가 호산구성 기관지염의 병인기전과 천식과 다른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는데 관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pitope발현 DNA Vaccine과 Recombinant Vaccinia Virus를 이용한 Heterologous Prime-boost Vaccination에 의하여 유도되는 CD8+ T 세포 매개성 면역 (CD8+ T Cell-mediated Immunity Induced by Heterologous Prime-boost Vaccination Based on DNA Vaccine and Recombinant Vaccinia Virus Expressing Epitope)

  • 박성옥;윤현아;;이존화;채준석;어성국
    • IMMUNE NETWORK
    • /
    • 제5권2호
    • /
    • pp.89-98
    • /
    • 2005
  • Background: DNA vaccination represents an anticipated approach for the control of numerous infectious diseases. Used alone, however, DNA vaccine is weak immunogen inferior to viral vectors. In recent, heterologous prime-boost vaccination leads DNA vaccines to practical reality. Methods: We assessed prime-boost immunization strategies with a DNA vaccine (minigene, $gB_{498-505}$ DNA) and recombinant vaccinia virus $(vvgB_{498-505})$ expressing epitope $gB_{498-505}$ (SSIEF ARL) of CD8+ T cells specific for glycoprotein B (gB) of herpes simplex virus (HSV). Animals were immunized primarily with $gB_{498-505}$ epitope-expressing DNA vaccine/recombinant vaccinia virus and boosted with alternative vaccine type expressing entire Ag. Results: In prime-boost protocols using vvgBw (recombinant vaccinia virus expressing entire Ag) and $vvgB_{498-505}$, CD8+ T cell-mediated immunity was induced maximally at both acute and memory stages if primed with vvgBw and boosted with $vvgB_{498-505}$ as evaluated by CTL activity, intracellular IFN-staining, and MHC class I tetramer staining. Similarly $gB_{498-505}$ DNA prime-gBw DNA (DNA vaccine expressing entire Ag) boost immunization elicited the strongest CD8+ T cell responses in protocols based on DNA vaccine. However, the level of CD8+ T cell-mediated immunity induced with prime-boost vaccination using DNA vaccine expressing epitope or entire Ag was inferior to those based on vvgBw and $vvgB_{498-505}$. Of particular interest CD8+ T cell-mediated immunity was optimally induced when $vvgB_{498-505}$ was used to prime and gB DNA was used as alternative boost. Especially CD7+ T cell responses induced by such protocol was longer lasted than other protocols. Conclusion: These facts direct to search for the effective strategy to induce optimal CD8+ T cell-mediated immunity against cancer and viral infection.

우슬 메탄올 추출물이 흰쥐의 카드뮴 흡입독성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on Cadmium Inhalation Toxicity in Rat)

  • 강홍구;홍지우;한현정;황유연;정재열;이기남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784-1794
    • /
    • 2004
  • To study the effects between Cd inhalation toxicity and methanol extract of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4 rat groups were exposed to Cd aerosol by whole-body inhalation exposure for 6 hours/day, 5 days/week, and 4 weeks. Cd concentration in air was 0.98㎎/㎥ and mass median diameter(MMD) was 1.78㎛. 3 different dose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methanol extract of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to 3 inhalation exposure groups applied for 4 week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ighest body weight gain for 4 weeks and food intake per day were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p<0.05). The highest lung weight was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 and the highest liver and kidney weight were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Ⅱ(p<0.05). The lowest Cd content in lung was 22.77㎍/g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p<0.05). The highest Cd concentration in blood was 11.71㎍/㎗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Ⅰ(p<0.05). Cd concentrations of 14.87㎍/g in liver and 17.91㎍/g in kidney were the highest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Ⅰ(p<0.05). The lowest Cd concentration in liver and kidney were 5.71㎍/g and 3.17㎍/g from the control(p<0.05). For weekly Cd concentration in urine, the highest value was 0.48㎍/㎖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 of the 3rd week and inhalation exposure group Ⅰ, Ⅱ of the 4th week. For weekly Cd concentration in feces, the highest value was 0.32㎍/g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Ⅰ, Ⅱ, Ⅲ. The highest metallothionein concentration in lung was 89.02㎍/g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p<0.05). The highest metallothionein concentrations in liver and kidney were 265.47㎍/g and 214.21㎍/g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 respectively(p<0.05). The highest Hct, Hb, and WBC values were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Ⅱ and the highest RBC value was from inhalation exposure group Ⅲ(p<0.05). Mostly damaged part in liver tissue was hepatic lobule and the degrees of damage were lessened by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methanol extract of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Proximal, distal convoluted tubules and glomerulus in kidney tissue were mostly damaged part. Degeneration and swelling were partially observed but the degrees of kidney tissue damage were lessened more or less by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methanol extract of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Enhanced antidiabetic efficacy and safety of compound K/β-cyclodextrin inclusion complex in zebrafish

  • Nam, Youn Hee;Le, Hoa Thi;Rodriguez, Isabel;Kim, Eun Young;Kim, Keonwoo;Jeong, Seo Yule;Woo, Sang Ho;Lee, Yeong Ro;Castaneda, Rodrigo;Hong, Jineui;Ji, Min Gun;Kim, Ung-Jin;Hong, Bin Na;Kim, Tae Woo;Kang, Tong H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1호
    • /
    • pp.103-112
    • /
    • 2017
  • Background: 20(S)-Protopanaxadiol 20-O-D-glucopyranoside, also called compound K (CK), exerts antidiabetic effects that are mediated by insulin secretion through adenosine triphosphate (ATP)-sensitive potassium ($K_{ATP}$) channels in pancreatic ${\beta}$-cells. However, the antidiabetic effects of CK may be limited because of its low bioavailability. Methods: In this study, we aimed to enhance the antidiabetic activity and lower the toxicity of CK by including it with ${\beta}$-cyclodextrin (CD) (CD-CK),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CD-CK compound enhanced pancreatic islet recovery, compared to CK alone, in an alloxan-induced diabetic zebrafish model. Furthermore, we confirmed the toxicity of CD-CK relative to CK alone by morphological changes, mitochondrial damage, and TdT-UTP nick end labeling (TUNEL) assays, and determined the ratio between the toxic and therapeutic dose for both compounds to verify the relative safety of CK and CD-CK. Results: The CD-CK conjugate ($EC_{50}=2.158{\mu}M$) enhanced the recovery of pancreatic islets, compared to CK alone ($EC_{50}=7.221{\mu}M$), as assessed in alloxan-induced diabetic zebrafish larvae. In addition, CD-CK ($LC_{50} =20.68{\mu}M$) was less toxic than CK alone ($LC_{50}=14.24{\mu}M$). The therapeutic index of CK and CD-CK was 1.98 and 9.58,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D-CK inclusion complex enhanced the recovery of damaged pancreatic islets in diabetic zebrafish. The CD-CK inclusion complex has potential as an effective antidiabetic efficacy with lower toxicity.

Innate lymphoid cell markers: expression, localization, and regulation at the maternal-conceptus interface in pigs

  • Yugyeong Cheon;Inkyu Yoo;Soohyung Lee;Hakhyun Ka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9-98
    • /
    • 2023
  • Background: The regulation of maternal immunity is critical for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successful pregnancy. Among many cell types regulating the immune system, innate lymphoid cells (ILCs) are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nnate immunity. Although some reports show that ILCs are present at the maternalconceptus interface in humans and mice, the expression and function of ILCs in the endometrium have not been studied in pigs. Methods: Thus, we determined the expression, localization, and regulation of ILC markers, CD127 (a common marker for ILCs), BCL11B (a ILC2 marker), and RORC (a ILC3 marker) at the maternal-conceptus interface in pigs. Results: The expression of BCL11B and RORC, but not CD127, in the endometrium changed during pregnancy in a stage-specific manner and the expression of CD127, BCL11B, and RORC was greatest on Day 15 during pregnancy. CD127, BCL11B, and RORC were also expressed in conceptus tissues during early pregnancy and in chorioallantoic tissues during the later stage of pregnancy. BCL11B and RORC proteins were localized to specific cells in endometrial stroma. The expression of CD127 and BCL11B, but not RORC, was increased by the increasing doses of interferon-γ (IFNG) in endometrial explant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LCs present at the maternal-conceptus interface may play a role in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pregnancy by regulating the innate immunity in pigs.

알코올중독자의 백혈구탐식능, 림프구아형 및 증식능 (Lymphocyte Subpopulations and Proliferation of T cells, Phagocytic Activity of Leukocytes on Alcoholics)

  • 김용호;서병배;이정녀;김영훈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7-174
    • /
    • 1996
  • 알코올 중독자의 폐렴관리와 같은 건강관리에 필요한 비특이 면역력, 면역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알코올 중독 의존형으로 입원한 신,구환자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에 대한 알코올 중독증은 MCV, 혈당, $\gamma$GTP를 이용한 생물학적 측정 결과에 의하여 확인하였으며, 기타 측정 항목은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림프구 아형 분석 결과 대조군은 한국인 참고치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실험군 CD4+를 제외한 CD3+, CD8+, CD19+이 감소되었고, CD4+/CD8+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험군의 면역기능과 림프구 증식능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탐식세포 탐식능 및 유주능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탐식세포의 유주능과 CD4+의 증가, CD4+/CD8+비율의 증가와 PHA에 의한 림프구 증식능의 감소 및 CD3+, CD19+ 감소등은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일치된 결과를 보여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저하된 탐식세포의 탐식기능과 함께 알코올 중독자의 비특이 면역계, 면역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알코올 중독 의존형으로 입원한 신,구환자간의 비교 분석 결과 총단백질, 혈색소, 림프구 증식능, 탐식세포 탐식능, 유주능에서 신환자군에 비하여 구환자군이 대조군에 다소 근접되어가는 결과로부터 치료에 따라 숙주의 세포성, 체액성 면역기능이 회복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결과 알코올중독자의 비특이적 면역능의 측정을 위한 탐식세포 탐식능, 유주능은 숙주, 미생물측의 활성화 자극인자가 모두 포함된 phagocytic plaque film법에 의하여 측정함이 의의 있는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CD4+/CD8+ 림프구 아형 비율을 이용한 면역기능의 측정은 알코올 중독자의 건강 관리를 위한 면역력 측정에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된다사이에서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그러나 25개월 운동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다. 연령증가에 따른 사립체 내막 표면밀도와 사립체수는 대조군과 운동군 사이에는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본 연구의 성적을 검토한 결과 젊은층(3개월군)과 중령층(10개월군)의 횐 쥐에서는 반복된 지구력운동이 심장에 미치는 역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으며 젊은 층의 횐 쥐에서는 오히려 심장기능 강화를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노화층(20개월군)에서 운동군에서는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심장기능의 저하를 초래하였다고 생각된다.서 낭송된다. 그러나 이 연구의 기본은 시인과 독자의 율형(Metrical Pattern)에 대한 의식과 의도(intention)가 전제된다. 이것은 이 연구의 문제임과 동시에 장점이다. 시율의 분석은 보는 율형이 아니라 읽고 낭송하는 율형으로 분석되어야 함을 보여 준 것이 이 연구의 기여이다.ight reduction but the rapid weight gain was noticed right after the diets ceased.나 인과 질소 평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더덕은 20(種)이었다. 9. Trans-2-hexanol은 야생(野生)더덕의 자생지(自生地) 재배(栽培)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50.3%, 재배지(栽培地)에서 피이크 면적(面積) 당(當) 43.3%를 보였으며 amylalcohol, furfuryl acetate, 2-methoxy-4-vinyl phenol(MVP)는 재배(栽培)더덕에서만 확인(確認)되었다.는 KI, BMI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p<0.01), HCL-C은 비체중, BMI, LBM, TBM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0.01), KI, SBP와도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LCL-C는 KI와 유의적이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p<0.01) BF%, TBF, BMI와도

  • PDF

Cervical Precancerous Lesions and Cancer among Patients in the Gynaecology Outpatient Department at a Tertiary Hospital in South Africa

  • Hank, Edward;Hoque, Muhammad Ehsanul;Zungu, Lindiw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903-4906
    • /
    • 2013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roportional rates of cervical precancerous lesions and cancer, and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HIV status, and CD4 cell count.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medical records of all women over age 18 that were diagnosed histologically through colposcopy with cervical precancerous lesions and cancer from 1 December 2011 to 30 November 2012. Results: A total of 313 patient record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average age was 39.1 (SD=2.04) years. More than a third (37.1%) of the patients had CIN III or cervical cancer.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ge, CD4 cell count, HIV status, and cervical lesions (p<0.05). Age was found to be an influential predictor of cervical lesions (OR=0.67, 95%CI: 0.46-0.98). Conclusions: There exists an association between age and cervical lesions, with presentation of cervical precancerous lesions and cervical cancer at a younger age among HIV reactive patients. The National Guidelines should be brought in line with the National HIV Counseling and Testing Policy to offer Pap smears to all sexually active women that test HIV reactive during routine HIV Te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