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D+ 세포

Search Result 71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 임파구와 세포성면역

  • 최철순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5권10호
    • /
    • pp.595-606
    • /
    • 1989
  • 항원제시세포(APC)와 보조T세포 간의 협력작용에 의하여 활성화된 작동세포(NK세포, CTL, K세포, 대식세포, 과립구 등)의 종양세포, 이식장기 및 세포내기생세균에 감염된 각종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작용은 생체방어를 위한 중요한 세포성면역기전이다. 지난 몇 년간 세포성면역기전에 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T림파구매개성 세포독성작용의 면역생물학적기전은 확실히 밝혀있지 않다. 지금까지 알려진 중요한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포독성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세포로는 NK세포, CTL, K세포, 대식세포/단핵구 및 과립구가 있다. 2. T세포의 세포표면항원분자군(CD)으로는 $CD_{2},\;CD_{3},\;CD_{4}[Ly_{3}T_{4}],\;CD_{5}[=Ly_{1}],\;CD_{7},\;CD_{8}[Ly_{2,3}]$가 있으며 $CD_{4}$는 보조Ttpvhdml 특이마커이고 $CD_{8}$는 세포독성 T세포 및 억압T세포의 특이마커이다. 주요 T세포수용체(TCR)는 $CD_{4}$ 또는 $CD_{8}$ 분자와 가까이 연합된 이향체($TCR-{\alpha}{\beta}/TCR-{\gamma}{\delta}$이며 보조 T세포 $CD_{4}$(마우스 $L_{3}T_{4}$)는 수용체와 연합되어 있는반면 억압 T세포 $CD_{8}(Ly+_{2,3})$는 항원수용체와 연합되어 있다. 3. T세포는 Ti-$CD_{3}$(항원/MHC) 복합체를 통한 '항원가교'에 의한 자극(항원인식)과 $CD_{2}$를 통한 비특이경로에 의하여 활성화(분화증식)된다. 비특이경로를 통한 활성경로에서 T세포($CD_{4}$$CD_{8}$)가 활성화되기 위하여는 보조T세포가 생산하는 IL-2을 요구하며 IL-2의 자극으로 분화증식된 $CD_{8}$는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만 $CD_{4}^{+}$는 여전히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 못한다. 4. 보조T세포는 class II MHC분자와 연합된 항원을 식별하는 반면 세포독성T세포는 class I MHC 분자와 연합된 항원을 식별한다. 5. 림파구 매개성 세포독성은 접촉(conjugati-on), 탈분극(depolarization), 용해계획(progra-mming), 용해(lysis) 및 재순환(recycling)의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6. 표적세포살해매체로는 perforin / PFP / cy-tolysin, lymphopores, lymphotoxins, protone, cytolytic enzymes가 알려졌으며 세포독성작용은 이들 이외에도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한 복합작용으로 추정된다. 7. CTL 매개성 표적세포의 주요 대사변화는 actomyocin ATPase의 증가, phosphocreatine과 ATPase의 소모, ATP 의존성 $Na^{+}/K^{+}$ 펌프작용의 중지, ATP 의존성 $Ca^{2+}$ 유출감소 및 세포내 축적이 관찰된다. 8. $Ca^{2+}$의 축적으로 세포막 교질 침투손상을 주어 수분의 유입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포형성, 핵붕괴, 사립체팽화 및 정상세포 구조상실(Zeiosis)이 있다. 결론적으로 CTL 매개성 세포독성작용은 PFP, LT, TNF, 유사 TNF / LT 및 기타 매체를 통한 복합작용이며 세포살해기전은 지속적 대사소모와 정형적 세포구조(핵 및 세포질)의 파괴에 의한 것이다.

  • PDF

TNF계 CD137L 및 RANKL의 파골세포와 T 세포에 대한 활성조절 (STUDY ON THE REGULATION OF OSTEOCLAST AND T CELL ACTIVATION VIA CELL MEMBRANE PROTEINS OF TNF FAMILY, CD137 LIGAND AND RANK LIGAND)

  • 홍성준;박재홍;이현우;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97-606
    • /
    • 2008
  • 본 연구는 TNFR family인 CD137 및 RANK, 파골세포의 CD137L와 T 세포의 RANKL 간의 역신호에 의한 이들 세포 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RANKL 및 CD137L 자극으로 유도되는 역신호 전달에 의한 T 세포 활성과 파골세포분 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웅성 생쥐의 골수세포와 T 세포를 공동배양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생쥐 단핵세포주 및 골수유도 단핵전구세포에서 CD137L이 발현되며, CD137L 단클론 항체로 자극을 주었을 경우 파 골세포 표지단백질인 TRAP 양성 파골세포의 형성이 억제되었다. 2. 활성화된 $CD4^+$$CD8^+$ T 세포에서 RANKL을 발현하였으며 RANKL의 유사 수용체인 OPG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 하여 $CD4^+$$CD8^+$ T 세포의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CD137 자극에 의한 T 세포활성 및 RANK 자극에 의한 파골세포분화 및 활성이 각각 수용체에 결합하 는 라이겐드의 역신호에 의해 억제되었는데, 이는 파골세포와 T 세포의 과도한 활성을 제어하는 생체의 항상성조절에 관여하 는 기전으로 생각된다.

  • PDF

분자 촉진제를 넘어, CD82: 전이억제자, 줄기세포 니쉬, 근육 재생 및 혈관신생에서의 역할 (Beyond the Molecular Facilitator, CD82: Roles in Metastasis Suppressor, Stem Cell Niche, Muscle Regeneration, and Angiogenesis)

  • 이현채;한정화;허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56-861
    • /
    • 2021
  • CD82/KAI1은 분자촉진제로서 암 전이억제자로 역할이 잘 알려져 있으나, 최근 줄기 전구 세포와 혈관 신생, 근육에서 다양한 역할들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진은 최근에 보고된 CD82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에 관하여 총설 하고자 한다. CD82는 4개의 막 통과 도메인을 가진 테트라스파닌의 한 종류로 암의 전이 과정에 관여하는 세포접착분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암세포의 이동 능력을 저해한다. 암 전이 억제자로의 기능 외에도 줄기세포 니쉬에서도 그 역할이 밝혀졌다. 골수에서 분화재생능력이 뛰어난 최상위 조혈모세포(LT-HSC)에서 CD82가 발현되며, DARC와의 상호결합으로 줄기세포의 휴면을 유도한다. 줄기세포의 휴면 조절 외에도, CD82는 Rac1 활성 조절을 통해 조혈모세포의 골수로의 귀환 및 생착에도 역할을 한다. 또한, CD82는 근육 줄기 세포의 분화능을 유지시키며, 혈관 내피세포에서 세포 접착 분자와 IL-6, VEGF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저해하여 혈관 신생을 억제한다. CD82는 다양한 조직 및 줄기-전구 세포에서 계급을 구별할 수 있는 핵심 세포막 표면 단백질이며, 세포 자원의 증폭 및 검증에 있어 중요하다. 다양한 기관과 세포에서 CD82의 역할과 추가적인 연구들이 줄기세포치료의 임상적 적용에 있어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HIV-1 Retroviral Vector System의 개발 및 $CD4^+$ T 세포에서 HIV-1 Envelope 당단백질의 발현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a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HIV-1)-Based Retroviral Vector System to Express HIV-1 Envelope Glycoprotein in $CD4^+$ T Cells)

  • 박진서
    • 대한바이러스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1-150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CD4^+$ T 세포를 일회성으로 감염시킬 수 있고 $CD4^+$ T 세포에 HIV-1 envelope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바이러스 입자를 생산하는 HIV-1 complementation system을 개발하였고 이 system을 이용하여 $CD4^+$ T 세포에 선택적으로 HIV-1 envelope 당단백질을 발현시켰다. 이 system은 Gag/Gag-Pol expressor와 Env expressor로 구성되어있다. Gag/Gag-Pol expressor는 바이러스 입자 생산에 필요한 구조단백질과 기능단백질을 발현시키지만 packaging signal이 결핍되어 바이러스 입자로 유전자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제조되었다. Env expressor는 Tat, Rev와 envelope 당단백질을 발현시키고 packaging signal을 갖고 있어 바이러스 입자로 envelope 유전자가 들어가도록 제조되었다. Gag/Gag-Pol expressor로부터 Gag와 Gag-Pol의 발현은 Rev 단백질을 요구하였고 Env expressor로부터 Rev 단백질 이 제공될 때 Gag와 Gag-Pol 단백질은 효율적으로 발현되었다. Gag/Gag-Pol과 Env expressor로 cotransfection된 COS-1 세포에서 $CD4^+$ T 세포를 일회성으로 감염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 입자가 생산되었다. 생산된 바이러스 입자는 $CD4^+$ T 세포에 HIV-1 envelope 유전자를 전달하여 envelope 당단백질을 발현시켰고 복제 가능한 자손 바이러스의 생성을 유도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은 $CD4^+$ T 세포에서 envelope 당단백질의 기능을 분석하고 관심 있는 유전자를 $CD4^+$ T 세포에 전달하는 바이러스 입자의 생산에 이용할 수 있다.

  • PDF

인간 골수성 백혈병 세포에서 Flt-3 수용체 리간드에 의한 CD11c 발현의 증가 (Up-regulation of CD11c Expression on Human Acute Myelogenous Leukemia Cells by Flt-3 Ligand)

  • 서기;곽종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690-1697
    • /
    • 2009
  • CD11c와 CD80 및 CD86과 같은 보조 수용체는 주로 수지상 세포에서 발현되는 세포 표지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KG-1, HL-60, NB4 및 THP-1 세포와 같은 여러 종류의 백혈병 세포를 이용하여 이들 세포에 재조합 Flt-3 리간드를 처리하였을 때 수지상 세포의 표면 인자인 CD11c의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KG-1 세포뿐만 아니라 NB4세포와 HL-60 세포에서도 Flt-3 수용체가 발현됨을 확인하였으나 THP-1 세포에서는 이들 수용체가 발현되지 않았다. KG-1 세포를 Flt-3 리간드나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와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를 섞은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을 때 세포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CD11c 발현은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Flt-3 리간드를 처리한 KG-1세포에서는 GM-CSF와 TNF-$\alpha$를 처리한 세포에서와는 다르게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I 및 MHC-II의 발현은 증가되지 않았다. Flt-3 리간드는 HL-60 세포와 NB4 세포의 CD11c 발현도 증가시켰으나 THP-1 세포에서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CD11c의 발현과 비교하여 CD11b의 발현은 Flt-3 리간드에 의하여 KG-1 세포에서는 약하게 증가하였으나 NB4 세포와 HL-60 세포에서는 증가되지 않았다. KG-1 세포를 Flt-3 리간드로 처리하였을 때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1/2 (ERK-1/2)와 p38-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38-MAPK)의 단백질 인산화가 증가되었으며 Flt-3 리간드에 의한 CD11c 발현의 증가는 MEK의 억제제인PD98059에 의하여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Flt-3 수용체 리간드의 처리에 의하여 $CD34^+$ myelomonocyte분화 단계인 KG-1 세포와 promyelocyte 분화 단계의 백혈병 세포에서 수지상 세포와 유사한 세포 형으로 분화된다는 것을 보였고 Flt-3 수용체 리간드에 의한 이들 백혈병 세포의 수지상 세포유사 세포로의 분화는 ERK-1/2의 활성화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유세포 분석을 통한 과잉치 치수 유래 세포의 줄기세포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Human Dental Pulp Cells from Supernumerary Teeth by Using Flow Cytometry Analysis)

  • 류연숙;김종빈;신지선;이준행;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37-34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발치한 매복 과잉치에서 얻은 치수 유래 세포의 줄기세포 특성을 유세포 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15명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정중 과잉치의 치수 세포를 계대 배양하였고, 3계대와 10계대 세포들을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엽성 줄기세포 표지자 관찰에 사용된 항체 표지자(CD)는 양성 표지자로는 CD 73, CD 90, 그리고STRO-1 와 음성 표지자로는 CD 34, CD 45 이었다. 3계대에서 CD 73, CD 90은 각각 94.82%, 98.86%의 양성반응을, CD 34, CD 45는 각각 2.25%, 2.52%로 음성 반응을 보였으며, STRO-1은 20.93%를 나타냈다. 10계대에서는 CD 73, CD 90은 각각 96.62%, 98.61%의 발현을 보였지만, CD 34, CD 45는 각각 3.86%, 4.14%를 나타냈다. STRO-1은 35.62%로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과잉치 치수 유래 세포는 간엽성 줄기세포의 특성을 가지며, 3계대와 10계대 모두에서 간엽성 줄기세포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빠른 성장 속도와 늦은 계대까지 유지되는 줄기세포능을 고려할 때, 치아 유래 줄기세포의 공여부로서 매복 과잉치의 충분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홍삼유래 ginsenosides Rh1의 단핵구 U937 세포 유착조절 효과 (Regulatory Effect of Ginsenosides Rh1 on Monocytic U937 Cell Adhesion)

  • 김병훈;조재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324-329
    • /
    • 2009
  • G-Rh1에 의한 단핵구 세포주인 U937 세포의 유착조절 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G-Rh1은 CD29 항체 (MEM101A) 처리에 의해 유도된 세포-세포간 유착현상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2. G-Rh1은 fibronectin처리에 의해 유도된 U937 세포-fibronectin간 유착현상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3. G-Rh1은 CD29의 세포표면 발현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최근 활발히 G-Rh1의 약리작용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별히, 본 화합물은 항알러지, 피부염증질환 치료효과, 항암효과 및 여성호르몬 유사기능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있다. CD29-매개성 세포유착과정이 다양한 염증과정, 알러지 반응 및 암세포의 이동 및 전이성과 관련이 있다는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결과는 이들 약물이 갖는 치료기전의 하나가 CD29 기능저해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이후 G-Rh1의 억제 기능에 관한 기전 이해를 위해 세포유착 유도 신호전달 단백질의 활성을 포함한 다양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추가적인 실험들을 진행하고 한다.

피부에 발생하는 편평세포종양 및 기저세포암종 조직에서 CD8 양성 T 림프구와 Foxp3 양성 T 림프구의 분포에 관한 연구 (The Distribution of CD8- and Foxp3-positive T Cells in Skin Squamous Cell Tumors and Basal Cell Carcinomas)

  • 장태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6-692
    • /
    • 2015
  • 암조직에 대한 면역반응은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유도한다. Foxp3 양성 T 림프구는 종양에 대한 면역억제 반응을 유도하여 종양의 성장을 유도하는 반면 CD8 양성 T 림프구는 종양의 성장을 억제한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에서 발생한 편평세포암종, 편평세포 암종의 전암병변인 광선각화증과 보웬병 그리고 기저세포암종 조직에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CD8 양성 T 림프구 및 Foxp3 양성 T 림프구의 분포 그리고 두 종류의 림프구의 비(CD8/Foxp3)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D8 양성 T 림프구와 Foxp3 양성 T 림프구는 보웬병과 평평세포암종의 침습부위에서 광선각화증과 기저세포암종의 침습부위에 비하여 더 많이 침윤하였으며 CD8/Foxp3는 보웬병에서 광선각화증과 기저세포암종의 침습부위에 비하여 낮았다. CD8 양성 T 림프구와 Foxp3 양성 T 림프구의 침윤 정도 및 CD8/Foxp3는 보웬병과 편평세포암종의 침습부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저세포암종과 편평세포암종에서 CD8 양성 T 림프구와 Foxp3 양성 T 림프구는 침습부위에서 종양의 중심부위에 비하여 더 많이 침윤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편평세포종양과 기저세포암종은 서로 다른 면역반응을 보이며 종양내에서도 부위에 따라 상이한 면역반응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원발성 폐선암환자의 말초혈액에서 분리한 CD1c+ 골수성 수지상 세포에서의 CD40, CD86 및 HLA-DR의 발현 (Expression of CD40, CD86, and HLA-DR in CD1c+ Myeloid Dendritic Cells Isolated from Peripheral Blood in Primary Adenocarcinoma of Lung)

  • 강문철;강창현;김영태;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499-505
    • /
    • 2010
  • 배경: CD1-restricted T 세포는 동물모델실험에서 항암면역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고가 있다. 이를 임상에서 확인하기 위해 원발성 폐선암환자의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CD1c+ 골수성 수지상 세포의 수 및 수지상 세포에서의 동시자극 표지자 중 주요 표지자인 CD40, CD86 및 HLA-DR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영상의학적으로 원발성 폐암이 의심되거나 조직학적으로 폐암으로 확진되어 외과적 폐절제 또는 생검을 시행한 총 24명의 환자를 원발성 폐선암 환자군(Primary adenocarinoma of lung, PACL)과 원발성 편병상피세포폐암군(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lung, PSqCL) 및 양성폐질환군(Benign lung disease, BLD)군으로 나누고, 말초혈액 20 mL을 채취하여 수지상 세포를 분리하고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CD1c+ 골수성 세포의 수 및 수지상 세포에서의 동시자극 표지자 중 주요 표지자들의 발현정도를 유체세포측정기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두 군 간의 통계적 차이 유무를 확인하였다. 결과: CD1c+ 골수성 수지상 세포(CD1c+CD19-)의 수는 PACL, PSqCL 및 BLD군 모두 그 차이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공동자극표지자의 발현은 PACL군과 BLD군에서는 CD40의 발현이 p-value=0.171, CD86의 발현이 p-value=0.037과 HLA-DR의 발현이 p-value=0.036로 PACL군에서 감소한 것을 통계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PACL군과 PSqCL군 간에는 CD40의 발현이 p-value=0.319, CD86의 발현이 p-value= 0.036과 HLA-DR의 발현이 p-value=0.085로 PACL군에서 공동표지자의 발현이 감소한 양상이나 통계적 유의성은 CD86의 발현 외에는 없었다. PSqCL군과 BLD군간에는 공동표지자의 발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PACL군과 비선암군간에는 CD40의 발현이 p-value=0.005, CD86의 발현이 p-value=0.013과 HLA-DR의 발현이 p-value=0.004로 PACL군에서 공동표지자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통계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CD1c+ 골수성 수지상 세포에서 원발성 폐선암 환자에서 주요 표지자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원발성 폐선암 환자에서 주요 표지자의 발현의 감소가 면역회피기전의 하나일 수 있는 가능성 및 수지상 세포에 의하여 유발되는 면역반응은 수지상 세포의 표지자의 발현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말초혈액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된 반복유산 환자의 탈락막자연살해세포의 발현 (Expression of Decidual Natural Killer (NK) Cells in Women of Recurrent Abortion with Increased Peripheral NK Cells)

  • 연명진;양광문;박찬우;송인옥;강인수;홍성란;조동희;조용균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2호
    • /
    • pp.119-129
    • /
    • 2008
  • 목 적: 말초혈액 $CD56^+$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이 증가되어 있는 반복유산 환자들의 탈락막 $CD56^+/CD16^+$ 자연살해세포의 분포를 확인하고 말초혈액자연살해세포의 발현양상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반복유산 환자 중 계류유산이 되어 자궁경부확장배출술과 배아 염색체검사를 시행하였던 환자 가운데 배아 염색체검사가 정상이고 말초혈액에서 자연살해세포 중 $CD56^+$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된 환자들 29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배아 염색체검사가 비정상인 32명을 선택하였다. 이 환자들의 검체에서 착상부위를 포함한 자궁 탈락막세포를 확인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CD56^+$$CD16^+$ 자연살해세포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은 score와 백분율을 구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연구군과 대조군의 탈락막조직 $CD56^+$ 자연살해세포 score ($43.6{\pm}24.5$ vs. $23.9{\pm}16.3$ P =0.001)와 $CD56^+$ NK cell percentage ($42.1{\pm}11.7$ vs. $33.9{\pm}15.8$ P =0.027)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탈락막조직 $CD16^+$ NK cell score ($18.7{\pm}9.5$ vs. $13.2{\pm}39.4$ P =0.108)와 $CD16^+$ 자연살해세포 percentage ($24.7{\pm}5.9$ vs. $23.4{\pm}11.7$ P =0.599)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말초혈액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되어 있는 환자군에서 탈락막자연살해세포의 score와 말초혈액자연살해 세포의 백분율간에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었다 (peripheral $CD56^+$ NK cell percentage vs. decidual $CD56^+$ NK cell score, r=-0.016, P =0.932, peripheral $CD16^+$ NK cell percentage vs. decidual $CD16^+$ NK cell score, r=0.008, P =0.968).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말초혈액 CD56^+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되어 있는 반복유산 환자의 계류유산된 조직에서 탈락막 $CD56^+$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탈락막자연살해세포와 말초혈액자연살해세포의 증가 양상에서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었다. 이는 탈락막자연살해세포가 반복유산의 면역학적인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