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CSD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The Ground Interface Concept of the KOMPSAT-II DLS

  • Lee, Sang-Taek;Lee, Sang-Gyu;Lee, Jong-Tae;Youn, Heong-Si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28-228
    • /
    • 2002
  • The DLS(Data Link System) is located in the PDTS(Payload Data Transmission Subsystem) of KOMPSAT-II, and its main function is to provide communication link with Ground Segment as a space segment. DLS receive the data of MSC, OBC from DCSU(Data Compression Storage Unit) and transmit to the Ground Station by X-Band RF link. DLS is consist of CCU(Channel Coding Unit), QTX(QPSK Transmitter, ASU(Antenna Switch Unit) CCU makes a packet for communication after several kind of data processing such like Ciphering, RS Coding. QTX transmit PDTS data by OQPSK. Modulation. ASU is the unit for reliability of antenna switching. So, DLS's function is consists of ciphering, RS coding, CCSDS packetizing, randomizing, modulation and switching to antenna. These DLS's functions are controlled by PMU(Payload Management Unit). All commands to DLS are sent by PMU and all telemetries of DLS are sent to the PMU. The PMU receives commands from OBC and sends telemetries to the OBC. The OBC communicates with Ground Station by S-Band RF link. This paper presents the on-orbit DLS operation concept through the ground segment.

  • PDF

전자 기록물 이관 절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ransferring Electronic Records)

  • 오삼균;김희섭;오상훈;권도윤;원선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41-461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록관리 관련기관들이 전자기록물 이관의 실제 업무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무에 초점을 둔 이관 절차의 개발에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SO, AHDS, CCSDS와 같은 국외의 다양한 이관 절차를 분석하고, 국내 정부부처 중 한 기관을 테스트베드 대상으로 선정하여 국내의 기록물 이관업무에 요구되는 사항들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국내 상황에 적합한 이관절차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개발된 절차는 사례연구와 다양한 국제 사실상 표준들의 분석을 토대로 도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Interagency Operations Advisory Group (IOAG) Service Catalog 에 따른 국제 표준화 및 국내 적용 방안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nd Domestic Application Methods according to Interagency Operations Advisory Group (IOAG) Service Catalog)

  • 이정현;박덕종;안상일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2권2호
    • /
    • pp.137-145
    • /
    • 2022
  • 우주개발은 각국의 우주 기관에 의해 독자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는 기능별 중복 개발을 야기하여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이에, 국제기관 간 상호 합의 하에 표준화, 규격화를 위한 IOAG(Interagency Operations Advisory Group)가 설치되었으며, 상호 기관 간 교차지원(cross support)을 통해 우주 자원을 우주 기관 상호 간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OAG는 네트워크 레이어에 따라 Catalog#1, #2, #3으로 각각 정의되어 있다. 본 기술서에서는 IOAG Service catalog의 배경과 주요 내용, 그리고 국내 우주기술개발에의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cquisition, Processing and Image Generation System for Camera Data Onboard Spacecraft

  • C.V.R Subbaraya Sastry;G.S Narayan Rao;N Ramakrishna;V.K Harihar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3호
    • /
    • pp.94-100
    • /
    • 2023
  • The primary goal of any communication spacecraft is to provide communication in variety of frequency bands based on mission requirements within the Indian mainland. Some of the spacecrafts operating in S-band utilizes a 6m or larger aperture Unfurlable Antenna (UFA for S-band links and provides coverage through five or more S-band spot beams over Indian mainland area. The Unfurlable antenna is larger than the satellite and so the antenna is stowed during launch. Upon reaching the orbit, the antenna is deployed using motors. The deployment status of any deployment mechanism will be monitored and verified by the telemetered values of micro-switch position before the start of deployment, during the deployment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otal mechanism. In addition to these micro switches, a camera onboard will be used for capturing still images during primary and secondary deployments of UFA. The proposed checkout system is realized for validating the performance of the onboard camera as part of Integrated Spacecraft Testing (IST) conducted during payload checkout operations. It is designed for acquiring the payload data of onboard camera in real-time, followed by archiving, processing and generation of images in near real-time. This paper presents the architecture, design and implementation features of the acquisition, processing and Image generation system for Camera onboard spacecraft. Subsequently this system can be deployed in missions wherever similar requirement is envisaged.

과학기술위성3호의 X-대역 하향링크를 위한 RS(255,223) 코드 설계 및 성능 분석 (The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RS(255,223) code for X-band downlink of STSAT-3)

  • 서인호;김병준;이종주;곽성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5-199
    • /
    • 2010
  • 과학기술위성3호에서는 탑재체 데이터를 지상으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기 위해서 CCSDS에서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RS(255,223) 코드를 사용 하였다. RS Encoder가 VHDL로 개발되어 대용량 메모리 유닛에 적용 되었으며 오류 정정을 위한 Decoder는 지상국의 데이터 수신 처리 시스템에 적용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RS(255,223) 코드의 설계와 성능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16 Mbps의 하향링크 시험을 통해서 BER 성능을 측정 하였으며 X-대역 송신기를 이용하여 통신 선로상에 인위적으로 에러를 인가 하였을 때의 RS(255,223) 코드의 에러 복원 결과를 나타내었다.

Study to safely transmit encrypted images from various noises in space environment

  • Kim, Ki-Hwan;Lee, Hoon J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97-10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우주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권장하는 무선 통신의 채널 코딩으로 암호화된 이미지가 노이즈에 많은 영향으로 손상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난수발생기 PP(PingPong256)와 셔플기법을 제안한다. PP는 512비트의 초기값을 입력받아 끊임없이 난수를 생성할 수 있다. 난수는 이미지와 배타적 논리연산을 통해 암호화가 가능하다. 셔플 기법은 이미지 픽셀위치와 난수 배열위치를 동기화하고 난수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위치를 이동하면서 이미지 픽셀 위치를 무작위로 재배열한다. 따라서 채널 코딩에 PP와 셔플 기법을 사용하면 모든 픽셀이 미세하게 분산되어 열악한 전송 환경에도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위성 공통지상시스템 개발 동향

  • 최종연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5권2호
    • /
    • pp.33-42
    • /
    • 2007
  • 위성체 총조립 및 시험(AIT ; Assembly, Integration & Test)을 위한 전기지상지원장비(EGSE ; Electrical Ground Support Equipment)와 위성 임무 준비 및 운용을 위한 관제시스템(MCS ; Mission Control System)의 공동 개발은 미국과 유럽의 위성사업 기관 및 업체에서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되어 왔다. 비록 두 시스템이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기술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갖는 시스템으로서 많은 공통점과 호환 가능성을 갖고 있다. 두 시스템의 공동 개발은 시스템 개발과 위성 운용 교육 및 준비에 필요한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AIT 단계에서 위성운용단계로의 자연스러운 전환이 가능하다. 이는 AIT 단계에서 공통지상시스템 하드웨어 및 운영시스템, 시험/운용 절차서, 위성 데이터베이스의 사전 검증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위성 운용 요원의 AIT 참여를 통해 공통지상시스템 운용 훈련과 위성 관제 지식 습득이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로서 사업 일정과 개발 위험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시스템의 공통성과 호환성 및 공통시스템 개발 장점이 있기에 EGSE와 MCS의 공통 기능에 대한 표준화 작업은 1986년 만들어진 COES(Committee for Operations and EGSE Standard)에서 공식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여 1994년 CNES와 ESA의 발의로 제정된 ECSS(European Cooperation for Space Standards)를 통해 국제 표준(ISO, CCSDS 등)을 바탕으로 한 지상시스템에 대한 유럽 표준화 작업이 ECSS-E-70 Working Group에서 진행되고 있다. 또한 검증된 지상시스템의 핵심 운영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재사용을 통해 최근에서 다양한 공통지상시스템이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국내에서도 저궤도 위성 개발에서 EGSE 핵심 모듈인 TM/TC 처리 및 Database 관리 모듈을 AIT 단계에서 개발 및 검증 후에 MCS에서의 재사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앞으로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 AIT 및 지상국간의 기술 및 인력 교류와 핵심모듈 개발을 통한 공통지상시스템 개발의 활발한 전개가 예상된다.

  • PDF

전기지상지원장비 및 관제시스템 통합 개발을 위한 유럽 표준안 현황 (ECSS E70 Standard for developing common EGSE and MCS)

  • 허윤구;최종연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6권1호
    • /
    • pp.56-64
    • /
    • 2008
  • 위성체 총조립 및 시험(AIT; Assembly, Integration & Test)을 위한 전기지상지원장비(EGSE ; Electrical Ground Support Equipment)와 위성 임무 준비 및 운용을 위한 관제시스템(MCS; Mission Control System)은 동일한 시스템은 아니지만 많은 공통점과 호환 가능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우주 사업의 핵심 지상시스템인EGSE와 MCS는 사용 시기와 개발 조직이 달라서 오랫동안 별도로 개발 및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두 시스템이 기술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기능과 역할을 하기 때문에 통합 또는 공통 개발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미 세계적으로ECSS E70과 같은 관련 표준화 작업과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구현된 핵심 지상운영시스템의 개발이 최근에 기술적인 성숙을 이루고 있어 현재 거의 모든 우주 사업에서 핵심 지상운영시스템을 활용하거나 더 나아가 상용 제품을 적용하여 공통지상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EGSE와 MCS의 공통 기능에 관련된 표준화 작업은 ECSS를 통해 국제 표준(ISO, CCSDS 등)을 바탕으로 한 위성의 지상시스템에 대한 유럽 표준화 작업이 ECSS-E-70 Working Group에서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는 우주 산업에 관련된 표준화 단체인 ECSS에 대한 역사, 정책, 조직 및 문서 구조를 포함하여 ECSS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상시스템 및 운용 분야 관련 ECSS E70 표준화 작업의 내용 및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