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CD method

검색결과 861건 처리시간 0.04초

웹 카메라의 특성 분석 및 고해상도 행성촬영 (SPECIFIC ANALYSIS OF WEB CAMERA AND HIGH RESOLUTION PLANETARY IMAGING)

  • 박영식;이동주;진호;한원용;박장현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453-464
    • /
    • 2006
  • 일반적으로 웹 카메라는 PC간 화상통신을 위해 많이 쓰이고 있으나, 화소수도 적고 장시간 노출촬영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천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장시간 노출이 필요 없는 달이나 행성 등을 촬영하기에는 부족함이 없기 때문에 아마추어 관측자들이 행성 촬영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웹 카메라 중에 CCD를 사용한 Philips사의 ToUcam Pro II를 사용하여 행성촬영을 하였고, 촬영한 동영상은 상용 프로그램인 Registax를 이용하여 합성을 하였다. 또한 웹 카메라의 기본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CCD의 특성 분석에 활용하는 직선성, 이득 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행성 촬영할 때 기존에는 필름이나 디지털 카메라, CCD로 한 장씩 찍었지만, 웹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 동영상으로 촬영하여서 중은 이미지만을 골라서 합성하기 때문에, 훨씬 더 고해상도의 행성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행성관측 방법과 동영상 합성 방법 등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다.

평행투영 기반의 고해상도 위성영상 에피폴라 재배열 (Epipolar Resampling fo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Based on Parallel Projection)

  • 노명종;조우석;장휘정;정지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81-88
    • /
    • 2007
  • 선형 CCD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위성영상의 기하는 프레임 카메라 영상의 기하와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각 스캔 선마다 영상의 외부표정요소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의 프레임 영상에 사용되었던 에피폴라 기하와는 다른 기하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선형 CCD 센서를 사용하여 촬영된 IKONO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에피폴라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영상 재배열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영상의 투영조건을 중심투영이 아닌 평행투영으로 간주하여 구성된 2D 부등각 센서모델을 적용하였다. 이센서 모델에 의해 구성된 에피폴라 선식으로부터 유도된 정규 매개변수와 부등각 변환을 적용하여 에피폴라 재배열영상을 제작하였다. 결과로써, 2D 부등각 센서모델의 정확도가 검증되었으며, 제작된 에피폴라 영상을 사용하여 추출된 3차원 위치정확도는 IKONOS의 RFM 위치정확도와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 PDF

소행성 55 Pandoro의 CCD 측광 연구 (CCD Photometry of the Asteroid 55 Pandora)

  • 권순길;김승리;이호;전영범;박홍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91-496
    • /
    • 2007
  • 소백산 천문대의 0.6m 광학망원경과 2K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행성 55 Pandora에 대한 R 필터 시계열 측광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으로부터 소행성의 자전 주기($P=4.^h8168$)와 진폭(${\Delta}R=0.281{\pm}0.001$란 구하였고, Amplitude-Magnitude 방법을 이용하여, 소행성 55 Pandora의 자전축 방향 ${\lambda}_p((^o)=342$, ${\beta}_p(^o)=64$와 세 축의 비는 a/b=1.27, b/c=1.31인 형태로 자전하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MTF 방법에 의한 카메라 렌즈 초점 자동 측정 시스템 개발 (Focal Length Measurement System for Camera Lens using the MTF)

  • 이석원;이동성;박희재;문호균;김영식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4-270
    • /
    • 1996
  • In this paper, a computer automated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measuring the focal length of camera lens using the MTF(Modurar Transfer Function) based on the signal processing around a line CCD and autocollimator. An optical Path for the focal length measurement system has been designed around thelight sourec, collimator, camera, mirror and the line CCD. The eyepiece of the collimator is replaced byline CCD, and the mirror is moved along the focal axis by a PC driven step motor. An efficient method has been designed for finding the optimum MTF value for the focal length based on the least squares approach. The developed system is fullycomputer automated: signal transmission to and from the camera, MTF evaluation based on the line CCD, step motor contorl, etc. The developed system has been applied to a practical camera manufacturing process and demonstrated its performance

  • PDF

표적 크기추정 기술 기반의 CCD 영상 표적 정밀 요격 성능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Target Precision Intercept Algorithm based on the Target Size Estimation at CCD Image Sequence)

  • 정윤식;노신백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2-58
    • /
    • 2015
  • In this paper, The ET-MBEF algorithm is presented for CCD imaging seeker. At the imaging seeker, target size information is important factor for accurate tracking. The MBEF algorithm was proposed to estimate target size at IIR seeker. However, the MBEF algorithm can't be applied at CCD imaginary target size estim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we propose ET-MBEF algorithm which based on ET (Edge Template) and MBEF algorithm. The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is tested at target intercept scenario.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the accurate target intercept performance.

평행축 스테레오 카메라에서의 주시각 제어 방법 (Vergence Control Method of a Parallel-axis Stereo Camera)

  • 이광순;김형남;허남호;안충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2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97-30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신호처리를 이용한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평행축 입체 카메라는 양안식 입체 카메라 중 가장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좌, 우 영상센서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물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입체 영상 시차 조절 기능인 주시각 제어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영상 센서 (CCD) 와 렌즈를 분리하고 영상 센서가 평행하게 수평으로 움직이며 주시각을 제어하도록 하는 수평 이동축 입체 카메라는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실제 구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시각 제어를 위한 CCD의 이동은 실제 영상에서 피사체의 이동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평행축 입체 카메라로 얻은 영상에서, CCD의 이동으로 인해 사라지는 부분만큼 제거하고 영상의 수평 수직 방향에서 원래 영상의 크기로 복원하기 위해 보간하는 과정을 통해 주시각 제어를 구현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실험 결과는 CCD의 이동량에 따라서 화질의 열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 주지만, 실제 시스템에서 CCD의 이동량은 크지 알기 때문에 화질 열화를 거의 느끼지 않으면서 주시각이 제어된 입체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특징집합 IG-MLP 평가 기반의 최적화된 특징선택 방법을 이용한 질환 예측 머신러닝 모델 (Optimized Feature Selection using Feature Subset IG-MLP Evaluation based Machine Learning Model for Disease Prediction)

  • 김경륜;김재권;이종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1-21
    • /
    • 2020
  • 암을 제외한 한국인의 가장 높은 사망원인은 심뇌혈관질환으로 사망원인의 24%를 차지한다. 현재 국내 환자의 심혈관질환의 위험도 산출은 프레밍험 위험지수를 기반으로 하지만, 국외의 가이드라인에 의존하고 있어 정확도가 떨어지는 편이며, 뇌혈관질환의 예측에 대한 위험도는 산출할 수 없다. 심뇌혈관질환은 예방을 위한 조기증상들의 특징 분석이 어려워 질환예측이 힘들며, 한국인에 적합한 예측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뇌혈관질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징집합 IG-MLP 평가 기반의 특징선택 방법론을 시뮬레이션 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제안하는 방법은 제4~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다. 심뇌혈관질환의 예측에 중요한 특징들을 선별하기 위해, 속성들의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정보이득-다층신경망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며, 최종적으로 선별된 특징을 이용한 심뇌혈관질환 예측 모델을 제공한다. 제안하는 방법으로 한국인의 심뇌혈관질환에 관련된 중요한 특징들을 찾을 수 있으며, 최적화된 특징들로 구성된 예측 모델은 한국인에 대해 더욱 정확한 심뇌혈관 예측을 할 수 있다.

Signal Level Analysis of a Camera System for Satellite Application

  • Kong, Jong-Pil;Kim, Bo-Gw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20-223
    • /
    • 2008
  • A camera system for the satellite application performs the mission of observation by measuring radiated light energy from the target on the earth. As a development stage of the system, the signal level analysis by estimating the number of electron collected in a pixel of an applied CCD is a basic tool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like SNR as well as the data path design of focal plane electronic. In this paper, two methods are present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number of electrons for signal level analysis. One method is a quantitative assessment based on the CCD characteristics and design parameters of optical module of the system itself in which optical module works for concentrating the light energy onto the focal plane where CCD is located to convert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signal. The other method compares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system such as quantum efficiency, focal length and the aperture size of the optics in comparison with existing camera system in orbit. By this way, relative count of electrons to the existing camera system is estimated. The number of electrons, as signal level of the camera system, calculated by described methods is used to design input circuits of AD converter for interfacing the image signal coming from the CCD module in the focal plane electronics. This number is also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signal level of the CCD output which is critical parameter to design data path between CCD and A/D converter. The FPE(Focal Plane Electronics) designer should decide whether the dividing-circuit is necessary or not between them from the analysis. If it is necessary, the optimized dividing factor of the level should be implemented. This paper describes the analysis of the electron count of a camera system for a satellite application and then of the signal level for the interface design between CCD and A/D converter using two methods. One is a quantitative assessment based on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camera system, the other method compares the design parameter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existing camera system in orbit for relative counting of the electrons and the signal level estimation. Chapter 2 describes the radiometry of the camera system of a satellite application to show equations for electron counting, Chapter 3 describes a camera system briefly to explain the data flow of imagery information from CCD and Chapter 4 explains the two methods for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electrons and the signal level. Then conclusion is made in chapter 5.

  • PDF

전방의 차량포착을 위한 연속영상의 대상영역을 제한한 효율적인 차선 검출 (Efficient Lane Detection for Preceding Vehicle Extraction by Limiting Search Area of Sequential Images)

  • 한상훈;조형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6호
    • /
    • pp.705-717
    • /
    • 2001
  • 이 논문에서는 카메라로 연속으로 촬영한 일련의 그레이레벨 영상으로부터 전방의 차량을 포착하기 위한 빠른 차선검출방법을 제안한다. 개별 영상에서 가려지지 않는 제한된 영역을 대상으로 차선의 위치를 검출하고, 에지 영상을 이용하여 차선의 기울기를 구한다. 이를 근거로 차량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관심영역을 구하고 그 영역 내에서 에지 성분을 이용하여 구조적 방법으로 전방 차량의 위치를 포착한다. 제안된 방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노트북 PC와 PC용 CCD 카메라로 도로에서의 영상을 촬영하고 차선검출알고리즘을 적용한 처리 시간, 정확도, 차량검지 등의 결과를 보인다.

  • PDF

Color Filter Array에 대한 고품질 영상보간기법 (High Quality Image Interpolation for Color Filter Arrays)

  • 이봉준;이철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171-173
    • /
    • 2000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interpolation method for the color filter away(CFA). In order to capture color images. typical input devices use a single chip CCD imaging sensor with color filter array. As a result, the single chip CCD does not provide sufficient color resolutions since it arranges different color filters sequentially on a single CCD, resulting in aliasing noise and loss of resolution. In order to reconstruct high quality color images, we propose to use the interpolation algorithm using high order B-splines. Experiments show promising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