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BD

검색결과 630건 처리시간 0.039초

Cannabidiol Induces Cytotoxicity and Cell Death via Apoptotic Pathway in Cancer Cell Lines

  • ChoiPark, Won-HyungHyun-Do;Baek, Seung-Hwa;Chu, Jong-Phil;Kang, Mae-Hwa;Mi, Yu-Ji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2호
    • /
    • pp.87-94
    • /
    • 2008
  • In view of obtaining potential anticancer compounds, we studied the inhibitory activity and the cytotoxic effects of a candidate compound in cancer cells. The cytotoxic effects of cannabidiol (CBD) in vitro were evaluated in NIH3T3 fibroblasts, B16 melanoma cells, A549 lung cancer cells,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Lenca kidney cells and SNU-C4 colon cancer cells. The cells were cultured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CBD for 48 h and 25 ${\mu}$M of CBD for 6-36 h. The cells were observed to exhibit inhibitory effects of the cell viability in their growth, and then cytotoxicity was estimat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CBD was increased in all cancer cells and showed especially strong increment in breast cancer cells. The cytotoxicity of CBD increased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with growth inhibition in all cancer cell lines. Also, to assess the membrane toxicity induced by CBD, we investigated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After treatment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BD, LDH release rate of cancer cells was acceler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induction of cell death, caspase-3, -8 and -9 activations were detected in cancer cells after treatment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BD, and CBD effectively induced activity of caspase-3, -8 and -9 in A549 lung cancer cells,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and Renca kidney cell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BD has a possibility of anticancer agents and anticancer effects against cancer cells by modulation of apoptotic pathway in the range of 5-80 ${\mu}$M concentration.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열수추출물(熱水抽出物), 초미세분말제형(超微細粉末劑形)이 Alzheimer's Disease 병태(病態) 모델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ChenwhangBosindan(CBD) Hot Water Extract & Ultra-fine Powder on the Alzheimer's Disease Model)

  • 최강욱;정인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7-93
    • /
    • 2008
  • Objective :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BD hot water extract & ultra-fine Powder on Alzheimer's Disease Model Induced by ${\beta}A$. Method : The effects of the CBD hot water extract on expression of interleukin-1 beta($IL-1{\beta}$), $TNF-{\alpha}$ mRNA and production of IL-6, $TNF-{\alpha}$ in BV2 microglial cell line treated by lipopolysacchaide(LPS). The effects of the CBD hot water extract & ultra-fine powder on (1) the behavior (2) expression of $IL-1{\beta}$,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3) the infarction area of the hippocampus in Alzheimer's diseased mice induced with ${\beta}A$ were investigated. Result : The CBD hot water extrac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L-1{\beta}$, $TNF-{\alpha}$ mRNA in BV2 microglia cell line treated with LPS. The CBD hot water extrac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IL-1{\beta}$, $TNF-{\alpha}$ in BV2 microglial cell line treated with LPS. The CBD hot water extract & ultra-fine powder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the memory deficit was shown for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beta}A$ in the Morris water maze experiment, which measured step-through latency and distance movement-through latency. The CBD hot water extract & ultra-fine powder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L-l{\beta}$ and $TNF-{\alpha}$ protein in the microglial cell of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beta}A$. The CBD hot water extract & ultra-fine powder suppressed the over-expression of AChE activity in the serum of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beta}A$. The CBD hot water extract & ultra-fine powder reduced infarction area of hippocampus, in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beta}A$.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BD hot water extract & ultra-fine powder may b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Investigation into the clinical use of the CBD hot water extract & ultra-fine powder for Alzheimer's disease is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 PDF

CBD 프로세스 지원을 위한 컴포넌트 저장소의 구축 (Construction of Component Repository for Supporting the CBD Process)

  • 차정은;김행곤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7호
    • /
    • pp.476-486
    • /
    • 2002
  • 컴포넌트 기반 개발(CBD : Component Based Development)은 비즈니스 시스템의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최상의 전략적 방법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는 CBD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조립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빠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증가되는 생산성 향상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컴포넌트 저장소는 컴포넌트의 개발과 유통 그리고 재사용을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컴포넌트 그 자체뿐 아니라 컴포넌트 개발의 각 단계로부터 생산된 결과물들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BD 프로세스의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컴포넌트 저장소 구축을 중심으로 실제적인 적용 기술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컴포넌트 저장소 관리 시스템(CRMS : Component Repository Management System)의 프로토터이핑을 개발한다. CRMS는 컴포넌트 아키텍쳐에 기반하여 다양한 컴포넌트의 형상을 관리하며,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은 자신의 프로젝트에 이용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검색하고 관련 이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CBD 환경을 실제화 하는 공용 컴포넌트 저장소 구축으로의 실제적 접근을 제시함으로써 컴포넌트 개발을 지원하는 CBD 프로세스 및 컴포넌트의 저장소에 대한 선행 연구로 이용하고자 한다.

Intein을 이용한 대장균에서의 Trichoderma reesei 유래의 Cellobiohydrolase I 섬유소 결합 도메인의 발현 (Intein-mediated expression of Trichoderma reesei Cellobiohydrolase I Cellulose Binding Domain in E. coli)

  • 최신건
    • 산업기술연구
    • /
    • 제36권
    • /
    • pp.33-37
    • /
    • 2016
  • Cellulose binding domains (CBDs) of cellulases are thought to assist in the hydrolysis of insoluble crystalline cellulose. To gain sufficient amount of CBDs, the self-cleavable intein tag was used for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Trichoderma reesei cellobiohydrolase I CBD in E. coli. Synthetic CBD genes, CBD or linker-CBD were cloned into expression vector pTYB11. Recombinant CBDs were successfully purified by intein mediated purification with an affinity chitin-binding domain. The final yields of recombinant CBD and linker-CBD were 3.2 mg/L and 1.4 mg/L, respectively. The functional bindings of recombinant CBDs were confirmed by Avicel binding experiments. The simple and easy purification method using self-cleavable intein tag can be further used in pretreatment of crystalline cellulose or characterization of engineered CBDs.

  • PDF

컴포넌트기반 개발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설계 (The Design for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aturity Model)

  • 나희동;김태우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2년도 창립기념 학술대회
    • /
    • pp.152-157
    • /
    • 2002
  • 컴포넌트 기반 개발 프로세스는 그 동안의 구조적 분석/설계 기법과 정보공학, 객체지향 등의 공학적 분석기술을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CBD를 적용하려는 조직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공학적 기법과 아키텍처 설계 기술들을 습득해야 하였다. 또한 CBD의 핵심 역량인 반복적 개발 프로세스와 아키텍처 설계 역량을 갖추기 위해 각 개발업체 들은 CBD기술의 도입초기에 상당한 혼돈과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CBD를 조직차원에서 습득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5개의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의 목표를 설정한 컴포넌트 개발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을 제시한다. CDMM(Component based Development capability Maturity Model)으로 명명한 본 개발 능력 성숙도 모형은 소프트웨어 개발조직이 CBD를 습득하기 위해 어떤 단계를 거쳐야 하는지 또한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이 어떤 것들인지를 제시한다. 이는 향후 CBD를 확산시키고 컴포넌트 기술을 통한 생산성향상과 소프트웨어 개발비 절감을 위해 기업과 국가의 정책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BD기반 SOA 도입 방안과 요소 기술 연구 (A Study on the Adoption of the CBD based SOA and Elemental Technologies)

  • 임철홍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3-228
    • /
    • 2007
  • The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is whooped up and many Organizations have considered the SOA as the next generation architecture. Due to misunderstanding of the SOA, they think that the CBD is not useful anymore and may be completely replaced by the SOA. Because of misunderstanding of the SOA, they think that the CBD is not useful anymore and may be completely replaced by the SOA. In this paper, we presented the critical success factor, technology and successful construction methods of the CBD based SOA. So, we expect that this paper provides the guides for adopting and realizing the SOA.

  • PDF

CBD 프로세스 전개를 위한 설계 패턴을 이용한 컴포넌트 아키텍쳐 (Component Architecture Using Design Pattern for Evolution of CBD Process)

  • 차정은;양영종;김행곤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376-378
    • /
    • 2001
  •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가 이미 완성된 소프트웨어 모듈인 컴포넌트들을 특정 목적을 위해 배치하고 조립함으로써 품질 보증된 고생산성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됨에 따라, 최근 IT 비즈니스 솔루션 도출을 위한 핵심 적인 기술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영 역에 적절한 컴포넌트의 추출과 개발 및 응용 시스템으로의 전개를 위한 컴포넌트들의 배치와 조립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CBD 프로세스를 실제화 하기 위해서는 아키텍쳐 기반의 접근과 제어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CBD 연구는 비즈니스 로직들의 기능성을 그룹화한 컴포넌트의 생산에 초점을 두고 있지 컴포넌트간의 상호작용을 명시하는 아키텍쳐 정보의 관리를 간과함으로써 컴포넌트의 조립과 통합을 통한 CBD 시스템으로의 전개는 극히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HD 프로세스 상에서 아키텍쳐 접근의 중요성과 전개 방법을 살펴보고, 컴포넌트 프레임워크(Component Framework)를 위한 아키텍쳐의 계층을 새롭게 재정의 하며 그 의미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영역 분석 및 설계 정보를 선언적으로 명시하는 수단이며, 도메인 내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포넌트간의 일반적 결합 방식의 규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설계 패턴을 이용하여 서비스 아키텍쳐 패턴을 정의하고 실 예로 적용한다.

  • PDF

Enterprise JavaBeans (EJB)에서 효율적인 CBD 컴포넌트 설계 기법 (An Effective Method to Design CBD Components in Enterprise JavaBeans (EJB))

  • 김수동;민현기;이진열;김성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1호
    • /
    • pp.32-43
    • /
    • 2006
  • Enterprise JavaBeans (EJB)는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Component-based Development, CBD)을 위해 보급된 환경이다. 컴포넌트는 재사용 단위의 복합 객체이지만, EJB는 객체단위의 작은 컴포넌트이므로 다수의 엔터프라이즈 빈을 복합하여 큰 단위 재사용을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EJB를 이용하여 컴포넌트를 상세 설계 및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BD의 구성요소를 EJB를 이용하여 어떻게 설계하는지의 지침과 기법을 제시한다. 단일, 복합, 화이트, 블랙 박스, 다중 인터페이스, 가변성을 지원하는 EJB 환경의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기법을 제시한다. 사례 연구를 이용하여 제시한 설계 기법을 보이고, CBD 컴포넌트의 특징과 본 논문의 기법을 비교하여 검증한다. 결론적으로 EJB 환경에서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활용성, 이식성을 더욱 증가 시킬 것이다.

미주신경간절제술에 있어서 $^{99m}Tc-DISIDA$ 신티그램을 이용한 총수담관 및 Afferent loop의 평균지연시간 (The Mean Transit Time of the CBD and the Afferent Loop Using $^{99m}Tc-DISIDA$ Scintigram in Truncal Vagotomy)

  • 문태용;김동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9-203
    • /
    • 1988
  • The authors observed functional change of the CBD and the afferent loop with the transit time of $^{99m}Tc-DISIDA$ scintigram in patients treated by the surgical operation of gastric ulcers and cancer at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87 to April, 1988. So authors estimated the time between the peak activity of the CBD and the afferent loop (TCA), the half transit time of the CBD activity (t 1/2 CBD) and the half transit time of the afferent loop activity (t 1/2 A-loop) in 9 patients undergone truncal vagotomy, who have no specific symptoms at 2 to 6 months after the operation, 5 patients undergone the operation without truncal vagotomy, and 7 persons as a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 In control group, the mean TCA, t 1/2 CBD and t 1/2 duodenum were $8.6{\pm}9.0$ min, $38.7{\pm}17.3$ min. and $28.6{\pm}10.9$ min, respectively. 2) In the operation group without truncal vagotomy, the mean TCA, t 1/2 CBD and t 1/2 A-loop were $10.0{\pm}7.1$ min. $48.2{\pm}22.3$ min. and $39.4{\pm}26.7$ min. respectively. 3) In the operation group with truncal vagotomy, the mean TCA, t 1/2 CBD and t 1/2 A-loop were $15.0{\pm}8.7$ min., $36.1{\pm}16.5$ min. and $42.6{\pm}24.4$ min,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transit time of the CBD and the afferent loop is not affected by truncal vagotomy.

  • PDF

컴포넌트 참조 모델의 기술적 비교 평가 (Technical Assessment of Component Reference Models)

  • 허진선;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6호
    • /
    • pp.697-715
    • /
    • 2004
  • 컴포넌트 기반 개발 (CBD) 기술은 객체 보다 더 큰 컴포넌트 단위의 재사용을 통하여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재사용 기술이다. 그러나, CBD 컴포넌트의 구성요소와 의미를 정의하는 참조 모델이 국제적으로나 산업계에서 표준화되지 못하고 있어 CBD 플랫폼간의 상호연동과 이식성 문제가 있으며, 또한 개발자에게 어떤 모델을 채택해야 할 것인지의 신중한 결정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컴포넌트 참조모델들에 대한 정형적 뷰(View)인 메타 모델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술적인 상호 비교를 제시함으로써 각 기술의 장ㆍ단점 및 특징을 규명한다. 또한, 비교 평가를 통해 모든 컴포넌트가 공통적이며 필수적으로 만족해야 하는 핵심(Essential) 컴포넌트 모델과 최대한 다양한 장치와 구성요소를 가지는 확장(Extended) 컴포넌트 모델을 제시하여 상용 컴포넌트 모델들과의 객관적인 연관 관계 및 각 모델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