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3

검색결과 1,029건 처리시간 0.028초

${\gamma}-Al_2O_3$ 촉매상에서 가수분해와 산화반응에 의한 $SF_6$ 촉매분해 특성 (Catalytic Decomposition of $SF_6$ by Hydrolysis and Oxidation over ${\gamma}-Al_2O_3$)

  • 이선화;박노국;윤석훈;장원철;이태진
    • 청정기술
    • /
    • 제15권4호
    • /
    • pp.273-279
    • /
    • 2009
  • 온실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SF_6$는 고체 산 촉매상에서 물과 산소에 의해 가수분해 및 산화반응에서 황 및 불소화합물로 분해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F_6$ 제거를 위한 고체 산 촉매로 ${\gamma}-Al_2O_3$가 사용되었으며, 반응온도와 공간속도에 따른 촉매활성이 조사되었다. 가수분해에 의한 촉매환성은 $20,000\;ml/g_{-cat}{\cdot}h$의 공간속도와 973 K이상의 반응온도 조건에서 $SF_6$ 전화율이 거의 100% 달하는 최대 값에 도달하였다. 공간속도가 $45,000\;ml/g_{-cat}{\cdot}h$이하에서 $SF_6$ 전화율은 최대값이 유지되었다. 한편, 동일한 반응조건에서 산화반응에 의한 $SF_6$ 전화율은 약 20%정도였다. ${\gamma}-Al_2O_3$는 가수분해과정 에서 ${\alpha}-Al_2O_3$, 산화반응과정에서 $AlF_3$로 각각 변화됨을 SEM과 XRD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산화반응 후 $AlF_3$$20\;{\mu}m$이상 성장되었고, 이들의 촉매활성은 낮은 표면적 때문에 매우 낮아졌다. 그러므로 $SF_6$의 분해를 위한 촉매반응은 산화반응보다는 가수분해가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Effect of Sphingosine-1-Phosphate on Intracellular Free Ca2+ in Cat Esophageal Smooth Muscle Cells

  • Lee, Dong Kyu;Min, Young Sil;Yoo, Seong Su;Shim, Hyun Sub;Park, Sun Young;Sohn, Uy Do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6권6호
    • /
    • pp.546-552
    • /
    • 2018
  •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proteins senses local changes in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s ($[Ca^{2+}]_i$) and transduces these signals into responses to agonist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sphingosine-1-phosphate (S1P) on modulation of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s in cat esophageal smooth muscle cells. To measure $[Ca^{2+}]_i$ levels in cat esophageal smooth muscle cells, we used a fluorescence microscopy with the Fura-2 loading method. S1P produc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in $[Ca^{2+}]_i$ in the cells. Pretreatment with EGTA, an extracellular $Ca^{2+}$ chelator, decreased the S1P-induced increase in $[Ca^{2+}]_i$, and an L-type $Ca^{2+}$-channel blocker, nimodipine, decreased the effect of S1P. This indicates that $Ca^{2+}$ influx may be required for muscle contraction by S1P. When stimulated with thapsigargin, an intracellular calcium chelator, or 2-Aminoethoxydiphenyl borate (2-APB), an $InsP_3$ receptor blocker, the S1P-evoked increase in $[Ca^{2+}]_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reatment with pertussis toxin (PTX), an inhibitor of $G_i$-protein, suppressed the increase in $[Ca^{2+}]_i$ evoked by S1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1P-induced increase in $[Ca^{2+}]_i$ in cat esophageal smooth muscle cells occurs upon the activation of phospholipase C and subsequent release of $Ca^{2+}$ from the $InsP_3$-sensitive $Ca^{2+}$ pool in the sarcoplasmic reticul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S1P utilized extracellular $Ca^{2+}$ via the L type $Ca^{2+}$ channel, which was dependent on activation of the $S1P_4$ receptor coupled to PTX-sensitive $G_i$ protein, via phospholipase C-mediated $Ca^{2+}$ release from the $InsP_3$-sensitive $Ca^{2+}$ pool in cat esophageal smooth muscle cells.

콩밭 잡초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Weed Control with Herbicides in Soybean Field)

  • 양환승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38
    • /
    • 1971
  • 콩 재배에 있어서 선택성약제를 찾아내기 위하여 약제에 대한 콩의 저항성실험과 사양토 조건에서 폿트 및 포장실험을 병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에 대하여 고도의 선택성이 있어서 표준시용량의 2-3배량 처리로도 정상 생육이 가능한 약해는 Triallate, Lasso, Machete, Propachlor, Nitrofen, MO, Chloroxuron, Nitrofen+Dinoseb 약제등이었다. 2. 약간의 선택성이 있는 약제는(표준시용량의 1-2배 사용) Propazine, Propazine, Diruon, Metabromuron, Swep, Linuron, HE-314, PCP등이었다. 3. 감수성이 예민하여 표준시용량에서도 고사 또는 심한 약해를 낸 약제는 Simazine, Fluorometuron 이었다. 4. Mathete, Lasso, Kerb, Nltrofen, Nitrofen+Dinoseb, Swep, Linuron, Simazine, PCP 등 약제의 폿트 및 포장실험에서의 비교실험 결과에 있어서 가) 심한 약해를 입힌 약제는 Simazine (포장)이었고 Linuron, Kerb 처리구에서도 부분적으로 약간의 약해를 냈다. 나) Nitrofen, Nitrofen+ Dinoseb, Lasso, Machete, Swep는 초기부터 최후까지 전혀 약해를 불수 없었다. 다) 제초효과는 포장에서의 Simazine 처리구를 제외하고 모든 약제가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라) Simazine, Linuron 처리구에 있어서는 특히 피와 바랭이에 대해 약효가 없는 편이었다. 마) 방등산이와 개망초는 Kerb에 대하여 지항성이었다. 바) Lasso, Machete는 화본과잡초에 매우 강력한 살초력을 가졌으나 여뀌 등이 약간의 내성을 보였다. 5, 콩밭 잡초방제를 위하여 사용된 Lasso, Machete, Nitrofen, Swep, Nitrofen+Dinoseb, Linuron, Kerb 구등은 파종후 1회의 약제 살포로 수확기까지 무제초 방임재배가 가능하며 수량면에서도 관행구에 뒤지지 않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항산화 방어 시스템에 의한 유기용매 내성세균 Pseudomonas sp. 균주에서의 톨루엔 내성 (Toluene Tolerance in Solvent Tolerant Pseudomonas sp. Strains By Antioxidant Defense Systems)

  • 주우홍;최혜정;김다솜;조용권;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401-1407
    • /
    • 2019
  • 유기용매 내성세균들이 항산화 방어시스템에 의하여 독성 유기용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두 균주의 유기용매 내성 세균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과 총 항산화능(T-AOC)을 조사하였다. 톨루엔 농도 100 mg/l에서 유기용매 내성세균 BCNU 106의 슈퍼옥사이드 디스무타아제(SOD) 레벨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유기용매 내성세균 BCNU 171의 경우에는 톨루엔 농도 200 mg/l에서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톨루엔 농도 200와 300 mg/l에서 유기용매 내성세균 BCNU 106에서 카타라제(CAT) 레벨이 3배 이상 증가함이 확인되었고, BCNU 171에서는 CAT 레벨이 2배 이상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기용매 내성세균에서 글루타치온 S- 전이효소(GST) 레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항산화능도 유기용매에 대하여 내성을 보이지 않는 일반 세균인 KACC 10266보다 유기용매 내성세균들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톨루엔 농도 200 mg/l 존재 하에서 BCNU 171 균주의 SOD 레벨은 1시간 후 정점에 도달하였다. BCNU 106에서 1시간과 14시간 후 CAT 레벨이 정점에 도달하였고, BCNU 171균주에서는 3시간 후 정점에 도달하였다. T-AOC 레벨의 정점은 BCNU 106에서는 톨루엔에 노출 9시간 후에 나타났으며, BCNU 171에서는 1시간과 9시간 후 두 번 T-AOC 레벨의 정점이 나타났다. 모든 유기용매 내성 세균은 왕성한 항산화 방어 반응을 보였으며, 이러한 항산화 방어 시스템을 통하여 유기용매 내성 세균이 유기용매를 비롯한 가혹한 환경하에서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cetaminophen 유도 간독성에 대한 백삼과 홍삼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White and Red Ginseng Extrac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 성금수;전승기;장재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31-137
    • /
    • 2005
  • 백삼과 홍삼 추출물이 APAP에 의한 산화적 급성 간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마우스를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백삼과 홍삼 추출물의 간장보호 활성에 관한 기전을 규명하고자 항산화효소인 SOD, CAT의 활성도는 APAP를 복강 주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효소활성이 감소하였고, 백삼과 홍삼추출물을 전처리한 실험군에서는 APAP군에 비해 효소 활성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APAP를 복강 주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백삼과 홍삼 추출물을 전처리한 실험군에서는 APAP군에 비해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3. 백삼과 홍삼 추출물의 투여량을 각각 50mg/kg, 250mg/kg으로 최대 5일간 전처리하여 APAP의 급성 간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한 결과 인삼 추출물의 투여량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백삼과 홍삼 추출물은 APAP의 활성 대사체에 의한 급성 산화적 간손상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인삼 추출물 성분이 항산화 효소와 항산화물질로 구성된 항산화 방어 체계를 통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백삼과 홍삼 추출물이 간장 보호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으며, APAP중독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로서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5,7-Dihydroxytryptamine의 세포독성에 의한 고양이 망막내 미세아교세포의 반응양상 (Microglial Reaction to the Cytotoxicity of 5,7-Dihydroxytryptamine in the Cat Retina)

  • 주우현;남성안;조승묵;조현후;신민철;원무호;최창도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4호
    • /
    • pp.425-434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icroglial reactions to the neurodegenerative changes in the cat retina.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adult cats of both sex, weighing $2,500g\sim3,500g$. 5,7-DHT $(100{\mu}g)$ dissolved in 0.1% ascorbic acid was injected into the vitreous body. All injections were performed in one-side eye; the other side served as the control, which was injected only with 0.1% ascorbic acid. Cats were sacrificed at 1, 3, 7, 14 and 21 days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of 5,7-DHT For light microscopy, retinae were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and processed using NDPase histochemistry. Same retinae were fixed with 1% para(formaldehyde-2.5% glutaraldehyde and processed for electron microscopy. NDPase-positive microglial cell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inner plexiform layer of the retina, and characterized by a small somata with a few slender processes, which were also extended in the ganglion cell layer (GCL) and inner nuclear layer (INL). The intensity of the microglia stained for NDPase was abruptly increased at 7 day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and thereafter continuously sustained until 21 day, the last experimental group in this study. Under the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 microglial cells in the control group exhibited elongate nucleus with perinuclear chromatin condensation, and the perikaryon was scanty. However, a few hypertrophic glial cells were frequently found at 3 days after the drug injection. By 7 day, most microglial cells directed toward the degenerated neurons in the GCL, and the number of microglial cells was sligh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former group. At the 14 day, most microglial cells wrapped the degenerated cells in the GCL, and a few cells showed phagocytotic features. By 21 day, most microglial cells were engaged in phagocytotic activity, and their cytoplasm was filled with the phagorytosed material. Based on the results, 5,7-DHT may act as a specific neurotoxin to the cat retina, and microglial reactions to the neuronal death are already induced in early experimental st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croglial cells in the cat retina show characteristic features as a protective effect of neural tissue.

  • PDF

비타민 C 산화반응에 대한 단백질의 공존효과 (Effects of Various Proteins on the Autoxidation of L-Ascorbic Acid)

  • 김미옥;장상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4-301
    • /
    • 2004
  • AsA 수용액 중에서 중금속이온 비존재, Fe(III)이온 존재, 그리고 Cu(II)이온 존재 하에서의 AsA 자동산화반응에 대한 단백질 공존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수용액 중에서의 AsA 산화반응은 중금속 이온이 존재 하지 않는 경우보다 Fe(III)이온 및 Cu(II)이온이 존재하는 경우에 AsA 잔존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 $\mu$M Fe(III)이온 보다 약 50배 낮은 농도인 0.1 $\mu$M Cu(II)이온이 존재하는 경우가 AsA 산화반응 정도가 더욱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AsA자동산화 반응에 대해 효소 단백질로서는 SOD 및 CAT, 비효소 단백질로서는 BSA, ovalbumin, v-globulin, lysozyme를 이용하여 AsA산화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sA 수용액에 CAT 및 SOD가 존재하는 경우는 Fe (III)이온 및 Cu(II)이온 존재 하에서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AsA 산화반응이 억제되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는 SOD가Ash의 산화반응에서 생긴 $O_2$를 제거하고, CAT가 $O_2$의 불균화반응에 의해서 생기는 $H_2O$$_2$를 제거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더욱이, AsA산화반응에 있어서의 CAT혹은 실활 CAT의 존재 하에서도 AsA의 안정화작용이 나타나 Fe(III)이온 및 Cu(II)이온 존재 하에서도 AsA의 산화반응에 대한 CAT의 비특이적인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sA의 산화분해에 미치는 $H_2O$$_2$ 영향을 살펴 보기 위하여 50 $\mu$M AsA 수용액에 50 $\mu$M $H_2O$$_2$를 첨가 하여 산소가스는 통기하지 않고 산화반응을 행한 결과, $H_2O$$_2$존재의 유무에 관계없이 Ash분해속도는 크고 이들 반응은 CAT존재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비효소 단백질로서 BSA, oval-bumin, v-globulin, lysozyme를 이용하여 AsA 산화반응을 살펴본 결과 이들 단백질의 공존과 더불어 AsA의 산화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AsA에 대한 비특이적인 쾌 강한 안정화작용이 관여하고 있을 것으로 시사되었다. 본 연구는 식품ㆍ생체계에 있어서 AsA의 항산화기전, 특히 중금속이온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항산화반응 기전을 해명하기 위한 일부분으로서 AsA대사와 단백질 대사와의 반응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기초자료를 얻을 수가 있었다.